• 제목/요약/키워드: Rooting rate

검색결과 188건 처리시간 0.026초

An Improved Method of Organogenesis from Cotyledon Callus of Acacia sinuata (Lour.) Merr. using Thidiazuron

  • Shahzad Anwar;Ahmad Naseem;Anis Mohammad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8권1호
    • /
    • pp.15-19
    • /
    • 2006
  • An efficient protocol for in vitro multiple shoot bud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mature green cotyledon derived callus tissues of Acacia sinuata has been developed. Callus formation occurs at all the concentrations of thidiazuron (TDZ) in Murashige and Skoog's (MS) medium, but 0.6 ${\mu}M$ proved to be the best with maximum callus formation frequency. Supplementation of TDZ in combination with indole-acetic acid (IAA) in MS media accelerates shoot bud organogenesis in differentiating callus tissues with 60-70% conversion of shoot buds into shoot Most efficient shoot organogenesis was recorded when TDZ induced calli were subcultured at different concentrations of 6-benzyla-denine (BA). Optimum shoot bud induction and plant regeneration from callus was achieved when 0.6 ${\mu}M$ (TDZ) induced calli were subcultured at 3.0 ${\mu}M$ (BA) where $16.6{\pm}0.74$ shoots/unit callus on obtained. Rooting in in vitro differentiated shoots was achieved when transferred to medium containing different concentration of indole-3-butyric acid (IBA) in full & half strength MS medium. The well rooted plantlets were hardened and transferred to net house with 90% survival rate.

갈대 줄기의 마디부 발근을 이용한 뗏장 식물섬 개발 (Development of Floating-Islands with a Sod Mat by Shooting and Rooting from Shoot Nodes of Common Reed)

  • 이효혜미;권오병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9-65
    • /
    • 2002
  • The community of common reed (Phragmites australis) is expanded by the development of new shoots from nodes of rhizomes and old shoots in natural environments. We developed the useful technique to construct reed mats of floating islands developed from shoot nodes of reeds for the purpose of the rapid stabilization of vegetation and the application of adapted plants with their specific environmental conditions. The vegetation development was compared in the floating islands planted with the different reed samples. The reed samples were consisted of four types : long shoot in the length of 100 cm (AG I), short shoot of 15 cm (AG II), long rhizome of 100 cm (BG I) and short rhizome of 15 cm (BG II). Shooting started earlier in BG I and BG II than in AG I and AG II. But the rate of shooting was higher in AG I and AG II than in BG I and BG II. After four weeks, AG I and AG II were higher than BG I and BG II in the biomass and density of newly developed shoots.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construction of sod mats by planting only reed shoots was a useful technique to develop vegetation on the floating islands.

훈증처리가 양파의 생리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Fumigation Treatment on the Physiological Changes of Onion Bulbs)

  • 김현구;이형춘;박무현;신동화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6-10
    • /
    • 1986
  • Tetrachloroisophthalonitrile로 저장된 또는 저장중 훈증처리한 양파는 대조구보다 중량감소는 1/2로 줄일 수 있었으며 비훈증처리구에서 RH 80%로 저장한 양파는 RH 90%보다 중량감소가 적었으나 훈증처리한 양파에서는 거의 차이가 없었다. 저온저장시($0^{\circ}C$) 양파의 발근 및 외부발아는 나타나지 않았고 호흡량의 $Q_{10}$값은 $1.9{\sim}2.1$의 범위였다. 양파 저장중 중량감소와 부패율은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정의 상관관계로 나타났으나 호흡량은 변화가 적어서 양파 저장중 중량감소는 호흡생리에 의한 것 보다는 부패에 의한 감소가 지대함을 알 수 있었다.

  • PDF

황칠나무의 경정배양에 의한 기내번식 (In vitro Propagation using Shoot Tip Culture in Gold Tree[Dendropanax morbifera $L_{EV}]$.)

