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 안선신 (광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 윤현숙 (광주대학교 유아교육과)
  • Ahn, Sun Shin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wang Ju University) ;
  • Yoon, Hyun Suk (Dep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Gwang Ju University)
  • 투고 : 2019.04.30
  • 심사 : 2019.06.13
  • 발행 : 2019.06.30

초록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G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서 근무하고있는 보육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최종 291부를 일원배치분산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행복감 하위요인인 외적행복과 자기조절행복은 보육교사학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셀프리더십 하위요인인 행위전략과 인지전략은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유아권리존중 하위요인인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은 보육교사 학력과 경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발달권은 어린이집 유형에 따라서도 차이가 있었다. 둘째, 보육교사의 행복감, 셀프리더십, 유아권리존중 간에도 유의미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유아권리존중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동시대가 요구하는 유아권리존중 인식이 높은 보육교사 양성을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보육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을 증진시키는 제도 및 교육 방안 마련을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확인하는데 그 의의를 둔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how childcare teachers'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influences on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Methods: For this purpose, 350 childcare teachers in G city were surveyed. Data of 291 copies as final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through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First, external and self-regulating happiness sub-factors of happiness, differed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Behavioral and cognitive strategies, the sub-factors of self-leadership, differed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The right to life, right to protection, development rights, and participation rights, which are sub-factors of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differed according to the academic background and career, and the development rights differed depending on the type of childcare center.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among the happiness, self-leadership and respect for young children's rights. Third, the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pect of young children's rights.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is to confirm the necessity of efforts for institutional and educational measures to promote the happiness and self-leadership of childcare teachers as part of efforts to raise childcare teachers who are highly aware of the need to respect young children's rights.

