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sidential Environmental Improvement

검색결과 156건 처리시간 0.024초

농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육성을 위한 계획모형(I) - 전남 완도군 정도리지역에서의 사례연구 - (Ecotourism Planning Framework for Korean Rural Communities(I) - A Case Study in Jeongdori, Wandogun, Korea -)

  • 유기준;이경재;오구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2-114
    • /
    • 1998
  • 생태관광은 기존의 대량관광의 폐해와 환경문제의 갈등으로부터 탄생된 대안관광의 한 형태로서 환경, 경제, 교육, 문화 등의 요소들을 광범위하게 포함한다. 생태관광은 자연환경 지역에서 자원의 보호, 보존, 지역경제의 활성화, 수준 높은 관광서비스 제공을 통하여 지속 가능한 개발을 구현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인 관광으로 정의할 수 있다. 친환경적인 관광산업으로서 생태관광은 지역환경 개선 및 소득증대 효과를 통한 농, 어촌지역의 활성화 수단으로서 또한 도시민들에게 양질의 관광, 휴양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국민의 여가욕구를 충족시켜줄 수 있는 공간으로서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생태관광 이론적 고찰을 통해 생태관광 개념을 정리하고 이를 바탕으로 우리 나라 농, 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개발에 적합한 계획모형을 제시하였다. 이와 함께 전라남도 완도군 정도리지역에 계획모형을 적용하는 사례연구를 수행하였다. 사례연구를 통해 본 생태관광 계획모형은 농, 어촌지역의 생태관광지 조성에 있어 실제적인 계획과정으로서 가능성을 보였다.

  • PDF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Comfortable Living Environment by Using real-time Sensors

  • KIM, Chang-Mo;KIM, Ik-Soo;SHIN, Deok-Young;LEE, Hee-Sun;KWON, Seung-Mi;SHIN, Jin-Ho;SHIN, YongSeung
    • 웰빙융합연구
    • /
    • 제5권4호
    • /
    • pp.19-31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indoor air quality in various living spaces using sensors that can measure noise, vibration, fine dust, and odor in real time and to propose optimal indoor air quality maintenance management using Internet of Things(IoT).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Using real-time sensors to monitor physical factors and environmental air pollutants that affect the comfort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Noise, Vibration, Atmospheric Pressure, Blue Light, Formaldehyde, Hydrogen Sulfide, Illumination, Temperature, Ozone, PM10, Aldehyde, Amine, LVOCs and TVOCs were measured. It were measured every 1 seconds from 4 offices and 4 stores on a small scale from November 2018 to January 2019. Results: The difference between illuminance and blue light for each measuring point was found to depend on lighting time, and the ratio of blue light in total illumination was 0.358 ~ 0.393. Formaldehyde and hydrogen sulphide were found to be higher than those that temporarily attract people in an indoor office space that is constantly active, requiring office air ventilation. The noise was found to be 50dB higher than the office WHO recommendation noise level of 35 ~ 40dB. The most important factors for indoor environmental quality were temperature> humidity> illumination> blue light in turn. Conclusions: Various factors that determine the comfort of indoor living space can be measured with real-time sensors. Further, it is judged that the use of IoT can help maintain indoor air quality comfortably.

서울시 도시환경정비사업 내 공개공지 활성화를 위한 제도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egal Policies for Activating Public Open Space in Urban Environment Improving Project of Seoul City)

