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t density

검색결과 721건 처리시간 0.024초

사람의 저밀도 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Antioxidant Effect of Rosa davurica Pall Extract on Oxidation of Human Low Density Lipoprotein (LDL))

  • 사재훈;이완;신인철;정경진;심태흠;오흥석;김영진;정의호;김광기;최대성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2호
    • /
    • pp.311-316
    • /
    • 2004
  • 비타민-C를 다량 함유하고 있는 생열귀나무의 자원화를 위한 연구로서 페놀성 화합물의 함량 및 사람의 저밀도지방단백질의 산화에 대한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생열귀나무 추출물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을 측정한 결과, 모든 부위에서 100g당 8.3-10.6g으로 매우 높은 양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생열귀나무 추출물 및 분획물에 대한 항산화 물질의 함량을 측정 한 결과, 생열귀나무 뿌리 메탄올 추출물과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획물이 285nm에서 흡수를 나타내는 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TBARS에 의한 LDL산화 억제효과 측정시, 생열귀나무 뿌리의 메탄올 추출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뿌리의 에틸아세테이트 및 부탄을 분회물의 경우, $30\;{\mu}g/mL$ 첨가시 85.3% 및 93.2%까지 LDL 산화를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CHCl_3$ 분획물, EtOAc 분획물, 그리고 BuOH 분획물은 $30\;{\mu}g/mL$ 분획물 첨가시 $Cu^{2+}$에 의한 LDL 산화를 8시간까지 억제함을 확인하였다. $Cu^{2+}$에 의한 apoB carbonylation과 conjugate diene형성 억제효과 측정시, EtOAc 분획물과 BuOH 분회물이 가장 탁월하게 억제함을 보여주었다. 생열귀나무는 다량의 페놀성 화합물을 함유하고 있으며 항산화 활성이 매우 탁월하므로 새로운 기능성식품 소재로의 활용이 기대되는 약용식물자원이다.

마 재배지의 뿌리혹선충의 발생 실태 및 수직 분포 (Occurrence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Meloidogyne incognita in Chinese Yam (Dioscorea batatas))

  • 권기윤;강헌일;서종민;윤을수;박남숙;최인수
    • 식물병연구
    • /
    • 제25권3호
    • /
    • pp.124-130
    • /
    • 2019
  • 국내 마 주산지인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일대 총 53개 지점을 대상으로 식물기생성선충 종류와 밀도, 시기별 발생 실태, 토양 깊이별 분포를 조사하였다. 검출된 식물기생성선충은 뿌리혹선충(Meloidogyne incognita), 침선충(Paratylenchus spp.), 뿌리썩이선충(Pratylenchus spp.)등 3개의 속이었으며, 그중 뿌리혹선충은 53개 조사지점 중 43개 지점에서 검출되어(81%) 안동지역 마 재배지에서 가장 중요한 식물기생성선충이었다. 시기별 토양 내 뿌리혹선충 유충의 수는 8월까지는 토양 $300cm^3$ 당 10마리 정도였으며 9월에는 274마리, 수확기인 10월에는 624마리로 증가되었다. 토양 깊이별로는 토양 40-50 cm 깊이에 가장 유충의 밀도가 높았으며(1,840마리/$300cm^3$) 토양 70 cm 깊이까지 뿌리혹선충 유충이 발견되었다. 뿌리혹선충에 감염된 괴경은 외부에 혹이 발생하였고 괴경의 내부는 갈색점으로 변색되었으며, 마의 괴경 내 침입한 뿌리혹선충의 수도 40-50 cm에서 79마리로 가장 많았다. 따라서, 마 재배지에서의 뿌리혹선충 방제를 위해서는 토양 깊이 50 cm 정도에 가장 많은 뿌리혹선충 유충이 분포하므로 현재 사용하고 있는 시설재배지 토양소독법과는 다른 방제 방법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Bacillus ehimensis YJ-37에 의한 채소류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 (Biocontrol of Vegetables Damping-off by Bacillis ehimensis YJ-37)

  • 김진호;최용화;강상재;이인구;주길재
    • 생명과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416-422
    • /
    • 2002
  • B. ehimensis YJ-37은 생육촉진미생물이면서 모잘록병의 생물학적 방제균으로서 관찰되었다 길항균 B. ehimensis YJ-37의 무와 수박의 근권정착밀도는 인공용토에 존재하는 길항균의 평균밀도 $10^4$(cfu/g) 보다 주근과 측근에서 약 1.2~2배 이상의 증가하였다. 길항균 배양액으로 만든 토양미생물제제에 의한 무의 생육촉진은 토양미생물제제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잎면적은 85% 자엽의 길이는 33% 뿌리의 길이는 23% 건조중량은 89% 촉진되었고, 수박의 경우도 무처리구에 비해 처리구에서 잎면적은 63% 자엽의 길이는 27% 뿌리의 길이는 25% 건조중량은 69% 촉진되었다. 토양미생물제제는 채소류 모잘록병균 R. solani AG-4와 P. ultimum 등의 생육을 억제하여 모잘록병을 유발시키지 못하게 하였으며, 생육촉진현상도 동시에 가져왔다.