  • 최성규;윤경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6권6호
    • /
    • pp.464-467
    • /
    • 2001
  • 황칠나무의 선발된 우량개체군의 집단재배시 우량해체간의 교잡에 의해서 형성된 종자를 증식하기 위한 기내배양체계를 확립하기 위해서 기내 발아, 증식, 발근에 적합한 식물생장조절제를 구명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황칠나무 종자의 무균발아에 적합한 배지로는 MS(Murasinge Skook)기본배지가 발아율이 높고 유식물체(plantlet)의 생장이 양호하여 알맞는 배지로 판단 된다. 기내에서 신초의 증식과 생육에 효과적인 식물생장조절제는 사이토키닌(BAP 0.1~l.0 mg/l)과 오옥신(NAA 0.5~1.0 mg/l)의 혼용처리가 효과적이었다. 또한 기내의 발근은 오옥신의 첨가에서 쉽게 유도되었으며, 그 중에서 NAA1.0 mg/l첨가에서 가장 양호하였다.

  • PDF

밀폐 기간, 소엽수 및 광주기에 따른 장미의 밀폐삽목 번식 효율 (Efficiency of Closed Cutting Propagation Affected by Closed Periods, Leaflet Number and Photoperiod in Rose (Rosa hybrida))

  • 양경록;정현환;박기영;송관정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2-220
    • /
    • 2022
  • 장미의 단일 마디 삽목의 경우 온도, 상대 습도 및 광과 같은 환경 관리가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기온과 상대습도가 삽목 성공률과 묘 소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장미(Rosa hybrida) 'Maisie' 품종과 투명한 플라스틱 박스를 이용하였으며 인공조명(white LED, PPFD 104.0µmol·m-2·s-1)을 이용하여 전 기간 밀폐 조건에서 삽목 시 가장 효과적인 소엽수와 광주기 조건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첫 번째 실험은 밀폐 기간을 달리하여 총 6주 동안 진행되었다. 밀폐 기간이 길어질수록 뿌리수와 가장 긴뿌리의 길이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밀폐 기간에 따른 생존율, 신초발생률, 발근율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두 번째 실험에서는 삽수 생존율과 신초발생률이 광주기(0/24, 2/22, 4/20, 8/16, 16/8h)와 삽수 소엽의 개수(0, 2, 4)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존율은 명기 16시간, 소엽 4개 처리구에서 가장 높았다. 생존율과 신초발생률을 에너지 효율과 함께 고려한 결과, 소엽을 2개 또는 4개 붙인 삽수를 이용하여 하루 8시간 광을 조사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희귀수종 거문도닥나무(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의 번식에 관한 연구 (Propagation of Cutting Method of a Rare Endemic Wikstroemia ganpi (Sieb. et Zucc.) Maxim. in Korea)

  • 윤정원;이명훈;성정원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33권4호
    • /
    • pp.303-310
    • /
    • 2020
  • 본 연구는 희귀 식물인 거문도닥나무를 대상으로 종자 및 삽목번식을 통하여 효율적인 번식방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실험 결과 종자번식은 실내, 실생 번식 모두 발아율에서 유의성이 나타났다. 저장 종자는 저온 습윤의 경우 항온 20℃ 효과를 보였으며, 변온 처리에서는 발아율이 대체적으로 낮게 나타나 종자 번식에서 거문도닥나무는 습윤 저장 후 항온 20℃에서 발아율이 높았으며, 실생 번식은 노천매장에서 종자를 번식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삽목번식의 관수 시설에 따라 캘러스 형성, 뿌리 수 등 발근율을 확인한 결과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녹지의 중간, 아랫부분에서 10.0%가 발근 하였고, 숙지 삽목은 모두 발근 하지 않았다. 특히, 뿌리수와 뿌리 길이가 각각5개, 112.6 mm로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월등히 높은 결과를 보여 거문도닥나무 삽목은 습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전처리에 따른녹지 삽목은 미스트 관수 비닐하우스에서 거문도닥나무의 중간 부분, 아랫부분을 대상으로 삽목을 실험한 결과 캘러스 형성률, 발근율, 뿌리 수, 뿌리 길이 모두 유의성이 있었다. 녹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23.7%로 저조하였으며, IBA 500 ppm, IBA 1000 ppm, NAA 2000 ppm에서 발근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녹지 삽목의 아랫부분보다 중간 부분이 삽목번식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실험에서 확인되었다. 특히, 숙지 삽목은 평균 발근율이 11.9%로 녹지 삽목에 비해 저조하였는데 이는 숙지 부분의 잎이 거의 없으며, 잎이 있는 때는 조기에 떨어져 삽목에 영향을 준것으로 판단된다.