  • 김도경;김건영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9권5호
    • /
    • pp.21-32
    • /
    • 2011
  • 지구단위계획에서는 형식적으로 조성되는 경직된 제도의 모습을 벗어나기 위하여 구역 내 총체적인 계획의 일부분으로 건물 세부 기준뿐만 아니라, 공개공지의 배치, 형태 및 포상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 있다.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2005년 수립)이 그동안 도심부의 여건 변화를 반영하기 위하여 재정비되면서 구역별 개발유도 지침에 공개공지 부문이 세분화 되었다. 이러한 제도가 공개공지계획에 있어 실효성 있는 제도인지 개정 전 후를 비교해 본 결과, 도시 및 주거 환경정비법 상 공개공지 관련 수립지침의 부재로 공개공지계획 시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건축법과 별반 다를 것이 없는 항목이 신설되어 개정되기 전과 괄목할만한 변경사항이 없다는 분석 내용이다. 지구단위계획과 비교 분석해 본 결과, 지구단위계획 상 공개공지계획은 상위법인 건축법, 서울시 건축조례와 동일한 조성 기준이 한가지만 존재하고, 대부분은 제1종지구단위계획수립지침을 통해 신설된 조성 기준들이다. 반면, 도시환경정비기본계획상 공개공지계획의 속성은 절반이 상위법인 건축법과 서울시 건축조례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항목이다. 건축법과 같은 공통적으로 지켜야 하는 상위법에서는 설치기준 등과 같은 필수적인 요소들의 나열이라면, 하위법에서는 주변 환경과 공개공지의 적극적인 연계로 공개공지의 의의에 맞게 구체적이고, 실효성 있는 미시적인 측면의 조성 기준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과 평가 (Residents' Perceptions and Assessments on Impacts of the EXPO 2012 Yeosu Korea)

  • 김영기;이정록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81-295
    • /
    • 2015
  • 이 연구는 2012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한 여수지역 주민의 인식과 평가를 분석한 것이다. 여수지역 주민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효과에 대해 매우 긍정적으로 인식하였고, 비교적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여수세계박람회 개최에 따른 도시발전효과를 측정한 결과, 평점은 5점 만점에 3.61점이며, 종합 만족도는 65.2%로 분석되었다. 지표별 인식 및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수도권을 비롯한 주요 대도시와의 접근성 향상이 79.4%로 가장 높았으며, 도시미관 개선(72.1%), 관광객 증가(70.4%), 시민 자긍심 향상(69.0%), 도시이미지 및 도시위상 제고(67.8%), 도시 내부 교통여건 개선(66.2%), 관광인프라 개선(60.5%), 지역경제 활성화(51.3%), 국제화(49.7%) 순으로 만족도를 보였다. 여수지역 주민은 여수세계박람회 개최를 계기로 축적한 교통관련 인프라 확충이 여수시 도시발전을 약 11년 정도, 주거환경 개선이 도시발전을 약 8년 정도 각각 앞당긴 효과를 제공했다고 평가하였다.

  • PDF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재난 임시대피소의 특성 연구 -쓰촨성(四川省) 원촨(汶川) 지진 사례를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Disaster Temporary Sheltering in Terms of Sustainable Design -Focused on the Case of the Wenchuan Earthquake in Sichuan Province-)

  • 티엔휘;윤지영;왕단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5호
    • /
    • pp.877-888
    • /
    • 2021
  • 본 연구는 2008년 원촨(汶川) 지진 이후 중국 정부가 이재민들을 위해 제공한 임시 집중 안치소와 텐트와 이동식 판자가옥 등 3가지의 임시대피소를 대상으로 그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문헌조사를 통해 지속가능성 측면에서 사회적, 경제적, 환경적 요소 중 12개 평가항목을 선정해 임시대피소를 분석하고 평가함으로써 각각의 특성과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임시 집중 안치소와 텐트는 기반시설이 미비하고 위생상태가 나쁘며, 주거공간이 협소하고 개인 공간이 없어 기본 생활조차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동식 판자가옥은 건축비가 비싸고 건축자재가 친환경적이지 않고 농경지를 차지하며 자재가 재활용률이 낮으며 폐기물이 환경을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3가지 임시대피소의 공통적인 문제점은 우선 정부가 대피소 건설과 배치를 주도하고 이재민들은 정부의 지원을 받는 바람에 임시 커뮤니티의 건설과 관리에 대한 참여 의욕이 떨어진다는 점이었다. 다음으로 3가지 임시대피소가 모두 설계상 이재민들의 심리적 수요를 충분히 고려하지 못했으며, 특히 안전하고 위생적인 개인 공간에 대한 기본 요구를 전혀 충족하지 못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3가지 임시 대피소의 지속가능한 디자인과 임시 커뮤니티의 건설 및 관리 문제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생활환경 여건이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경상남도 김해시를 대상으로 - (Influence of Living Characteristics as Environment Related Behavior - Case of the Gimhae City, Gyongsangnam-do, Korea -)

