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oad construction

검색결과 2,054건 처리시간 0.024초

CONSTRUCTION COST INDEX FOR APPLYING INDEX ADJUSTMENT RATE IN THE ROAD PROJECT

  • Jin-Young Chun;Sungkwon Woo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1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 /
    • pp.1112-1117
    • /
    • 2005
  • Construction cost index is generally used to estimate the new project cost based on past construction data and to adjust contract cost when the price change of various articles and items of expenditure composing the contract occurs. In Korea, it is mostly used for adjustment of construction contract cost due to fluctuation of prices. However index adjustment rate which is used for adjustment of construction contract cost had some problems in calculating cost index of each expenditure item that could not reflect properly the change of construction cost. For supplementing these problems, the research of developing construction cost index has been executed. Through the precedent research, these problems were partially resolved but still remain. Therefore this research proposes method of making cost index that utilizes representative items of labor, material, and equipment by analyzing bill of quantity of road construction,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of precedent study. By using this method, it is expected to solve problems which were not reflected in precedent studies.

  • PDF

국도의 경관변화 평가-교외지역 국도를 중심으로- (Landscape Changes Assessment of the National Road-Focused on the National Road in Suburb Areas-)

  • 홍영록;권상준;조태동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92-102
    • /
    • 2004
  • 본 연구는 국도의 경관구성요소인 산, 하늘, 도로포장면, 가로수, 논밭, 간판ㆍ전신주, 건물, 구조체, 비탈면, 방호ㆍ방음벽, 중앙분리대의 시각량 분석을 통하여 시대별 경관변화를 파악한 결과, 1.국도의 경관구성요소 중 각 시대별로 가장 높은 시각량을 나타낸 것은 도로포장면으로서 국도경관을 분석 평가함에 있어서 도로의 선형은 시각적으로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로 다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국도의 시대별 경관변화는 중앙분리대(F=33.296)와 가로수(F=32.881)에 의한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순으로는 하늘(F=24.735)과 산(F=23.477)이 유사한 정도의 차이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건물과 구조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음이 판명되었다. 3.국도건설은 점차적으로 자연적 요소의 감소와 인공적 요소에 의한 경관이 주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국도건설이 경관적ㆍ생태적 건강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성과 이동성의 기능중심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도로 공사중의 교통영향권역 설정 및 적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Traffic Effect Zone and Application of Road Occupying Construction)

  • 이주호;이영우;임채문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6권2호
    • /
    • pp.131-139
    • /
    • 2003
  • The links operating interrupted flow are intend to yield the traffic between the out flow and inflow part effect zone of street section, we build the delay model using the time gap between under construction and not. We review the applicability of interrupted flow, and thus we can put this data to practical use as the basis data to compute the inducement charge for traffic delay. Also building about traffic effect zone of interrupted flow wouldn't produce at the section beside occupying roads and construction cross section, thus we must review the plan to minimize traffic delay by the construction occupying road. In future there must be advanced the incomplete in this study, and groping for the various alternatives to minimize the traffic delay by the road occupying construction, with developing the various sets of detailed analyzing models, that is analysis on the street strength, crossroads geometrical forms of crossroads, public traffics, pedestrians, occupying types.

  • PDF

공정관리 적용에 관한 연구: 도로현장 중심으로 (Implementation of Time Management; Based on Road Construction Projects)

  • 이규선;박희성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1권3D호
    • /
    • pp.451-456
    • /
    • 2011
  • 공정관리의 원활한 수행은 프로젝트의 성패와 직접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 효율적인 공정관리업무를 수행을 위해 새로운 공정관리기술의 도입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로건설 현장의 공정관리 업무 및 활용기법의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 및 린 건설이론의 현장 적용정도를 파악하였다. 그리고 공정관리 측면에서 린 건설도입방안을 도출함으로써 도로 현장의 효율적인 공정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이는 현장에서 효율적인 공정계획을 수립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며 추후 현장 현황을 고려한 공정관리 시스템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이러한 개선방안 및 도입방안을 현장에 적용하여 성과를 분석하는 연구가 추후에 수행되어져야 할 것으로 기대한다.

