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knot nematode

검색결과 145건 처리시간 0.022초

항선충성 Bacillus thuringiensis 108균주의 분리와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maticidal Bacillus thuringiensis strain 108)

  • 이재훈;류은주;김광현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50-254
    • /
    • 2007
  • 식물 뿌리혹 선충인 Meloidogyne incognita에 살충성이 있는 Bacillus thuringiensis 108 균주를 분리 선별하였다. 이 균주는 Gram양성이며, 포자를 형성하고, 운동성이 활발하며, lecithinase 및 catalase활성을 나타내었다. 이 균주가 생산하는 결정형 내독소(d-endotoxin)는 bipyramid형이었고, 편모항원성에 따른 균주의 동정 결과 serotype 3으로 표준 균주인 B. thuringiensis subsp. kurstaki의 편모항원성과 일치하였다. B. thuringiensis 108균주의 항선충성 물질은 Sephadex G-25 gel filtration, 활성탄 흡착 chromatography, Silica gel 흡착 chromatography 및 Sephadex G-10 gel filtration을 이용하여 정제를 하였다. 최종 정제단계인 Sephadex G-10 gel filtration 후에 항선충 물질의 $LC_{90}$$1.2\;{\mu}g/ml$이었다. B. thuringiensis 108 균주가 생산하는 항선충성 물질은 $100^{\circ}C$ 열처리에서 안정하였으나 autoclave($110^{\circ}C$ 30 min)를 했을 때는 그 독성이 완전히 소실되었다.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 검정 (Defense Response of Cucumber Plants Treated with Neobacillus sp. JC05 Extract against Meloidogyne incognita)

  • 김유리;장화진;상미경
    • 한국유기농업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393-407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 감염에 대한 식물의 방어 반응을 조사하였다.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에서는 고구마뿌리혹선충에 의한 감염이 감소하여 control에 비하여 병 발생이 감소하였으며, 식물이 받는 피해도 줄어들었다. 이때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의 병 저항성 유전자의 발현량을 관찰한 결과, chitinase와 lipoxygenase 유전자의 발현량이 상대적으로 증가하였으며, 식물체 내 산화 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항산화효소 중 peroxidase의 활성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또한, Neobacillus sp. JC05 추출물을 처리한 오이 식물체의 토양 FDase 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반면 인산가용화효소와 유레아제 활성은 control에 비해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이전의 연구 결과와 종합하면, Neobacillus sp. JC05의 추출물은 직접적으로 고구마뿌리혹선충의 알 부화율을 억제하고 유충의 사멸률을 높여 토양 내 고구마뿌리혹선충의 밀도를 감소시키기도 하지만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오이 식물체의 고구마뿌리혹선충에 대한 방어 반응을 증가시켜 저항성을 유도하며, 이를 통해 고구마뿌리혹선충병 발생을 감소시키는데 기여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Suppress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Lettuce and Oriental Melon by Pasteuria penetrans KW1

  • Lim, Chun-Keun;Yu, Yong-Man;Cho, Myoung-Rea;Zhu, Yong-Zhe;Park, Duck-Hwan;Hur, Jang-Hyun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19권3호
    • /
    • pp.177-180
    • /
    • 2003
  • Pasteuria penetrans KW1 (PP), parasitic bacterium of nematode, was isolated from oriental melon greenhouse soil in Korea and evaluated for the suppression effect on the reproduction of sou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MI), in lettuce (Lactuca sativa L. var. Chungchima) and oriental melon (Cucumis melo L. var. Eunchun). Pot experiments were conducted by planting the lettuce seedlings in medium inoculated with 5,000 MI juveniles/pot (J), J +100,000 PP endospores/l g medium, and J +2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After 11 weeks of plantation, number of root galls in J +2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was decreased to 92/root (38.9%, control effect), compared to the J of 150/root. In the second plantation of lettuce in the same pots, the numbers of root gall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PP treated pots with 75 (77.2%, control effect) and 150/root (54.4%, control effect) in J +200,000 and J +100,000 PP endospores/1 g medium, respectively, compared to the J of 330/root when harvested at 10 weeks after planting. In oriental melon, root gall percentages were 32.1 (60.2%, control effect) and 52.9% (34.5%, control effect) in J +200,000 and J + 1(10,000 endospores/l g medium which were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80.7% in J.

