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pect for the Rights

검색결과 129건 처리시간 0.02초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가 아동권리 존중양육에 미치는 영향과 양육태도의 매개효과 (The Effect of Parenting Stress on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Parenting Attitudes of Mothers with Young Children)

  • 오하늘;송승민;김정은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93-110
    • /
    • 2023
  •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mediating effect of mother's parenting attitud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mother's parenting stress an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Methods: The questionnaires were answered by 287 mothers with children aged 1 to 5 attending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do, South Korea.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Pearson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First, parenting stress did not directly affect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the mother's parenting stress on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rough affectionate parenting attitudes was significant. Third, it was found that parenting stress indirectly affects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rough a rejection parenting attitude. Conclusion/Implications: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mother's parenting stress indirectly affected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through parenting attitude. Based on this result, parent education and programs need to be developed to increase respect for children's rights.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 항목 :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Care-giving Activities to Enhanc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 Based on Care-giving Teachers' Recongnition of Their Activities to Increas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 김진숙;서영숙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33-162
    • /
    • 2012
  • 이 연구는 보육교사가 인식한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을 조사하고, 이 조사한 내용을 분석으로 실행내용의 항목을 추출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보육교사 각 6명씩 두 그룹으로 구성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보육현장의 하루 일과 속에서 영유아의 권리가 존중되거나 존중받지 못하는 사례를 중심으로 의미 있는 실행내용을 분석한 결과, 등원 시간, 정리 시간, 기본욕구, 소집단활동, 자유선택활동, 점심시간, 낮잠 시간, 특별활동, 자율성 존중, 의사 존중, 개별성 존중, 정보 제공으로 총 12개 하위영역과 40개 항목이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실행내용으로 추출되었다. 이러한 실행내용은 보육현장에서 일어나는 모든 활동이 영유아의 최선의 이익을 고려하고 진행되어져야 함을 의미한다.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on the Convergent Relationship between Respect for Human Rights and School Adjustment of Adolescents)

  • 차유미;차성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0권10호
    • /
    • pp.207-214
    • /
    • 2019
  • 본 논문은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데 목적이 있다. 분석자료는 2016년 한국아동 청소년인권실태조사의 중학교 2학년 2,36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을 적용하여 모형 적합도를 검증하고, 부트스트랩을 적용하여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모형의 적합도가 적합하였으며, 청소년의 인권존중과 학교적응의 융합적 관계를 자아존중감이 유의미하게 매개하였다. 즉, 청소년들이 인권존중 경험이 많을수록 자아존중감이 높고,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학교적응을 잘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학교적응도를 높이기 위해 교사에 대한 인권교육 강화, 인권존중과 자아존중감을 접목한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 안선신;윤현숙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71-84
    • /
    • 2019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있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291부를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감 하위요인인 외적행복과 자기조절행복은 보육교사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은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아권리존중 하위요인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보육교사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발달권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 셀프리더십, 유아권리존중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시대가 요구하는 유아권리존중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는 제도 및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태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Respect your child's decisions Effect of parental attitude on human rights awareness: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 정영미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2호
    • /
    • pp.77-82
    • /
    • 2022
  • 본 연구는 초등학생(4~6학년)을 대상으로 부모의 태도와 인권의식, 자아존중감과의 관계를 토대로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의 태도가 인권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태도와 인권의식 관계를 매개하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결과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태도와 인권의식,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모두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태도와 인권의식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의사결정을 존중하는 부모의 양육태도나 인권의식의 관계를 자아존중감을 통해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아동의 기본 권리에 자녀의 의사결정과 참여를 존중하는 부모의 역할이 필요하며, 인권의식을 높이는데 자아존중감의 매개적 역할의 중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어머니와 두 아들의 상호존중 권리실천 이야기 (A Story of Practice of Mutual Respect Rights between a Mother and two Sons)

  • 서영숙;김지은;송은경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9권6호
    • /
    • pp.439-460
    • /
    • 2013
  • 본 연구는 어머니와 두 아들의 '상호존중 권리실천하기' 경험을 살펴 의미를 찾고 가족의 상호존중 권리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와 두 아들을 대상으로 전사, 관찰, 심층면담, 기록물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경험은 어머니와 두 아들과의 상호존중이 충분히 가능하였고 그 과정에서의 첫째 아이 퇴행은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부분이었다. 또한 보호권과 참여권의 갈등은 상호존중의 실천으로 융화되었고, 어머니는 긍정적인 훈육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어머니와 두 아들은 관계를 회복하고 서로를 깊게 이해하게 되었고, 권리실천이 더 진행됨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권리실천이 다른 가족구성원들에게 전이되었고, 어머니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는 용기를 갖게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가정에서의 권리실천 인식과 접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이 제안되었다.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서 영아반 보육교사가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nfant daycare center teacher practicing infant's rights respect in care giving daycare center's daily work)