A Markov-based prediction model of tunnel geology, construction time, and construction costs

  • Mahmoodzadeh, Arsalan;Mohammadi, Mokhtar;Ali, Hunar Farid Hama;Salim, Sirwan Ghafoor;Abdulhamid, Sazan Nariman;Ibrahim, Hawkar Hashim;Rashidi, Shima
    • Geomechanics and Engineering
    • /
    • 제28권4호
    • /
    • pp.421-435
    • /
    • 2022
  • The necessity of estimating the time and cost required for tunnel construction has led to extensive research in this regard. Since geological conditions are significant factors in terms of time and cost of road tunnels, considering these conditions is crucial. Uncertainties about the geological conditions of a tunnel alignment cause difficulties in planning ahead of the required construction time and costs. In this paper, the continuous-space, discrete-state Markov process has been used to predict geological conditions. The Monte-Carlo (MC) simulation (MCS) method is employed to estimate the construction time and costs of a road tunnel project using the input data obtained from six tunneling expert questionnaires. In the first case, the input data obtained from each expert are individually considered and in the second case, they are simultaneously considered. Finally, a comparison of these two modes based on the technique presented in this article suggests considering views of several experts simultaneously to reduce uncertainties and ensure the results obtained for geological conditions and the construction time and costs.

임도개설(林道開設)이 계류수질(溪流水質)에 미치는 영향(影響)(I) - 임도개설(林道開設)에 따른 부유토사량(浮遊土砂量)의 변화(變化) - (Effects of Forest Road Construction on Stream Water Qualities(I) - The Variation of Suspended Sediment by Forest Road Construction -)

  • 전근우;김민식;에자키 츠기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280-287
    • /
    • 1996
  • 강원대학교(江原大學校) 임과대학(林科大學) 부속연습림(附屬演習林)내의 임도밀도가 상이한 3유역(유역(流域) A : 6.67m/ha, B : 5.52m/ha 및 C : 미개설(未開設))의 산지급류하천을 대상으로 임도개설 전 후인 1994년 및 1995년의 강우량 변화에 따른 부유토사의 유출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일강우량(日降雨量)이 적은 5~6월 사이에는 1994년과 1995년 모두 일유출량(日流出量)이 $0.25{\times}10^4m^3/day$ 이하였으나, 호우기(豪雨期)인 7~8월에는 일강우량에 비례하여 강우기간 중에는 $5.0{\times}10^4m^3/day$ 이상을 나타내는 등 일유출수량은 일강우량의 증감에 민감하게 반응하였다. 그러나 일유출량이 $25{\times}10^4m^3/day$ 이상은 1994년에는 2회였으나, 1995년에는 7회로 강우량이 풍부하였다. 2. 부유토사량은 임도개설전의 일강우량(日降雨量) 74mm, 92mm 및 120mm와 임도개설후의 일강우량 21mm 및 47mm에는 3유역 모두 하천수(河川水) 규제기준인 25mg/l 이하였다. 그러나 192mm의 강우에는 C유역은 변화가 없었으나, A와 B유역의 평균 부유토사량은 1,525mg/l 및 775mg/l으로 하천수 규제기준의 61배 및 31배였으며, 강우종료후 35시간동안 지속적으로 유출되었다. 3. 최대부유토사량(最大浮遊土砂量) 역시 임도개설전의 강우와 임도개설후의 적은 강우에서는 하천수 규제기준 이하였다. 그러나 일강우량 192mm인 경우에 A, B유역의 최대부유토사량은 하천수 규제기준씩 526배와 108배인 13,150mg/l 및 2,690mg/l을 기록하여 토사유출에 따른 수질오염을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임도개설이 부유토사 유출에 크게 영향을 미치며, 특히 임도밀도가 높은 유역일수록 강우량이 증가함에 따라 다량의 토사가 유출되고 있음이 확인되었으므로 부유토사의 생산원(生産源)인 임도비탈면 보호를 위한 식생공(植生工) 및 토목공(土木工)은 물론 침사지(沈砂池)와 같은 방재시설(防災施設)에 대한 대책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 PDF

조건부가치추정법을 이용한 도로의 경제가치 추정에 관한 실증적 연구 - 수원시 47번 도로건설계획을 중심으로 (A Critical Assessment of the Economical Value of Road on Housing Prices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 focus on the road construction plan of 47th of Suwon si -)

  • 박기학
    • 자원ㆍ환경경제연구
    • /
    • 제21권4호
    • /
    • pp.999-1024
    • /
    • 2012
  • 본 연구는 주택의 자산가치, 즉 부동산 가격에서 '도로'가 차지하는 금전적 가치를 추정해보고자, 최초 아파트 분양 시 시공사 또는 분양대행사(시행사)가 아파트 인근의 '신 도로건설계획'을 가장 큰 호재(好材)라고 내세웠으나, 아파트 입주 후 도로건설계획이 전면 무산된 실제 사례를 선정하여 '도로'의 경제적 가치를 조건부가치추정법(CVM)을 활용한 지불의사금액(WTP)으로써 살펴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도출된 WTP는 '신 도로건설계획' 무산 전 후 1년 간(2010년 9월~2011년 9월)으로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해당 아파트의 가격 변동치와 '부동산 114'에서 발표한 시세(市勢), 그리고 해당 아파트 입주민들이 주장하는 아파트의 자산가치 변화에 따른 체감(體感)을 비교한 실증적 사례이다. 본 연구 분석결과 입주민들의 WTP는 집값의 약 10%정도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같은 기간동안 국토해양부에서 고시한 아파트가격 변동폭(10% 하락)과는 유사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부동산 114'에서 발표한 아파트 실물 거래시장에서의 시세하락 폭은 이보다 훨씬 더 큰 것(24%)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아파트 분양 시 호재(好材)로 작용 할 것이라던 '도로건설계획'의 무산에 따른 파급효과는 주민들이 느끼는 것보다 훨씬 더 심각하게 아파트 시세(市勢)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었다. 이는 WTP와 관련된 주택의 특성과 조사변인들에 대한 상관관계 분석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주택 구매 시 '도로'는 더이상 단순한 입지적 특성뿐만 아니라, 주택의 자산 가치를 결정하는 중요한 경제적 가치특성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 PDF

