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ory of Practice of Mutual Respect Rights between a Mother and two Sons

어머니와 두 아들의 상호존중 권리실천 이야기

  • 서영숙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 김지은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 송은경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 Received : 2013.10.21
  • Accepted : 2013.12.24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a mother's and her two son's 'practice of mutual respect rights' experiences, and to find a solution to inspire the practice of realizing rights of mutual respect within a family. From September 2012 to March 2013,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transcripts, observations, in-depth interviews, and analysis of records were applied to a mother and her two sons. As a result, the mother's experiences showed that she and her two sons had enough mutual respect, and the regression of the first child was a natural and positive part in that process. Also, conflicts between protection rights and participation rights were integrated into a practice of mutual respect, and the mother had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positive discipline. With this practice, the mother and her two sons were able to reconcile their relationships and have deep respect for one another, and family members felt psychologically safe through this practice of rights. In addition, the practice of rights was transferred to other family members, and the mother came to have courage about being an adequate pa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following research could be used to propose concrete contents and to plan how to recognize and access the practice of rights among family members.

본 연구는 어머니와 두 아들의 '상호존중 권리실천하기' 경험을 살펴 의미를 찾고 가족의 상호존중 권리실천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2012년 9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연구 참여자인 어머니와 두 아들을 대상으로 전사, 관찰, 심층면담, 기록물들에 대한 분석을 포함한 질적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어머니의 경험은 어머니와 두 아들과의 상호존중이 충분히 가능하였고 그 과정에서의 첫째 아이 퇴행은 자연스럽고 긍정적인 부분이었다. 또한 보호권과 참여권의 갈등은 상호존중의 실천으로 융화되었고, 어머니는 긍정적인 훈육을 생각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러한 경험으로, 어머니와 두 아들은 관계를 회복하고 서로를 깊게 이해하게 되었고, 권리실천이 더 진행됨에 따라 가족 구성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느끼게 되었다. 또한, 권리실천이 다른 가족구성원들에게 전이되었고, 어머니는 좋은 부모가 될 수 있다는 용기를 갖게 되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앞으로 가정에서의 권리실천 인식과 접근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함이 제안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지선(1985). 어머니의 훈육방법과 아동의 감정이입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충현(2011). 부모의 양육태도와 의사소통 및 자녀의 정서교양이 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한진(2002). 가정에서 아동의 참여권 행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남동현(2010). 참여권에 대한 아동의 인식과 부모-자녀 의사소통방식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 문병환, 김세루(2011). 아버지의 언어적 상호작용과 유아의 셀프리더십 및 유치원 적응력과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97-113.
  6. 배문숙(2003). 청소년의 참여적 권리 확대 방안. 신라대학교 사회정책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사예원(2012). 자녀권리 감수성 향상을 위한 소집단 부모모임의 경험과 의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서정은(2001). 유아인권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9. 서혜정, 김진숙, 서영숙(2010). 아동권리교육이 예비유아교사의 아동권리 인식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회집, 14(6), 35-60.
  10. 서혜정, 서영숙(2009). 가정에서 '유아권리 실천하기'에 대한 한 어머니의 이야기. 유아교육 논집, 13(4), 207-231.
  11. 신지현(2004).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의 아동권리 인식조사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신지현, 김경화(2005). 어린이집 학부모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보육학회지, 5(1) 123-140.
  13. 안사라(2012). 아동권리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어머니의 양육태도와의 관계.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4. 우원미(2010). 청소년의 발달권 및 참여권 수준 실태조사. 총신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윤진희(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천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이기범(1997). 유엔 어린이 청소년 권리조약의 원리와 이해 방안 : 교육권을 중심으로. 아동과 권리, 1(1), 23-34.
  17. 이소라(1998). 아동권리에 대한 아동, 부모,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재연, 안동현, 황옥경, 구정화, 설동훈, 우남희, 이부미, 이양희, 정채옥, 정현숙, 조흥식(2007a). 아동과 권리. 서울 : 창지사.
  19. 이재연(1996). 아동의 권리보장과 보호. 정신건강연구, 15, 46-54.
  20. 이재연(2007b). 한국의 아동권리 : 지난 10년, 앞으로 10년. 한국아동권리학회 10주년 기념 학술대회, 서울. 17-31.
  21. 이혜경(2006). 아동의 참여권에 관한 아동과 부모의 인식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2. 이혜정(2006). 어머니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이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장희수(2008).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조사.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쯔모리 마코토(2000). 어린이와 함께 크는 교사(박향아 옮김). 서울 : 중앙적성출판사(원판 : 2000).
  25. 최미희(2012). 유아기 자녀를 둔 부와 모의 아동권리에 대한 인식 차이 연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최복경(2008). 청소년의 참여 실태와 참여권 향상 방안.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7. 최숙경(2005). 어머니의 훈육방식과 유아의 감정조망수용능력 및 친사회적 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하마다 신지(2008). 일본 아동의 참여권과 참여지원. 한국아동권리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63-78.
  29. 함민아(2012). 부모와의 개방적 의사소통 방식이 아동의 참여권 인식과 행사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0. 황옥경(2010). 아동권리교육의 실태 분석. 아동과 권리, 14(4), 677-706.
  31. 홍승애(2003). 아동의 참여권 행사에 관한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2. Bettelheim Bruno. (2006). A Good Enough Parent, 이만하면 좋은 부모(김성일, 강선보 옮김). 서울 : 창지사(원판 1987).
  33. Cullinan, D. (2002). Student with emotional and behavior disorders: An introduction for teachers and other helping professionals. Upper Saddle River: Merrill Prentice Hall.
  34. Dinkmeyer, Don & McKay D. Gary (1990). Systematic Training for Effective Teaching, 당신도 유능한 부모가 될 수 있다(이경우 옮김). 서울 : 창지사(원판 1985).
  35. Gippenreiter B. Julia. (2006). 내 아이와 어떻게 대화할 것인가(지인혜, 임 나탈리아 옮김). 서울 : 써네스트(원판 2006).
  36. MeCollum, J. A., Ree, Y., & Chen, Y. (2000). Interpreting Patent-Infant Interactions: Cross-Cultural Lessions. Infant and young children, 12, 22-33. https://doi.org/10.1097/00001163-200012040-00008
  37. Nelsen Jane (2010). Positive discipline, 긍정적인 훈육(김선희 옮김). 서울 : 프리미엄북스(원판 2006).
  38. Save the Children (1997). UN Convention the Right of the Child-An International Save the Children Alliance Training Kit. Geneva : International Save the Children Alliance.
  39. Kim Wilson. (2009). To Speak, Participate and Decide : The Child's Right to be Heard, Our Schools, Our Selves : 18, 3; ProQuest Central Basi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