C-tube를 골격성 고정원으로 이용한 매복된 미성숙 영구치의 교정적 치료 : 증례 보고 (Orthodontic Treatment of an Impacted Immature Tooth Using C-tube as a Skeletal Anchorage : Case Reports)

  • 최수연;공은경;정규림;백광우
    • 대한소아치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57-165
    • /
    • 2014
  • 매복된 미성숙 영구치는 매복의 깊이와 방향이 정상 맹출로에 크게 벗어나 있지 않는다면 물리적인 원인 제거 후 자발적 맹출이 가능하다. 그러나 자발적 맹출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골격성 고정원을 이용하여 교정적 견인을 하게 된다. 골격성 고정원 중 하나인 C-tube는 인접 치근 사이의 피질골상에서 4~5 mm의 짧은 여러 개의 미니 스크류로 치근 하방 부위에 고정되어 안정적이고, 초기 영구치열기 환자의 치아 손상의 가능성이 적다. 구부릴 수 있는 성질 때문에 견인력의 방향 조절도 가능하다. 매복치의 반대편 악궁에 식립 후 교정용 탄성 고무링을 이용한 수직적 견인이 가능하여 매복치를 원하는 위치에 견인할 수 있다. 하지만 C-tube의 식립 및 제거 시 절개가 필요하고, 환자의 협조가 요구된다. 또한 매복치의 견인 시, 미성숙 영구치의 치근 성장과 골, 부착 치은의 형성 등을 주의 깊게 관찰하고 주변 연조직의 염증이 생기지 않도록 치태 조절과 구강 위생 관리 교육이 필요하다.

비병원성균주 전처리에 의한 담배세균성마름병균(Pseudomonas solanacearum)의 식물체내 침입 및 증식억제 (Inhibition Effect of Avirulent Pseudomonas solanacearum on the Multiplication of Virulent Isolate in Tobacco Plant)

  • 이영근;김정화;박원목
    • 한국식물병리학회지
    • /
    • 제2권2호
    • /
    • pp.114-120
    • /
    • 1986
  • BY4품종의 담배를 포장에 이식하면서 이식 하루전과 40일 후에 비병원성 Pseudomonas solanacearum의 현탁액을 담배근권토양에 관주한 결과 7월 상순까지 세균성마름병 발생 속도가 지연되었으나 그 후에는 방제효과가 급속히 감소되었다. 그 결과 잎담배의 $35\%$ 증수 및 kg당 대금으로 $10\%$의 품질상승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비병원성균주처리에 의한 근권상양내 병원균의 밀도증가억제는 인정되지 않았다. $^{32}P$로 표식된 비병원성균주의 담배뿌리를 통한 침입 및 식물체내 이동이 확인되었으며 비병원성균주에 전접종된 담배에 대하여 병원성균주의 침입 및 식물체내 증식이 억제되었다. 이러한 병원성균주의 식물체내 침입 및 증식억제 현상이 병진전 억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 PDF

Expression of Auxin Response Genes SlIAA1 and SlIAA9 in Solanum lycopersicum During Interaction with Acinetobacter guillouiae SW5

  • Kwon, Hyeok-Do;Song, Hong-Gy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5권6호
    • /
    • pp.903-909
    • /
    • 2015
  • Indole-3-acetic acid (IAA) production is a typical mechanism of plant growth promotion by some rhizobacteria. However, a functional genomic study is necessary to unravel the function and mechanism of IAA signaling during rhizobacteria-plant interactions. In this study, the expression of SlIAA1 and SlIAA9 among the auxin response genes in tomato was examined during the interaction between IAA-producing Acinetobacter guillouiae SW5 and tomato plants. When 3-day grown tomato seedlings were treated for 30 min with 10~100 µM of IAA produced by bacteria from tryptophan, the relative mRNA levels of SlIAA1 and SlIAA9 increased significantly compared with those of the control, demonstrating that IAA produced by this bacterium can induce the expressions of both genes. Inoculation of live A. guillouiae SW5 to tomato seedlings also increased the expressions of SlIAA1 and SlIAA9, with more mRNA produced at higher bacterial density. In contrast, treatment of tomato seedlings with dead A. guillouiae SW5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expression of SlIAA1and SlIAA9. When 3-day bacterial culture in tomato root exudates was administered to tomato seedlings, the relative mRNA level of SlIAA1 increased. This result indicated that the plant may take up IAA produced by bacteria in plant root exudates, which may increase the expression of the auxin response genes, with resulting promotion of plant growth.