도로 수탁공사의 효과적 수행을 위한 방법론 (A Method for the Effective Implementation of a Consignment Contract in Road Constructions)

  • 박권준;김성근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0권2D호
    • /
    • pp.153-161
    • /
    • 2010
  • 지방정부의 도시계획은 지속적인 프로세스로 계획의 수립과 함께 끝나는 것이 아니고 의사결정, 검토와 평가단계를 거쳐서 지속적으로 바뀌는 것이다. 도시계획이 바뀌고 확정됨에 따라서 대규모의 도로를 기존에 수행되고 있던 도로와 연계하여 공사를 수행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기시공된 도로의 폭과 길의 확장, 추가적인 교량 및 터널의 건설, 그리고 인터체인지의 크기와 위치의 변경 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하여 도로설계 및 시공에 많은 변화를 가져오게 된다. 과거에는 제한된 수와 제한된 공종에 한하여 도로 수탁공사가 수행되어 왔으나, 현재는 수행되는 수탁공사의 수도 증가하고 있으며, 대규모 복합공종을 위한 수탁공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수탁공사 수행을 위한 절차나 수탁공사 계약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효과적인 도로 수탁공사를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공사관련 서류들과 전문들의 면담을 통하여 수탁공사 수행을 위한 중요 고려요소를 파악하였고, 이 결과에 근거하여 수탁공사의 표준절차(안)과 수탁공사비 협의를 위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또한 위탁기관이 부담해야 하는 비용에 관한 내용을 제시하였다.

도로 건설현장의 디지털트윈 구현을 위한 디지털 건설정보구조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gital Construction Information Structure for the Implementing Digital Twin of Road Construction Sites)

  • 정태원;지현욱;복진훈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1호
    • /
    • pp.153-166
    • /
    • 2024
  • 스마트건설을 위한 업무의 디지털화는 상호 간의 디지털데이터를 원활하게 교류할 수 있어야 효과가 있으나, 디지털데이터의 표준화 및 활용방안이 부족하다. 본 연구는 도로 건설현장의 정보를 효과적으로 디지털로 변환할 수 있는 디지털 건설정보구조를 제안한다. 연구대상은 도로건설업무에서 중요도가 높은 작업계획, 일정관리, 안전관리, 품질관리이다. 건설정보구조의 핵심은 건설정보를 객체와 작업으로 분리하고, 이 두 정보의 결합으로 단위업무를 정의함으로써 건설정보의 표현 및 수정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다. 객체와 작업은 각자의 계층구조를 가지며, 이 계층구조는 실제 내용에 맞추어 가변형으로 정의하였다. 이는 효율성과 상세성을 동시에 만족하는 구조다. 이 구조를 고속도로 건설공사에 시범적용 하였고, 범용 포맷을 이용해 구조를 디지털로 구현하였다. 본 연구는 현실에 가깝게 도로 건설공사 과정을 디지털화할 수 있으며, 도로건설 전주기의 디지털트윈의 토대가 되어 토목산업의 디지털전환을 가속화 할 것이다.

다기준의사결정법(多基準意思決定法)에 의한 임도개설순위(林道開設順位)의 결정(決定) (Determination of Forest Road Construction Priority Order Using Multiple Criteria Decision Making Methods)

  • 차두송;조구현;김종윤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85권2호
    • /
    • pp.149-157
    • /
    • 1996
  • 본 연구는 22개 지역에 대하여 임목수확 및 무육작업을 위한 임도개설순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다기준의사결정법중에 선호보정이 없는 모형인 최대최소법 및 최대최대법, 선호보정이 있는 모형인 단순가중치법, 계층가중치법 및 TOPSIS법의 적용성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단순가중치법과 TOPSIS법이 임도개설순위의 결정에 적합한 것으로 판명되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