뿌리혹병 감염이 장미의 생육과 개화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Crown Gall Infection on Growth and Flowering of Rose)

  • 한경숙;김원희;박종한;한유경;정승룡
    • 식물병연구
    • /
    • 제14권3호
    • /
    • pp.159-164
    • /
    • 2008
  • 양액장미에서 발생하는 뿌리혹병에 대해 2003년부터 2007년 까지 피해상황을 조사하였다. 장미 뿌리혹병은 최고 38.1%까지 발생하였으며, 양액재배하는 장미에서 피해가 더욱 심하였다. 전형적인 뿌리혹병 병징은 뿌리와 지제부에 주로 발생하여 생육을 지연시키며 발근억제 뿐아니라 수량감소를 초래하였다. 삽목과정에서 뿌리혹병에 감염될 경우 발근율이 57.5%로 건전주에 비해 현저히 낮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뿌리혹병이 감염된 식물체 부위별로 볼 때 지제부에 감염될 경우 새로운 신초생장을 억제하기 때문에 피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Fig. 1-B). 인공접종을 통해 생육중인 장미에서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결과 건전주의 수량이 19.1본/$m^2$에 비해 감염주는 9.5본으로 수량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고 절화길이 또한 건전주 65.2cm에 비해 44.0cm로 현저히 짧아짐으로서 절화장미의 상품성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개화까지 소요되는 일수를 비교해 보면 건전주와 감염주가 각각 51.2일, 39.8일(1차 수확), 60.6일, 52.1일(2차 수확)을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장미 뿌리혹이 지제부에 감염될 경우 신초의 형성을 억제함으로써 심각한 경제적 수량감소를 초래하여 건전주에 비해 38.7%의 수량감소를 나타내고 개화기까지 소요일수가 8-10일까지 지연되었다.

배발생 캘러스를 이용한 아그로박테리움 매개형질전환 장미 식물체 획득 (Acquirement of transgenic rose plants from embryogenic calluses via Agrobacterium tumefaciens)

  • 이수영;이정림;김원희;김성태;이은경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37권4호
    • /
    • pp.511-516
    • /
    • 2010
  • 아그로박테리움 매개에 의한 형질전환 기술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육성된 품종 'Sweet Yellow'로부터 유도된 체세포배 (배발생캘러스 포함)로 intron-GUS유전자가 전이된 식물체를 획득하기까지의 과정이 제시되었다. Intron-GUS 유전자를 포함하고 있는 Agrobacterium tumefaciens AgL1(O.D=0.7~1.6)에 30분 감염시켜 3일간 공동배양 한 후 $4^{\circ}C$에서 7일간의 저온처리를 거친 후 cefotaxim $250\;mg{\cdot}L^{-1}$ 첨가 체세포배발아 배지에 배양된 체세포배 (배발생캘러스 포함)들 대부분으로 유전자가 전이된 것을 GUS transient assay에 의해 확인하였다. Intron-GUS유전자가 전이된 체세포배 (배발생캘러스 포함)로부터 신초원기를 유도한 후 신초를 재분화시켰고, 재분화된 신초로부터 다신초가 형성되도록 하였다. 다신초로부터 신초의 일부를 떼어 GUS transient assay 분석을 실시하여 intron-GUS 유전자의 발현을 확인한 후 발근시켜 순화 후 온실로 옮겼다. GUS transient assay에 의해 확인된 유전자 발현율은 100%였다.

