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om Unit

검색결과 702건 처리시간 0.029초

인천지역 백화점 유통 계란의 위생적 품질상태 (Hygienic quality of eggs in the department food stores in the Incheon Metropolitan area)

  • 이성모;김경호;이정구;박은정;이승환;홍종해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29-136
    • /
    • 2002
  • 본 조사는 계란 유통실태 및 위생상태를 파악하여 품질향상과 위생관리에 도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하고자, 2001년 3~4개월에 인천광역시 5개 백화점 식품매장에서 총 57종의 계란을 구입하여 조사하였다. 계란의 포장은 10개 이하의 소량 단위포장 비율이 높았고, 전 품목을 실온에서 보관하였다. 유통기한은 40종(70.2%)이 28일 이상으로 표기하였다. 유통되는 특수란은 31종(54.4%) 이었다. 유통기한과 산란일자는 모든 품목에서 표시되었으며 주로 상표나 난좌에 표기되었다. 내용량에 대한 표시는 38종(66.6%)만이 실시하였다. 난각에 분변이나 털이 있는 경우 27건(9.5%), 난각이 기형이거나 깨진 경우 11건(3.9%), 난 내용물에 혈반이나 육반등의 이물이 있는 경우는 42건(14.7%), 상한 계란은 5건(1.8%)이 유통되었다. Haugh Unit(HU)검사결과 평균은 56.1이었으며, HU 31 미만의 품질저하 계란은 18개(6.3%)이었고,총 57종 중 12종(21.1%)에서 1개 이상의 품질저하 계란이 조사되었다. 난각의 일반세균 오염수준은 <10-8.2$\times$$10^3$cfu/ml로 고르게 분포하였고, 대장균은 8건(4.7%)이 검출되었다. 총 28개의 계란(난황)에서 Salmonella enteritidis는 검출되지 않았고, 계란에 잔류하는 항생물질은 1종에서 테트라사이클린 계열이 검출되었다. 그 동안 위생관리의 사각지대에 있었던 계란에 대한 품질관리와 유통개선을 위한 법적, 제도적 근거가 마련되면, 계란의 표시 및 품질기준 등 사양관리에서부터 유통단계에 이르는 전반적인 안전성 관리방안이 검토되고 보완되어야할 것이다.

선박 밀폐 공간 무선통신 구현을 위한 표면파 통신의 선박 활용연구 (Experimental Study of the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y Surface Wave Communication through Confined Spaces on Vessels)

  • 공진우;송석근;김학선;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 /
    • 제45권6호
    • /
    • pp.366-371
    • /
    • 2021
  • 금속 표면을 매질로 하는 표면파 통신을 선박에 적용하여 무선통신 환경 구현이 어려운 선내 밀폐 공간을 극복하는 표면파 통신 기반의 선내 무선 통신 구현 기술에 관한 연구이다. 표면파 통신을 실제 선박에서 실험하기 위해 선교를 기준으로 선수창고, 갑판창고, 선실, 기관실, 화물창고 등 선박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경로를 대상으로 표면파 발생기를 설치하여 통신 속도 등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각 구역에서 평균 13Mbps 수준의 통신 속도를 확인하였고, 기관실의 경우 정박 중 선박 엔진을 구동했을 시 4.3Mbps, 운항 중에 1.2Mbps의 전송속도 저하가 확인 되었지만, 시험 장비의 설치 위치를 기관실 입구로 변경하면 극복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완전 밀폐 환경인 선수 창고에서는 기존 무선통신보다 8Mbps 이상 높은 전송속도를 확인하여 철 구조물로 둘러싸인 선내 밀폐 공간에서 표면파 통신의 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선박의 두꺼운 페인트 문제 해결을 위해 표면파 발생기를 추가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본 실험을 바탕으로 표면파 통신을 적용한 M-IoT 구현 등 선박내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RF 방식의 무선 제어 기능을 내장한 스마트 도로 표지병 시스템에 대한 연구 (A Study on Smart Road Stud System with RF Wireless Control)