키워드

참고문헌

  1. 고경미, 이선경, 심성경(2014). 유아교사의 교수 몰입도와 행복감 및 전문성 발달수준과의 관계. 한국교원교육연구, 31(1), 69-94. doi:10.24211/tjkte.2014.31.1.69
  2. 고영미, 유영의(2014). 셀프리더십 강좌가 유아교육과 신입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541-560.
  3. 고영미, 유영의, 권혜진(2017).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 기본심리욕구, 내적 통제 소재,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7(1), 29-50. doi:10.18023/kjece.2017.37.1.002
  4. 곽희경(2011). 유아교사의 행복감 및 자아정체감과 교사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5. 구지애(2011). 사립유치원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자기지도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국립국어원(n.d.). 표준국어대사전. https://korean.go.kr에서 2018년 8월 10일 인출
  7. 권석만(2008). 긍정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8. 김명순(2014). 어린이집 교사 재교육 현황 및 전문성 향상을 위한 개선안모색.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9. 김영은(2014). 어린이집 조직문화가 보육교사의 행복감 및 셀프리더십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8(4). 319-340.
  10. 김윤희, 정혜영(2018).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셀프리더십 및 행복감의 구조적 관계.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8(16), 873-892. doi:10.22251/jlcci.2018.18.16.873
  11. 김은경(2014). 어린이집교사의 심리적 안녕감이 역할 수행능력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위덕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김은옥(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 간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김진숙(2009).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영유아권리존중 보육의 의미와 실행수준.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4. 김진영, 성원경(2012). 유치원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전문성 인식과의 관계 연구. 한국직업교육연구, 31(2), 123-140.
  15. 김현심(2014). 보육교사의 보육헌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6. 문영순(2017). 어린이집 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및 직무 만족도에 따른 유아의 어린이집 적응 관계 연구. 총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배성희(2009). 보육교사의 행복이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교육학연구, 22, 25-44.
  18. 보건복지부, 한국보육진흥원(2018). 2018년 제3차 어린이집 평가인증 안내(통합지표). 서울: 한국보육진흥원.
  19. 서영숙, 서혜정, 김진숙(2009). 유아권리와 권리교육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및 요구 분석.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3(3), 215-232.
  20.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2015). 함께 배워요. 영유아를 존중하는 훈육 이해하기 1권. 서울: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
  21.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2017). 아동인권 선임 교사를 위한 안내서 1. 서울: 서울특별시육아종합지원센터.
  22. 서유임(2007). 영.유아권리에 대한 보육교사인식에 관한 연구: 부천시, 광명시, 시흥시를 중심으로. 서울신학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3. 신미숙(2010). 유치원 교사의 자기지도성과 조직 몰입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4. 신상화(2017). 유치원 교사의 아동권리 실행수준 이화.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윤분옥(2016). 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교직헌신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6. 이기영(2007). 교사의 보육신념 보육효능감 직무스트레스 및 영아 기질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7. 이미란, 김정원(2011). 영유아교사의 심리적 안녕감과 교사헌신.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2(2), 243-260.
  28. 이선미, 변혜원, 김혜리(2011).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보육현장에서의 보육교사 리더십.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8(3), 49-79.
  29. 이성아(2014). 영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영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이은정(2016). 영유아교사의 아동권리인식과 문제행동 인식 및 문제행동지도 전략 간의 관계연구.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이재정(2009). 공립 일반계 고등학교 교사가 인식하는 셀프리더십 수준과 직무만족도의 관계. 인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정빈(2017).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자기개발 욕구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3. 이채호, 고태순(2008). 보육교사의 심리적 안녕감, 건강지각 및 건강증진 생활양식에 관한 연구.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12(2), 23-40.
  34. 이혜원(2014). 어린이집 교사의 셀프리더십과 경력몰입간의 관계 및 자기효능감의 조절효과에 관한 연구. 어린이미디어연구, 13(1), 77-93.
  35. 장한별(2015). 보육교사의 셀프리더십이 직무만족도와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6. 전선영(2013).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변인 연구: 원장의 리더십과 보육교사의 심리적안녕감을 중심으로. 가천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정다우리(2013). 어린이집 교사의 행복감 관심사 및 교사 인성과 교사-유아 상호작용과의 관계. 한국영유아보육학, 81, 49-70.
  38. 정민정, 김유진(2009).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도가 심리적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18(1), 65-74. https://doi.org/10.5934/KJHE.2009.18.1.065
  39. 정선아(200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아동권리 프로그래밍. 한국아동권리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59-62.
  40. 좌승화, 이해정(2019). 예비유아교사의 셀프리더십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 교직윤리의식의 매개 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8(1), 105-123. doi:10.30761/ecoece.2019.18.1.105
  41. 주한수(2005). 초등학교 아동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분석. 영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
  42. 중부매일(2017. 10. 29). 보육교사가 가해자인 아동학대사건 5년간 5.1배 '급증'. http://www.jb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815724에서 2018년 9월 8일 인출
  43. 중앙아동보호전문기관(2014). 아동권리 자가 체크리스트(보육교직원용 PDF). http://www.korea1391.go.kr/new/bbs/board.php?bo_table=notice&wr_id=8067에서 2018년 9월 7일 인출
  44. 최영옥(2011). 교사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성향에 따른 사회적 문제해결능력, 직무스트레스 및 행복간의 관계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5. 최윤정, 이경민(2012). 유아교사의 행복교육프로그램 개발 기초연구: 강점계발을 중심으로.유아교육연구, 32(1), 395-415.
  46. 최윤진, 김정희(2014). 어린이집 영아반 교사의 사회적 지지와 소진의 관계에서 심리적 안녕감의 매개 효과. 유아교육학논집, 18(5), 225-246.
  47. 최혜진, 이호필(2015).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셀프리더십이 교수몰입에 미치는 영향. 어린이문학교육연구, 16(2), 515-537.
  48. 한국보육진흥원(2015). Vision보육 18호. http://ebook.kcpi.or.kr/ecatalog.jsp?Dir=41에서 2018년 9월 10일 인출
  49. 황해익(2013). 유아교사의 행복감과 교사효능감의 관계에서 직무만족도의 매개효과.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157-180.
  50. 황해익, 김미진, 김병만(2014). 유아교사의 행복 교육에 대한 개념도 분석.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1), 59-79. doi:10.14698/jkcce.2014.10.1.059
  51. 황해익, 탁정화, 강현미(2015). 보육교사의 감사성향에 따른 행복감과 자아존중감의 관계. 유아교육학논집, 19(1), 299-320.
  52. KBS 뉴스(2016. 7). '어린이집 아동학대' 신고... 해당 교사 자살 시도. KBS뉴스. http://news.kbs.co.kr/news/view.do?ncd=3314842&ref=D에서 2018년 9월 10일 인출
  53. Hills, P., & Argyle, M. (2002). The oxford happiness questionnaire: A compact scale for the measurement of psychological well-being.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3(7), 1073-1082. doi:10.1016/S0191-8869(01)00213-6
  54. Manz, C. C. (1986). Self-leadership: Toward an expended theory of self-influence processes in organizations.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11(3), 585-600. doi:10.5465/amr.1986.4306232
  55. Manz, C. C. & Sims, H. P. (2001). The new superleadership: Leading others to lead themselves. San France, C.A: Berrett-Koehler Publishers.
  56. Moe, A., Pazzaglia, F., & Ronconi, L. (2010). When being able is not enough. The combined value of positive affect and self-efficacy for job satisfaction in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6(5), 1145-1153. doi:10.1016/j.tate.2010.0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