Propagation of Bell Pepper (Capsicum annuum var. grossum) through tissue culture

  • Senarath, WTPSK;Shaw, D.S.;Lee, Kui-Jae;Lee, Wang-Hyu
    • 한국자원식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자원식물학회 2003년도 춘계 학술발표대회
    • /
    • pp.131-132
    • /
    • 2003
  • Leaf discs and apical meristems were cultured in Murashige and Skoog (MS) medium supplemented with cytokinin and auxin at different concentrations. Callus production was observed in all tested media after six days of incubation. Callus produced in the presence of high concentration of NAA (2.0mg/1) was fragile in texture and yellow in colour. Highest callus formation was observed from leaf discs in the medium supplemented with 1.0mg/1 NAA and 0.5 mg/l BAP in dark at $25{\pm}1{\circ}C$. Percentage of callus formation was 95% and mean callus fresh weight was 654.88 43.53 mg. Shoots were induced from the callus after 4 weeks i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BAP and kinetin both at 0.5mg/1. When elongated shoots were separated and transferred into multiplication medium (MS+0.5mg/1 BAP+0.5mg/1 kinetin) multiplication rate was 6.4 after 6 weeks. Higher concentrations of BAP caused callus production at the base. Direct shoot induction was observed from apical meristems in MS medium in the presence of 0.175 mg/1 IAA + 2.25mg/1 BAP and 0.175 mg/1 IAA + 3.0 mg/1 BAP in 16 hour day at $25{\pm}1{\circ}C$. Explants (apical meristems) elongated to form a single shoot forming a callus at the base. Adventitious buds were sprouted out from the base. Percentage explants which producing shoots was 28.57 and 65.5 respectively. Multiple shoot induction was also observed in the same media. Highest multiple shoot production was observed in the presence of 0.175 mg/l IAA and 3.0mg/l BAP, Mean number of shoots per explant was 5.36 and the mean shoot length was $16.66{\pm}4.15$mm. Shoots (20 30m length) were tested for root induction. Excised shoots were transferred into rooting media, which contains different concentrations of NAA and IAA. Best rooting performance was observed in 1/2MS medium supplemented with 0.1mg/1 NAA after 10 days of incubation in 16 hr photoperiod at $25{\pm}1{\circ}C$. Mean number of roots per shoot was 6 and the mean root length was 252mm. Rooted plantlets were transferred into sterile coir dust:sand (1:4) mixture and maintained in a humid chamber for two weeks, They were gradually expos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After three weeks they were transferred to pots containing coir dust:sand (1:2) mixture for further development where the 90% survival was observed.

  • PDF

파속 식물의 조추출물과 경엽 처리가 벼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rude Extracts and Chopped Shoot Application of Allium spp. on Rice Growth)

  • 최상태;안형근;장영득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1권6호
    • /
    • pp.625-633
    • /
    • 1996
  • 파속 식물체 내에 있는 활성물질을 추출 분리하여 생물검정하고, 이들 작물의 경엽을 직접 pot에 시용하여 벼를 재배하였을 때 생육 및 수량 구성 요소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1. 벼 유묘의 발근 및 생육을 촉진시키는 물질은 마늘의 염기성 분획과 대파, 양파, 부추 및 마늘의 약산성 분획에서 공통적으로 억제 물질보다 촉진물질의 활성이 높았으며 억제물질은 그 외 분획에서 활성이 높았다. 제 2엽초의 신장촉진 혹은 억제 물질은 공시한 파속 식물에는 내재하지 않았다. 2. 이앙 후 벼 유묘의 고사률은 이앙 당일에 비해 이앙 10일 전에 경엽을 시용한 처리가 높았고 특히 대파와 양파에 비해 부추와 마늘 시용구에서 높았다. 이앙 10일 전 동엽시용은 유효분얼수를 현저히 촉진시켰으며 특히 대파의 50g에서 400g까지, 양파의 50g에서 200g까지는 이삭입수의 증가도 나타나 표준시비구에 비해 수량 증가효과를 가져왔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