  • 김형식;전준혁;김희준;안준선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2권3호
    • /
    • pp.282-289
    • /
    • 2019
  • 반사형 및 태양광 LED 도로 표지병은 도로 환경에 대한 시인성 확보 방법 중 하나로 사용되고 있다. 도로 표지병은 반사형 과 태양광 LED의 개별 제품으로는 범용성, 효율성, 간편성 및 시인성에 대한 장, 단점이 존재 하나 해당 부분 이외에 사고 후 2차 사고 방지 및 기타 교통 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확장성을 가지기 어렵다는 공통적인 단점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은 기존 태양광 LED 도로 표지병에 RF 방식의 통신을 사용한 무선 제어 기능을 내장한 도로 표지병과 이를 제어하는 시스템에 대해 제안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을 스마트 도로 표지병 시스템이라 하였으며 기존 태양광 LED 도로 표지병에 RF 방식의 통신 기능을 내장하여 중앙 통제실과 연계된 중앙제어장치 및 중계기를 통하여 해당 기기를 제어 할 수 있다. 또한 도로 상태에 따라 점등 방법, 색상 등의 제어가 가능하기 때문에 도로의 상태를 운전자에게 제공하여 사고 후 2차사고 방지에 대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LED 및 RF통신의 지속적인 전력 소모량을 최소화 하는 기능을 추가 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의 유효성을 검증하기 위해 시작품을 제작 하였으며 기존의 시인성 확보를 통한 사고 방지 기능 외에 기타 교통 시스템과의 연계에 의한 사고 후 2차사고 방지 기능에 대학 역할이 가능함을 확인 하였다.

선박 밀폐 공간 무선통신 구현을 위한 표면파 통신의 선박 활용 연구 (Experimental Study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by Surface wave Communication through Confined Spaces on Vessels)

  • 공진우;송석근;김학선;김부영;심우성
    • 한국항해항만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항해항만학회 2021년도 추계학술대회
    • /
    • pp.127-128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금속 표면을 매질로 하는 표면파 통신을 선박에 적용하여 무선통신 환경 구현이 어려운 선내 밀폐 공간을 극복하는 무선 통신 구현 가능성을 확인 하였다. 실험 선박은 순톤수 265톤 예인선박으로 선교를 기준으로 선수창고, 갑판창고, 선실, 기관실, 화물창고 등 선박 내부 공간을 관통하는 경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 결과, 각 구역에서 평균 13Mbps 수준의 통신속도를 확인하였고, 기관실의 경우 정박 중 선박 엔진을 구동했을 시 4.3Mbps, 운항 중에 1.2Mbps의 전송속도 저하가 확인 되었지만, 시험 장비의 설치 위치를 일부 변경하여 극복 가능함을 확인하였다. 완전 밀폐 환경인 선수창고에서는 기존 무선통신보다 8Mbps 이상 높은 전송속도를 확인하여 철 구조물로 둘러싸인 선내 밀폐 공간에서 표면파 통신의 우수성을 확인하였고, 선박의 두꺼운 페인트 문제 해결을 위해 표면파 발생기를 추가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본 실험을 바탕으로 표면파 통신을 적용한 IoT 구현 등 선박 내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구현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Trend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in Neurology-Neurosurgery Adult Patients in South Korea : A Nationwide Population-Based Cohort Study

  • Saeyeon Kim;Tak Kyu Oh;In-Ae Song;Young-Tae Jeon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67권1호
    • /
    • pp.84-93
    • /
    • 2024
  • Objective : We aimed to examine trends in critically ill neurology-neurosurgery (NNS) patients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nsive care unit (ICU) in South Korea and identify risk factors for in-hospital mortality after ICU admission in NNS patients. Methods : This nationwide population-based retrospective cohort study enrolled adult NNS adult patients admitted to the ICU from 2010 to 2019 extracted from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Service in South Korea. The critically ill NNS patients were defined as those whose main admission departments were neurology or neurosurgery at ICU admission. The number of ICU admission, age, and total cost for hospitalization from 2010 to 2019 in critically ill NNS patients were examined as trend information. Moreover, multivariable logistic regression modeling was used to identify risk factors for in-hospital mortality among critically ill NNS patients. Results : We included 845474 ICU admission cases for 679376 critically ill NNS patients in South Korea between January 1, 2010 to December 31, 2019. The total number of ICU admissions among NNS patients was 79522 in 2010, which increased to 91502 in 2019. The mean age rose from 62.8 years (standard deviation [SD], 15.6) in 2010 to 66.6 years (SD, 15.2) in 2019, and the average total cost for hospitalization per each patient consistently increased from 6206.1 USD (SD, 5218.5) in 2010 to 10745.4 USD (SD, 10917.4) in 2019. In-hospital mortality occurred in 75455 patients (8.9%). Risk factors strongly associated with increased in-hospital mortality were the usage of mechanical ventilator (adjusted odds ratio [aOR], 19.83; 95% confidence interval [CI], 19.42-20.26; p<0.001), extracorporeal membrane oxygenation (aOR, 3.49; 95% CI, 2.42-5.02; p<0.001), and continuous renal replacement therapy (aOR, 6.47; 95% CI, 6.02-6.96; p<0.001). In addition, direct admission to ICU from the emergency room (aOR, 1.38; 95% CI, 1.36-1.41; p<0.001) and brain cancer as the main diagnosis (aOR, 1.30; 95% CI, 1.22-1.39; p<0.001) are also potential risk factors for increased in-hospital mortality. Conclusion : In South Korea, the number of ICU admissions increased among critically ill NNS patients from 2010 to 2019. The average age and total costs for hospitalization also increased. Some potential risk factors are found to increase in-hospital mortality among critically ill NNS patients.