  • 홍석환;이창호;김지석;피재황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329-336
    • /
    • 2017
  • 본 연구는 경상남도 김해시의 유효응답자수 569명의 응답을 바탕으로 환경관련 행동을 생활환경 여건과 비교하여 환경문제에 대한 인식과 환경관련 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환경행동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법률 또를 조례로 정하여 규제하고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실천정도가 높게 나타났다. 다만 환경보전의식이 낮은 사람의 경우에는 모든 항목에서 실천의지가 낮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수에 의한 환경관련 항목별 실천정도에 대한 상관분석 결과, 주거형태 측면에서는 전체적으로 공동주택보다는 단독주택 거주자의 실천의식이 높았다. 나이에 따라서는 나이가 많아질수록 환경보전 실천의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실천 강도가 낮았다. 다만 교육수준과 관련해서는 학생집단의 특수성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경관련 의식과 실천정도에 대한 분석 결과 제도적인 대응보다는 환경의식의 개선이 필요하며, 환경관련 행동을 위한 정책은 일반화 보다는 성별, 거주유형, 교육수준 등 환경적 특성에 대한 분석을 기반으로 방법을 달리 하는 것이 필요하다.

옥상녹화 및 토양피복 변화가 단독주택지 외부 열환경에 미치는 영향 분석 (Effect of Thermal Environment by Green Roof and Land Cover Change in Detached Housing Area)

  • 김정호;윤용한
    • 환경정책연구
    • /
    • 제10권1호
    • /
    • pp.27-47
    • /
    • 2011
  • 단독주택지의 도시환경보전 및 개선을 위해 서울시 강남구 수서동 일원의 단독주택지 밀집지역을 대상으로 생태 면적률 개념을 적용한 비오톱 유형화와 도시열환경 예측 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생태면적률 개념을 적용하여 비오톱 유형 분류 결과 총 7개 유형으로 구분되었고 옥상녹화 미적용 건폐지비오톱(48.16%) > 불투수비건폐포장비오톱(39.75%) > 전면투수녹지비오톱(6.23%) > 틈새투수비건폐포장비오톱(3.26%) > 전면투수비건폐포장지비오톱(2.51%) > 부분투수비건폐포장지비오톱(0.04%) 순이었다. 단독주택지 외부 열환경 특성 및 변화 예측을 실시한 결과, 비오톱 유형별 지표면 온도값은 불투수비건폐포장지비오톱 > 옥상녹화미적용건폐지비오톱 > 전면투수녹지비오톱 > 투수포장지비오톱이 순이었다. 옥상녹화 100% 적용을 가정한 case 2의 경우 최대 $33.58^{\circ}C$, 최소 $23.85^{\circ}C$였고, 평균 $27.74^{\circ}C$로서 옥상녹화 전에 비해 약 $5.19^{\circ}C$ 감소한 것으로 예측되었다. 평균 외기온도는 case 2가 case 1보다 약 $0.18^{\circ}C$ 낮게 분석되었다.

  • PDF

저층고밀형 주택지 정비수법에 관한 연구 (A Case Study on the Environmental Improvement of Low-Rise and High-Density Housing)