시판 고추품종에 대한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Commercial Pepper Cultivars to Root-knot Nematodes)

  • 김동근;권태영;류영현;연일권;허창석
    • 식물병연구
    • /
    • 제18권4호
    • /
    • pp.370-375
    • /
    • 2012
  • 국내에서 시판되고 있는 고추 92품종을 이용하여 국내 시설재배지에서 가장 많이 분포하고 있는 두 종의 뿌리혹선충, Meloidogyne arenaria와 M. incognita에 대한 저항성을 검정하였다. M. arenaria에는 시판 고추 품종 모두가 저항성이었으며(난낭수 0-3/plant), M. incognita에는 모두 감수성이었다(난낭수 76-678/plant). M. incognita에는 모두가 감수성이었으나 품종별로 약간의 차이는 있었는데 거목(동부한농)과 신태풍(명산종묘) 2품종은 난낭이 포기당 100개 이하로 발생되어 불꽃처럼(누넴종묘) 등 29품종의 포기당 난낭수 300개 이상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었다. 뿌리혹선충 피해가 심한 시설재배지 중에서, M. arenaria가 감염된 농가에서는 윤작작물로 고추를 심는 것을 적극 추천하고 반면, M. incognita가 감염된 포장에 고추는 윤작작물로 적절하지 않다.

동부품종의 국내 분포 뿌리혹선충 저항성 검정 (Resistance of Cowpea Cultivars to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in Korea)

  • 강헌일;전태환;권순욱;김선태;강항원;김용철;김동근;고형래;최인수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7권12호
    • /
    • pp.1241-1247
    • /
    • 2018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resistance of 10 different cowpea cultivars which were introduced from the United States against two major root-knot nematodes, Meloidogyne arenaria and M. incognita, that affect greenhouse crop cultivation in Korea. The results showed that the resistance of the tested cultivars to the root-knot nematodes varied with the cultivar. Texas Cream 40 showed moderate resistance to M. arenaria whereas the other cultivars were susceptible. Purple Hull Pinkeye and Texas Pinkeye Purple Hull were found to be resistant to M. incognita, whereas Mississippi Silver showed moderate resistance and the other cultivars were susceptible. As the cultivars exhibit resistance to M. arenaria and M. incognita, such cultivars resistant to root-knot nematodes should be considered during the cultivation of cowpea as a green manure crop.

토양수분 및 온도가 뿌리혹선충 (Meloidogyne incognita, M. arenaria, M. hapla) 의 생존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oil Moisture and Temperature on the Survival of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Meloidogyne., arenaria and Meloidogyne hapla.))

  • 박수준
    • 한국연초학회지
    • /
    • 제1권1호
    • /
    • pp.39-45
    • /
    • 1979
  • 극단의 土壤水分( 4 %, 24% )과 溫度(33$^{\circ}C$, -2$^{\circ}C$)에서 뿌리혹線筮의 生存率을 조사한 결과 土壤水分 함량에 따른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고, 溫度 處理의 경우 33$^{\circ}C$에서는 Meloidogyne incognita, -2$^{\circ}C$에서는 M. hapla의 생존율이 높았으며, M. arenaria는 兩 處理에서 양자의 중간 정도의 반응을 보였다. 低溫처리에서 tolerance의 증가는 모든 線筮에서 인정되었으며 특히 M. hapla의 tolerance가 가장 높았다.

  • PDF

Cell Wall Localization of Two DUF642 Proteins, BIIDXI and TEEBE, during Meloidogyne incognita Early Inoculation