실내 다짐시험을 통한 유기물 함량에 따른 저온 다짐 특성 분석 (Evaluation of Low-temperature Compact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Organic Matter Content through Laboratory Compaction Tests)

  • 최현준;김세원;이승주;박현태;최항석;김영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40권3호
    • /
    • pp.93-100
    • /
    • 2024
  • 저온 다짐의 경우 간극수 동결이 발생되어 상온에서의 다짐 특성과 상이한 양상이 발생된다. 특히, 캐나다 알버타주와 같이 유기질토가 많이 분포되어 있는 지역에서는 보수성과 압축성이 크고 동결·융해에 민감한 유기질토의 특성에 따라 유기물 함량이 다짐 성능에 주요한 영향을 미친다. 알버타주는 환경규제로 인하여 굴착토를 활용하여 되메움을 수행해야 하며 고위도에 위치하는 지리적인 특성으로 동절기가 길어 건설공사를 진행하기에 불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유기질토의 유기질 함량에 따른 저온 다짐 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실내 다짐시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유기질 함량이 증가할수록 최적함수비가 증가하였고 최대건조단위중량이 최대 21.9% 만큼 감소되었다. 또한, -4℃ 이하의 온도조건에서는 최적함수비가 나타나지 않고 함수비가 증가할수록 건조단위중량이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Portable X-ray 검사 시 주변 환자 피폭선량 감소 방안 연구 (Analysis of dose reduction of surrounding patients in Portable X-ray)

  • 최대연;고성진;강세식;김창수;김정훈;김동현;최석윤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113-120
    • /
    • 2013
  • 현대시대는 환자에 대한 의료제도가 의료서비스 개념으로 변화되고 있다. 이렇게 인간의 권리가 높아지고 환자가 고객이 되는 시대로 변화됨으로써 환자의 권리나 요구도 날로 증가되고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여러 가지 병원 시스템도 환자의 편의나 요구에 맞춰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로 인해 일반촬영 검사 중 Portable 검사의 Case도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Portable 검사의 Case가 증가하면서 병실, 중환자실, 수술실, 회복실에서 Portable검사로 인하여 주변 환자들의 원하지 않는 의료 피폭이 발생하기 때문에 법적으로도 이를 규제하고 있다. 실제로 진단용 방사선 발생장치의 안전관리에 관한 규칙 중 방사선 방어시설의 검사기준에서 "수술실, 응급실 또는 중환자실 외의 장소에서 촬영할 경우 반드시 이동형 진료용엑스선 방어칸막이를 갖추어야 한다."고 명시되어 있지만 이는 거의 시행되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X-ray Potable 검사를 통해 주변 환자가 받는 피폭선량을 알아보고 피폭선량 감소 방안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Mobile Portable 장비에서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여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 Portable tube와 Collimator의 각도 변화에 따른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 환자 침대의 거리변화에 따른 차폐 전과 후의 선량 변화를 각각 측정한 뒤 차폐효과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한 후 선량 변화는 차폐하지 않았을 때보다 약 20%의 차폐효과를 보였다. Portable 검사 중 비 차폐 시 각도가 $0^{\circ}C$, $90^{\circ}C$, $45^{\circ}C$ 순서로 피폭선량이 증가하였으며, 각도를 주었을 때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면 피폭 선량은 감소하였다. 또한 환자 침대 거리는 비 차폐 시 0.5m보다 1m에서 피폭선량이 현저히 감소하였고 침대 간 거리 변화 시 Collimator 주변 차폐 후 선량 변화는 감소하였다. 주변 환자 피폭선량 감소 측면에서 볼 때 침대거리를 가능한 멀리 떨어뜨리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차폐효과가 약 100% 내외로 상당한 효과를 볼 수 있다. 그 다음은 Collimator를 차폐하는 방법으로 차폐효과가 약 20% 정도를 나타내며, 각도를 제한하는 방법으로 약 10% 내외의 효과를 나타낸다. Portable 검사 시 환자 피폭선량을 감소하기 위해 가능한 환자 및 보호자를 적정거리 이상으로 이동시킨 후에 실시하는 것이 가장 좋겠지만 환자가 움직일 수 없고 침대가 고정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Collimator 주변을 차폐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검사를 시행할 때 tube와 Collimator의 각도를 가능한 90도로 시행하도록 하고 90도가 안될 경우는 0도로 시행하되 45도는 가능한 지양하도록 한다. 방사선관계종사자들은 Portable 검사에서 위와 같은 결과들을 인식하고 실제 본인에게 적용시켜야 하며 효율적인 방사선 방어와 피폭선량을 감소시킬 수 있는 방안에 대한 노력과 연구에 힘써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종합병원 병동부 1인 병실 적용에 따른 기능효율성에 관한 연구 - 간호거점에서 병상간의 거리를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Functional Efficiency according to Composition of Single Bedroom in Ward - Focused on Distance from NS to Bed -)

