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Care-giving Activities to Enhanc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 Based on Care-giving Teachers' Recongnition of Their Activities to Increas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Kim, Jin Sook (대구한의대학교 중등특수교육과)
Suh, Young Sook (숙명여자대학교 아동복지학부)
Publication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hildcare and Education / v.8, no.3, 2012 , pp. 133-162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is paper, care-giving teachers' recognition of their activities to increas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were studied, and teachers' required actions to enhanc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were analogized. To conduct this survey, focus group interviews were done for 2 groups' care-giving teachers: each group was constructed with 6 teachers. In care-giving teachers' daily work, respected or non-respected various cases on thei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were intensively reviewed. From this result, total 12 sub categories and detail 40 items were extracted as care-giving teachers' required activities to activate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The aforementioned teachers' activities must be conducted as top priority at their care-giving activities for infants and children's rights respect.
Keywords
care-giving; children's rights; infants and young children's rights respect; child-care;
Citations & Related Records
연도 인용수 순위
  • Reference
1 최연철(2009). 유아가 찍은 사진에 귀 기울이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217-237.
2 General Comment No. 7. (2005). Implementing child rights in early childhood, Committee on the Rights of the Child, November.
3 Lansdown, G. (2005). The evolving capacities of the child. Florence, Italy: UNICEF Innocenti Reseach Centre.
4 Leavitt, R. L. (1994). Power and emotion in infant-toddler day care. New York: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5 Project Zero and Reggio Children, Italy. (2001). Making learning visible: Children as individual and group learners. Reggio Emilia, Italy: Reggio Children S.r.l. and Reggio Children/USA.
6 Smith, A. B. (2007). Children and young people's participation rights in educ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ren Rights, 15, 147-164.   DOI   ScienceOn
7 Strauss, A., & Corbin, J. (1990).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grounded theory procedures and techniques. Newbury Park, CA: SAGE Publications, Inc.
8 Stringer, E. T. (2004). Action research in education. Upper Saddle River. NJ: Merrill.
9 Theis, J. (2002). Origins and implications of rights-based programming and child right programming. 아동권리프로그래밍의 기원과 의미.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1-56. 서울: 정민사.
10 고영자, 이완정(2006). 유아교사의 개인주의-집합주의 성향: 유아와 교사의 권리증진을 위한 일 연구. 아동권리연구, 10(1), 1-22.
11 곽노의(1996). 프뢰벨의 인간교육원리와 유치원 교육. 열린유아교육연구, 1(1), 3-22.
12 김경철, 김안나(2009). 기록 작업을 통한 교사의 귀 기울기. 열린유아교육연구, 14(2), 67-89.
13 김세진(2002). 초등학교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아동과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성재, 김후자, 이경자, 이선옥(2000). 포커스 그룹 연구방법. 서울: 현문사.
15 김수지, 신경림(1996). 근거이론의 이해. 서울: 한울 아카데미.
16 김숙자, 김현정, 변선주(2008). 유아인권교육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인식 조사 연구. 유아교육연구, 12(4).
17 김승권(2007). 한국 아동권리의 현황과 권리수준 제고방안. 보건복지포럼 6, 21-36.
18 김정래(1998). 권리주체로서의 '아동'의 의미. 아동권리연구, 2(2), 53-74.
19 김정래(1999). 교육목적으로서 이기주의. 아동권리연구, 26(2), 23-50.
20 김정래(2002). 아동권리향연. 서울: 교육과학사.
21 김진숙, 서혜정(2011). 유아교실에서 유아권리 존중을 위한 실행연구.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5(2), 51-79.
22 문정욱, 서영숙(2008). 어린이집 점심시간의 의미와 운영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4(1), 61-79.
23 박윤창(2003). 아동의 보호받을 권리에서 본 영유아보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2003년도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29-43.
24 박은혜(2009). 유아교사론. 서울: 창지사.
25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2009a). 아동권리협약과 함께 하는 아동.청소년의 권리(보육교사용). 서울. 보건복지가족부.세이브더칠드런.
26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2009b).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 인식 및 요구분석. 유아교육.보육행정연구, 13(3), 213-232.
27 서현아, 배지미(2004). 유치원 교사의 유아수학교육에 대한 인식.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1(1), 115-146.
28 신경림, 장연집, 김영경, 이금재, 최경민, 김혜영, 김옥현, 김영혜 (2004). 질적연구방법 포커스 그룹. 서울: 현문사.
29 안동현 (1997). 아동의 권리 - 필요성, 역사성 및 과제 -. 아동권리연구, 창간호, 9-22.
30 안동현 (2010). 아동과 보육교사의 권리. 2010 추계 보육관련 학회 통합 학술대회(한국아동학회,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 141-148.
31 유네스코(2003). 모든 인간은(유네스코한국위원회 역.). 서울: 사람생각.
32 양심영(2003). 아동인권에 대한 의식. 아동인권교육 포럼. 한국아동단체협의회.
33 양옥승(2004). 재개념론적 관점에서 본 유아교육과정 탐구. 한국영유아보육학, 22(3). 139-170.
34 유해미, 김은설, 황옥경, 김재원(2011). 육아지원기관에서의 아동권리 실태와 증진방안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35 윤진희(2006).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에 대한 교원과 학부모의 인식과 실행에 관한 모형 연구. 동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배근(1997). 아동권리증진을 위한 국제사회의 노력. 아동권리연구, 창간호, 35-46.
37 이소라(1998). 아동의 권리에 대한 아동 부모 교사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옥, 하승민(2002). 아동에 의한 아동권리 모니터링. 한국아동권리학회 춘계학술대회, 75-87.
39 이영환(2003). 아동의 발달권에서 본 영유아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 방향.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47-64.
40 이완정(2010). 아동과 보육교사의 권리에 대하여. 2010 추계 보육관련 학회 통합 학술대회(한국아동학회, 한국방과후아동지도학회, 한국보육학회, 한국보육지원학회), 149-151.
41 이용교(2003). 아동의 참여권에서 본 영유아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89-110.
42 아용교(2004). 영유아보육시설과 유아교육기관에서 영유아의 참여권의 신장 방안. 아동권리연구, 8(2), 169-188.
43 이용교, 황옥경, 김영지, 김형욱, 이중섭, 박경희(2005). 한국의 아동.청소년 권리. 서울: 인간과복지.
44 이재연, 강성희(1997). 권리에 대한 아동의 인식. 아동권리연구, 창간호, 65-83.
45 이재연, 이소라(1998). 아동의 권리에 대한 아동.부모.교사의 인식. 아동권리연구, 2(1), 25-41.
46 이정란(2004). 어린이집에서 교사의 힘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연구, 24(2), 199-221.
47 이혜경(2006). 아동의 참여권에 관한 아동과 부모의 인식.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8 임재택(2003). 아동의 생존권에서 본 영유아보육․교육의 실태와 발전방안.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67-88.
49 전경화(2000). 유아 전통 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과 실태에 대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2), 27-51.
50 정선아(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프로그래밍.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59-62. 서울: 정민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