  • 이동현;백태경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44-53
    • /
    • 2009
  • 본 연구의 목적은 구릉지의 노후된 주택지 정비에 있어 경관을 고려한 저층고밀형 개발방식의 가능성을 검토하는 것이다. 구릉지역에 있어서는 기존의 평지형 정비방식을 적용해서는 곤란하며 지형순응형 개발을 유도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우선 사례지역을 선정하여 GIS DATA 등을 활용하여 토지이용현황을 조사하고 사업의 손익분기점이 되는 용적률을 산출하였다. 그 결과 용적률 180% 정도에서 최소한의 정비사업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에 따라 공동주택과 테라스하우스 등을 혼합한 정비방식을 적용하여 개발시뮬레이션과 경관시뮬레이션을 실시하였다. 경관시뮬레이션은 AutoCAD 2004와 ArcView 3.2a를 활용하였다. 이를 통해 혼합형 저층고밀의 정비방식을 도입한다면 지형순응형 개발에 대한 가능성과 효과가 나타나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 PDF

현대 의자 디자인의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hair Design)

  • 신홍경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13호
    • /
    • pp.187-196
    • /
    • 1997
  •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dern Chair Design The features of the modern chair design results from the diverse life style unfolded as per the 20th century social structure and the change of the residential space, and new design has been being developed by the scientists and the artists in various fields through their cooperated work in a way. The field of the scientific or technical study and creation of arts can be developed where they can evoke the sympathy in the circumstances under which the various styles of both arts and science meet across, complement crash together, and grow up. The operation which can control in the network of such pluralistic sphere has been needed for a long period and it has been facing the needs from a time and society. The engineering furniture as the counterplan of the above has brought the value of materials into relief to the forms of human life by making the properties of matter the maximum value or changing it. It can be summarized as following characteristics in its materials and forms along as well as the 3 types (handycrafty, mechanical, and ecological expression) in process through the 20th century. 1. Characteristics in Materials elasticity of the chair as per the changes of the flexibility in the steel pipe development of systematic chair using the plasticity of the plywood, plastic, and wire lightweight due to the materials such as aluminum. 2. Formative characteristics formative simplicity for the increase of the function and the quality improvement such as sociality, productivity, environmental and aesthetic nature emphasis on the structure as per the architectural environment and tecniques pursuit of the forms as a container of the human body seeking for the formative values as the cultural symbols coping with the needs from thepluralistic social structure Furniture is not the makeup for convenience sake but most importantexpression as necessaries of our environments. It should identify itself always as per these kind of needs and also it should be able to used to keep the relation of such mutual division, otherwise the purchase of new furniture should be necessary according to every change of the existing situatiov. Our residence doesn't need the specific style but expresses only the properties of the dwellers.

  • PDF

교육 시설기준 변화에 따른 학교건축물의 에너지원 변화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Energy resource in School Buildings with the Changes of Educational Facilities Standard)

  • 김태우;이강국;홍원화
    • KIEAE Journal
    • /
    • 제10권6호
    • /
    • pp.73-80
    • /
    • 2010
  • Since the Korean War, Korea has experienced modernization. The population increase by baby booming has asked for more space for educational facilities. In such a situation, the purpose of educational facilities was to accommodate continuously increasing students, rather than seeking for quantitative demands.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social changes, educational shifts were required. After the revision of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n education in 1997, the school buildings became varied. The design of buildings in accordance with educational curriculum has been improved, but still lack of forming comfortable environment and considering energy efficiency in school buildings. For the improvement of educational environments, educational media such as TV and computers have been provided, and energy systems, including heating and cooling systems, has been continuously increased. As a result, it appeared that energy use in school buildings and facilities has been steadily increased and that the structure of energy consumption has been also changed, especially with regard to electricity use. Living in the 21st century, human beings face global environmental issues, such as global warming, geographical climate changes, and ozone destruction that are the consequences of fossil energy use. Therefore, even in industrial areas, considering a counterplan for low energy use is being paid attention. Starting with Kyoto Protocol in 1992, people try to decrease carbon dioxide and to develop alternative energies (i.e. natural energy); for example, solar energy, wind force, terrestrial heat, and water power. Advanced countries already set up a criterion for $CO_2$ decrease ranging from office buildings to residential houses and also propose alternatives for the $CO_2$ decrease. However, there is no such a plan for low energy use and $CO_2$ decrease in school facilities, and any 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s was not accomplished. Thus, this study examines energy demand in classrooms that take up a large portion of energy demand in school building stru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