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dscape Changes Assessment of the National Road-Focused on the National Road in Suburb Areas-

국도의 경관변화 평가-교외지역 국도를 중심으로-

  • 홍영록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대학원) ;
  • 권상준 (청주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 조태동 (강릉대학교 환경조경학과)
  • Published : 2004.03.01

Abstract

In this study, landscape changes were examined by periods through the analysis of visual quantity on the landscape components of national road including the mountains, the sky, road pavements, street trees, paddy fields and dry fields, billboard, telegraph pole, building, structure, slope, guard fence, soundproof wall, and median strip etc. For this, subject national road in suburb arreas was selected to grasp its landscape characteristics, and divisional criteria of landscape type of the national road were suggested to look into the trend of landscape changes by periods.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1.Divisional criteria of landscape type of the national road include location and geometry, structure, land use, perspective, and surrounding buildings of the national road. 2.The highest visual quantity was found in road pavements by periods among landscape components of the national road. It was found that this result has a thread of connection with previous study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road geometry as one of landscape components, and road geometry shall be regarded as a visually significant component in analyzing and evaluating landscape of the national road. 3.Most distinguished factors of landscape changes of the national road by periods were median strip(F=33.296) and street tree(F=32.881), and then the sky(F=24.735) and mountain(F=23.477) showed similar level of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However,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 was not found in buildings and structures. 4.It was shown that natural elements decreased gradually but structural landscape made of artificial elements became the main in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road. This result implies that although the scenic and ecological soundness is recognized in construction of the national road, it is not out of the limitation of functionalities that is, access and mobility.

본 연구는 국도의 경관구성요소인 산, 하늘, 도로포장면, 가로수, 논밭, 간판ㆍ전신주, 건물, 구조체, 비탈면, 방호ㆍ방음벽, 중앙분리대의 시각량 분석을 통하여 시대별 경관변화를 파악한 결과, 1.국도의 경관구성요소 중 각 시대별로 가장 높은 시각량을 나타낸 것은 도로포장면으로서 국도경관을 분석 평가함에 있어서 도로의 선형은 시각적으로 중요한 구성요소의 하나로 다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2.국도의 시대별 경관변화는 중앙분리대(F=33.296)와 가로수(F=32.881)에 의한 차이가 가장 두드러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 순으로는 하늘(F=24.735)과 산(F=23.477)이 유사한 정도의 차이값을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건물과 구조체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음이 판명되었다. 3.국도건설은 점차적으로 자연적 요소의 감소와 인공적 요소에 의한 경관이 주를 이루게 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아직까지 국도건설이 경관적ㆍ생태적 건강성을 인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근성과 이동성의 기능중심의 논리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현실적 문제를 보여주는 결과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우(1986), 서울주변지역의 교외화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5쪽
  2. 금기정(2001). 도로건설 및 교통체계에서의 친환경성, 경기논단 2001년 여름호, 30쪽
  3. 김성만(1995), 운전자의 연속적 경험을 돕기 위한 경관 변환점 설정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18쪽, 33-43쪽
  4. 김성호(2000), 도시 가로 유형별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쪽
  5. 김종하, 이정호(2001), 고속국도 인접환경에 대한 도시경관의 구조에 관한 연구-대구를 통과하는 경부고속국도를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17(6): 146
  6. 김학범, 장동수, 김정태(2000), 지방도로 주변 경관개선에 관한 연구-안성38국도의 주요 조망지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18(2): 93
  7. 박창만(1978). 운전자를 중심으로 본 도로경관의 구성기법에 관한 연구-우리나라 국도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01쪽
  8. 손원표, 권오섭 , 최한길 (2002), 경관을 고려한 도로선형설계, 한국도로포장공학회지 4(3): 29
  9. 유장호(2000), 도시근교경관의 유형과 그 평가-서울-이천국도변 경관을 중심으로. 서을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쪽
  10. 이영교(1986), 도시 농촌 접경지역의 토지이용에 관한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61쪽
  11. 정재만(1995). 도시 진입도로의 경관평가에 관한 연구-청주시 진입도로중 국도17, 36호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6쪽
  12. 채미옥(1982), 시지각 특성을 기초로한 도로경관계획기법에 관한 연구, 서올대 학교 석사학위 논문, 66쪽
  13. 건설교통부(2001). 건설교통부 도로현황조사 2001 02.01 기준
  14. 三沢 彰.松崎 薄·宮下修一(1994),自動車道路のうソドスケ一プ計創-環境と景觀の立場からみた道路づくり-, 株式會社ソラトサイエソス社, pp. 63-64
  15. Niall G. Kirkwood(1998), The Art of Landscape Detail. Text to be published by John Wiley & Sons,New York. pp. 2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