Carbofuran 수도근부처리가 논거미 밀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arbofuran Root-zone Placement on the Spider Populations in the Paddy Fields)

  • 최승윤;이형래;유재기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99-103
    • /
    • 1978
  • 침투성 살충제 Carbofuran의 Capsule 근부처리, 액상근부주변처리 및 수면시용을 실시하였을 때 논거미(늑대거미류와 애접시거미류)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수원과 이리에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1. Carbofuran의 처리에 의하여 거미의 밀도가 저하되며 관용방법인 수면처리에 비하여 근부처리의 경우 거미의 밀도가 더욱 낮었다. 2. 액상근부주변처리에 비하여 Capsule 근부처리에서 거미의 밀도가 더욱 낮었다. 3. 근부처리에서나 수면처리에서 약량이 증가함에 따라 거미밀도가 낮어졌다. 4. 무처리에서 거미밀도는 팔굉품종에서 높았고 유신품종에서 낮았으나 약제처리에서 품종간 거미밀도차이는 인정할 수 없었다. 5. 해충의 방제효과가 좋았던 Capsule 근부처리에서 거미 밀도가 낮은 이유는 식물연쇄에 의한 독성 및 살해로 고찰되었다. 6. Carbofuran의 경우 처리방법을 달리하였을 때 거미에 대한 살해를 감소시킬 수는 없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경남지방에서 도라지 재배지역별 토양이화학적 특성과 사포닌 함량 (Soil Physico-Chemistry and Saponins Content of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Cultured from Different Sites in Gyeongnam Province)

  • 이병진;전승호;이신우;전현식;조영손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463-468
    • /
    • 2014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survey the soil physico-chemical, morphology and content of saponins of 5 year-old Platycodon grandiflorum radix from different areas in Gyeongnam. Soil physical properties was showed 1.01-1.29 of bulk density of soil and soil hardness was increased with increasing soil depth, especially below the 30 cm, however it was maintained or small increased below the 40 cm. T-N and OM contents of top soil were highest at Geochang as 0.27% and 56.9 g/kg, respectively, compared to other areas. The root length was longer at Kimhea and Geochang as 33.8 and 33.7 cm, respectively, and fresh weight was heavy at Geochang as 208.5 g. The contents of saponin of P. grandiflorum radix was higher in fine root compare to main root. By region, content of saponins of P. grandiflorum radix were higher at Hapcheon than other area. Mg content was highly negatively correlated at p < 0.01 with platycodin D3, deapioplatycodin D, platycodin D, and deapioplatycodin D ($-0.499^{**}$, $-0.433^{**}$, $-0.421^{**}$, $-0.511^{**}$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no-fertilized Mg effected on the improvement of saponin contents in P. grandiflorum.

백삼산지에서 작황과 수량과의 관계 (Relation between Crop Stand and Yield in White Ginseng Cultivation Area.)

  • 박훈;이명구;변정수;이종율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369-374
    • /
    • 1987
  • 풍기와 금산지방의 백삼포장을 대상으로 인삼의수량, 재식본수, 결주율, 근중엽면적 수확근수간의 상호관계를 조사하였다. 1. 금산지방은 풍기지역보다 재식본수가 거의 2배나 되며 박엽을 및 결주율이 높고 수량은 낮았다 2. 수량이 밀식재배에서는 근수에 의존하고 소식재배에서는 근중에 의존하였다. 결주율이 수량에 주는 영향은 밀식재배에서 더욱 현저하였으며 재식본수는 유의성은 없으나 수량과 부상관이였다. 결주율과 재식본수와는 무관하였다. 3. 채굴본수는 재식본수에 의존하고 특히 결주율에 의해 제한되었다. 4. 수량은 수확기 엽면적지수(LAI) 특히 생육 최성기 LAI 에 의존하였으며 LAI는 밀식재배에서는 채를 본수에만 소식재배에서는 주엽면적에만 의존하였고 LAI 는 밀식과 소식재배간 차이가 없었으며 MR에 의하여 제한되었다. 5. 주엽면적은 근중에 고도로 의존하였으며 밀식에 의하여 LAI 가 증대하지 않는 원인이고 모든 포장은 최적 LAI 이하였다.

  • PDF

Biological Control of Meloidogyne hapla Using an Antagonistic Bacterium

  • Park, Jiyeong;Seo, Yunhee;Kim, Young 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0권3호
    • /
    • pp.288-298
    • /
    • 2014
  • We examined the efficacy of a bacterium for biocontrol of the root-knot nematode (RKN) Meloidogyne hapla in carrot (Daucus carota subsp. sativus) and tomato (Solanum lycopersicum). Among 542 bacterial isolates from various soils and plants, the highest nematode mortality was observed for treatments with isolate C1-7, which was identified as Bacillus cereus based on cultur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he Biolog program, and 16S rRNA sequencing analyses. The population density and the nematicidal activity of B. cereus C1-7 remained high until the end of culture in brain heart infusion broth, suggesting that it may have sustainable biocontrol potential. In pot experiments, the biocontrol efficacy of B. cereus C1-7 was high, showing complete inhibition of root gall or egg mass formation by RKN in carrot and tomato plants, and subsequently reducing RKN damage and suppressing nematode population growth, respectively. Light microscopy of RKN-infected carrot root tissues treated with C1-7 showed reduced formation of gall cells and fully developed giant cells, while extensive gall cells and fully mature giant cells with prominent cell wall ingrowths formed in the untreated control plants infected with RKNs. These histopathological characteristics may be the result of residual or systemic biocontrol activity of the bacterium, which may coincide with the biocontrol efficacies of nematodes in po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B. cereus C1-7 can be used as a biocontrol agent for M. hapl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