  • Salazar-Iribe, Alexis;Zuniga-Sanchez, Esther;Mejia, Emma Zavaleta;Gamboa-deBuen, Alicia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3권6호
    • /
    • pp.614-618
    • /
    • 2017
  • The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infects a variety of plants, including Arabidopsis thaliana. During migration, root-knot nematodes secrete different proteins to modify cell walls, which include pectolytic enzymes. However, the contribution of host cell wall proteins has not been described during this process. The function of two DUF642 cell wall proteins, BIIDXI (BDX, At4g32460) and TEEBE (TEB, At2g41800), in plant development could be related to the regulation of pectin methyl esterification status in the cell walls of different tissues. Accordingly, the expression of these two genes is up-regulated by auxin. BDX and TEB were highly induced during early M. incognita inoculation. Moreover, cell wall localization of the proteins was also induced. The cell wall localization of BDX and TEB DUF642 proteins during M. incognita early inoculation suggested that these two proteins could be involved in the regulation of the degree of pectin methylation during cell separation.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hapla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 Park, Jiyeong;Seo, Yunhee;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288-298
    • /
    • 2014
  • We examined the efficacy of a bacterium for bio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hapla in carrot (Daucus carota subsp. sativus) an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Among 542 bacterial isolates from various soils and plants, the highest nematode mortality was observed for treatments with isolate C1-7, which was identified as Bacillus cereus based on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iolog program,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nematicidal activity of B. cereus C1-7 remained high until the end of culture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suggesting that it may have sustainable biocontrol potential. In pot experiments, the biocontrol efficacy of B. cereus C1-7 was high, showing complete inhibition of root gall or egg mass formation by RKN in carrot and tomato plants, and subsequently reducing RKN damage and suppressing nematode population growth, respectively. Light microscopy of RKN-infected carrot root tissues treated with C1-7 showed reduced formation of gall cells and fully developed giant cells, while extensive gall cells and fully mature giant cells with prominent cell wall ingrowths formed in the untreated control plants infected with RKNs. Thes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may be the result of residual or systemic biocontrol activity of the bacterium, which may coincide with the biocontrol efficacies of nematodes in p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cereus C1-7 can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for M. hapla.

곤충병원성 선충이 당근뿌리혹선충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Entomopathogenic Nematodes on Egg Mass Formation by the Northern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hapia)

  • 김형환;추호렬;조명래;전흥용;임명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1권3호
    • /
    • pp.225-231
    • /
    • 2002
  • 곤충병원성 선충인 Steinernema carpocapsae All (ScA)과 포천(ScP) 계통, S.glaseri NC (SgN)와 동래(SgD) 계통, Heterorhabditis bacteriophora NC 1 계통(HbN)이 당근뿌리혹선충 (Meloidogyne hapla)의 난낭 형성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토마토를 이용한 pot실험을 수행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45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이 있는 100g 토양에 곤충병원성 선충을 2.5$\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cA처리에서 9.4-36.5개, SgN처리에서 5.7-24.7개, HbN처리에서 11.2-16.0개로서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에서의 62.5개보다 난낭수가 매우 적었다. Steinernema선충을 100㎤당 100마리, 200마리의 당근뿌리혹선충에 대해 2,020마리/토양 350g와 1.6$\times$$10^{5}$ 마리 농도로 처리한 결과 Steinernema 선충의 종간, 계통별 또는 처리농도 간에는 난낭수의 차이가 없었으나, 당근뿌리혹선충 단독 처리와 비교하면 난낭수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곤충병원성 선충을 당근뿌리혹선충 처리 3일 전에 처리한 것이 3일 후에 처리한 것보다 난낭 형성 억제에 더 효과적이었다. 한편, 곤충병원성 선충은 토마토의 생육에 아무런 영향을 끼치지 않았다.

고구마뿌리혹선층(Meloidogyne incognita)에 대한 국내 자생식물의 살선충 활성 (Nematicidal activity of Korean native plants against root-knot nematode, Meloidogyne incognita)

  • 임상현;주영철;김미성;이유선;손정식;박동식;허장현;김희연;최해진;김경희;김성문
    • 농약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53-357
    • /
    • 2004
  • 국내 시설재배지에서 고구마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의 발생으로 많은 경제적인 피해가 발생하고 있으나 이를 효과적으로 방제 할 수 있는 천연물 기원의 친환경 자재가 거의 없는 실정이다. 국내의 자생식물 중 뿌리혹선충에 활성이 있는 식물 종을 선발하기 위하여 자생식물 26과 43종으로 부터 메탄올 조추출물을 얻은 다음, 기주식물인 토마토 뿌리로부터 얻은 뿌리혹선충을 조추출물이 1,000 mg $kg^{-1}$수준으로 포함된 24-well tissue culture testplate에 $1\times10^2$ 마리 수준으로 처리하고, 해부현미경 하에서 살선충 효과를 검정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43종의 식물시료 중 쇠비름(Portulaca oleraceae L.)과 쇠별꽃(Stellaria aquatica SCOP.) 조추출물의 살선충 효과는 각각 00.0%되 40.6%이었다. 그러나 대부분의 식물시료 조추출물은 살선충 효과가 30% 미만으로 낮았다. 쇠비름과 쇠별 꽃 조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활성물질을 단리 할 경우 친환경농가에서 뿌리혹선충 예방 혹은 방제용도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