  • 김길채;이현진;권준범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21권2호
    • /
    • pp.17-24
    • /
    • 2015
  • Purpose: This study examines distance from nurse station to bed according to composition of single bedroom. Methods: This study has two groups of target sample ward planes. The first group has diverse patients bedroom. The other group is 36 single bedrooms and 2 3-bedrooms. The guideline of distance measurement was instituted for consistency. This study has 3 main concepts of the guideline. 1) The distance is shortcut from NS to bed. 2) The traffic line is center line between walls and center of door. 3) The start point is center of NS and the end point is bed. Results: The result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into two points. The first one is that single bedroom has good privacy and longer distance from NS to bed. The second one is that weak point of single bedroom was asked ward operating system and architectural planning like as patients room, bed per unit, location of NS and plan type. Implications: Consideration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for the effective bedroom composition and allocation in ward. This Stuy hopefully serve as a stepping stone for the standard design of space program in ward planning.

공간구문론에 기초한 건강검진센터 동선효율성 분석 연구 - 국가검진프로그램에 대한 수검자의 공간인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raffic Line Efficiency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Based on Space Syntax - Focused on the Spatial Cognition of the Testee Taking the National Examination Program)

  • 송승언;김석태
    • 의료ㆍ복지 건축 : 한국의료복지건축학회 논문집
    • /
    • 제18권4호
    • /
    • pp.53-65
    • /
    • 2012
  • Purpose: With the increasing national interest in health, the number of health examination centers is growing rapidly, and it is growing as independent medical institutes separated from hospitals. With the growing functions and size of health examination institutes, considerations for testees, who are the most important users of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s, have taken the back seat. In particular, for health examination programs that take on a sequential traffic line, it is important to be aware of the space of each examination room, but the lack of a scientific evaluation method for this has resulted in great discomforts for testees using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Method: Thus, this study proposes risk evaluation indices (RCF TCF, RC3, RR, ARR), and set a standard health examination program based on the national health examination program. This was applied to 11 different sized health examination centers to find their features, and together with identifying the trends of the indices, the following results were deduced. Result: 1) ARR showed a wide-range feature as the number of unit spaces increased, while RR were discovered regardless of the size, thus displaying local features. 2) The increase of ARR is affected more by internal factors in the health examination center than from outside factors. 3) By gender, when separating the basic health examination fields, the connective relation of the comprehensive health examination fields had a big effect on ARR. 4) By becoming larger, the fields of function become independent and the waiting space that results from it increases the number of total movement, so there is space for improvement in this.

The Effect of Broadcasting Sow Suckling Grunts in the Lactation Shed on Piglet Growth

  • Cronin, G.M.;Leeson, E.;Cronin, J.G.;Barnett, J.L.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4권7호
    • /
    • pp.1019-1023
    • /
    • 2001
  • An on-farm trial was conducted in temperature-controlled lactation rooms at a commercial pig farm to investigate the efficacy of broadcasting sow suckling grunts from day 4 of lactation, on increasing piglet growth to weaning. In the Broadcast treatment, sows and litters were exposed to a 3-min broadcast from loud-speakers every 42 min. The Control treatment was not exposed to the broadcast. All sows and litters had similar husbandry and piglets were provided with creep feed on the floor twice daily. In each of the three replicates in time, the Broadcast and Control treatments were allocated to different lactation rooms at random and there were 12 sows and litters per treatment per replicate. A total of four identical lactation rooms were available for the trial, each containing 28 conventional sow and litter crates with piglet heater in the creep area. A non-trial room separated the two treatment rooms in each replicate to minimise the chance that the broadcast grunt stimulation was audible to the Control treatment litters. Five "normal and average-looking" piglets from the trial litters were weighed twice, 7 d apart. The cohort of five piglets was identified by ear-tags and formed the experimental unit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The average (${\pm}SD$) age of piglets at initial weighing was 7.7(${\pm}2.22$) days. For each litter, mean piglet live weight at day 14 of lactation was estimated by linear regression of the two weights recorded seven days apart, when on average, the Broadcast treatment had been exposed to the stimulation for 10 days. Piglets in the Broadcast treatment were heavier (p<0.01) at day 14 of lactation compared to Control treatment (4.24 and 3.92 kg, respectively) and tended to have a greater average daily weight gain over the 7-d period (245 and 228 g/day, respectively; p<0.08). The results suggest piglet growth was improved by about 8% in response to the regular, timed broadcast of sow suckling grunts in the lactation shed. The independent contributions of milk and creep feed to the improved growth remain to be determin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