  • 윤진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6호
    • /
    • pp.407-417
    • /
    • 2017
  • 본 연구의 목적은 영아반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 속에서 영아권리존중보육을 어느 정도 실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J도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 영아반을 담당하는 보육교사 210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어린이집 하루일과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의 실행 수준을 보육교사의 학력, 경력, 연령, 전공에 따라 차이를 검증한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등원시간과 화장실 다녀오는 시간에는 4년제졸업이상 학력교사보다 전문대졸 학력교사가, 등원시간과 낮잠 재우는 시간에는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영아의 권리를 보다 존중하는 보육을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보육교사의 연령과 전공에 따라서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하위영역별로 살펴보아도, 교사의 연령에 따라서는 의사 존중, 개별성 존중, 정보 제공에서 50대 이상 연령교사보다 30~40대 연령교사가, 교사의 전공에 따라서는 자율성 존중, 개별성 존중에서 유아교육 계열 전공교사보다 보육복지 계열 교사가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라 영아의 권리존중보육을 보다 우수하게 실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두 관련변인의 관계성을 살펴본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인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육교사가 어린이집의 하루일과에 따라 실행하는 영아권리존중보육을 많이 할수록 영아 최우선의 원칙에 따른 영아권리존중보육도 많이 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양적 질적으로 우수하고 균형 있는 영아의 권리존중 내실화를 다지는데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nursing teacher's infant right perception on infant care service)

  • 이희경;이정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8권11호
    • /
    • pp.332-339
    • /
    • 2017
  •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영유아 권리에 대한 인식이 보육서비스와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를 알아보았다. 영유아 권리의 측정은 유엔아동권리협약에서 제시한 4대 권리를 중심으로 총 40문항으로 측정하였고 보육서비스는 하루일과 존중, 자율성 존중, 의견 존중, 개성 존중, 그리고 정보제공으로 구분하여 역시 40문항으로 측정하였다. 연구대상은 어린이집에서 근무하는 보육교사 489명이었다. 연구결과에 의하면 보육교사의 영아권리에 대한 인식은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그리고 참여권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영아권리에 대한 인식과 여러 유형의 보육서비스 관련성을 살펴보면 보육서비스에서 발달권과 참여권의 인식이 중요한 요인으로 나타났고 생존권의 인식은 의미 있는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보호권은 보육서비스의 유형 중 자율성, 개별성, 그리고 정보제공에서 의미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역할에 해당하는 아동의 생존과 관련된 보호를 아동권리에서 중요하게 인식하면서도 보육서비스는 주로 아동의 교육적인 측면의 권리를 중요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영아권리유형별 인식차이가 보육서비스의 다양한 유형에서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시사한다.

University Students' Thoughts on Artifical Abortion

  • Kim, Jungae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10권2호
    • /
    • pp.122-129
    • /
    • 2022
  • This study is a phenomenological qualitative study that confirms the structure of college students' thoughts on artificial abortion.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5 March to 10 April 2022. To this end, a total of three interviews were conducted on seven college students aged 20 to 25. Interview data were conducted through analysis and interpretation using the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he Giorgi method, and as a result, 40 semantic units were derived, grouped into six sub-components, and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college students' thoughts on artificial abortion consisted of fetal rights, respect for women's rights, and choices for a healthy life. Based on the above meaning, college students' thoughts on artificial abortion were, in conclusion, that considering the happiness of the baby and the quality of life of the woman, consideration for non-marriage mothers was more urgent than legal sanctions, and that abortion was not irresponsible. Accordingly, this study suggests that understanding and consideration for pregnant women should be prioritized over legal sanctions.

국민 권리존중을 위한 흡연공간 가이드라인 연구 - 실외 독립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Smoking Area Guidelines that Respect the Rights of the People - With a Focus on Independent Outdoor Smoking Areas -)

  • 이병호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2권3호
    • /
    • pp.154-163
    • /
    • 2013
  • Current principles of designating a smoking area within a non-smoking area rely on mere compartmentalization. This causes non-smokers aversion against smokers and smokers complaints about anti-smoking policies, which means both of them are not satisfied with the current scheme. In addition, such a system, far from the original intent of the law, does not provide appropriate respect for people's rights. The biggest problem of the current scheme is that smoking areas are not separated from non-smoking areas. Japan has continued installing independent smoking areas since 2002 and witnessed a decrease in the smoking rate. The country's success is attributable to: the state's active intervention in connection with enterprises; continuous environmental improvements and creation of goods; 'smoking etiquette' campaigns; and the sociality and group consciousness of Japanese people. It is recognized that the synergy of the designation of independent smoking areas and such multi-faceted efforts has led to the nation's accomplishment. Hence, it is required to install independent smoking areas in non-smoking areas in Seoul in order to respect the rights of smokers and non-smokers and resolve conflicts between them. It is not suitable to merely model after Japan's case, however, studies and guidelines that are tailored to Korea's own environment and social atmosphere are required. To ensure that the people recognize the necessity for smoking areas, a social consensus is formed and proper smoking areas are established in a systemic manner, a system for that purpose should connote a symbol of the social consensus and consequent guidelines should take physical elements, human activities and semantic assignment into considera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basic guidelines to install separated smoking areas, which will keep distance between smokers and non-smokers, form a social consensus and establish a sound smoking culture. These would ensure that the rights of both smokers and non-smokers are fully respected and that government policies are trusted by the peop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