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tal housing

검색결과 396건 처리시간 0.028초

지속가능한 공동주택단지 커뮤니티 가든 조성 및 운영방안 연구 - 민간분양단지 및 공공임대단지의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 (Research of Management Plan for Sustainable Community Garden in Apartment Complex - Focused on Comparison General Apartment Complex and Public Lease Apartment Complex -)

  • 오주석;민병학;최정민;김세용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4호
    • /
    • pp.57-67
    • /
    • 2018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nhancing sustainable participation of community gardeners by comparing general apartment complex with public lease apartment complex by drawing indices for quantitative research. This research carried out interviews and statistical research with 319.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ly difference between 2 types of apartment, and satisfactions and intention of continuous participation is also different from each sustainable in participating in community garden are also different from each type. Overall, however, participation of female citizens, public assistance, area of plot, and effectiveness of exchange can enhance participants' continuous participation.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이용한 공동주택 전유부 시설물의 보수원인 분석 (A Study on Cause of Facility Repair in Apartment Units Using Text Mining Techniques)

  • 강지연
    • 한국건축시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건축시공학회 2023년도 봄 학술논문 발표대회
    • /
    • pp.269-270
    • /
    • 2023
  • As facilities in apartment unit by age, residents feel uncomfortable in their lives, but maintenance and management are not carried out properly. For the systematic maintenance of facilities, the derivation of facilities that require maintenance shall be preceded. This study aims to derive items that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among exclusive fac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history of repairing facilities through complaints about the exclusive use of public rental housing to identify the cause and to derive items that require intensive management of the exclusive use of apartment houses.

  • PDF

콜롬비아 도시계획 제도와 도시개발사업 사례 분석을 중심으로 살펴본 한국 도시개발 협력 역할과 과제 (The Role and Directions of Korean Urban Development Cooperation: A Review of Colombian Planning Systems and Case Studies of Urban Development Projects)

  • 최준영
    • 토지주택연구
    • /
    • 제12권4호
    • /
    • pp.15-30
    • /
    • 2021
  • 중남미 및 카리브해(LAC) 지역에서 한국의 도시개발협력이 점차 확대되고 있지만 이와 관련된 국내의 시장 참여 전략은 미흡한 실정이다. 본 논문에서는 콜롬비아의 도시계획체계, 도시개발사업, 한국의 협력사업을 분석하고 중남미 도시개발사업 협력을 위해 고려해야 할 사항을 도출하였다. 연구 방법은 먼저 콜롬비아의 주요 도시인 보고타(Bogotá)와 메데진(Medellín)의 국가 및 지역 도시 계획 시스템을 비교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둘째, 콜롬비아의 토지구획정리사업, 대규모 공공임대주택 공급을 위한 마크로프로젝트, 한국과 콜롬비아의 도시개발협력 사례를 분석하고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연구 결과 한국의 도시개발 협력사업시 과제로는 첫째, ODA를 통한 원조사업은 투자형 개발사업과 같이 사업화로 연결시키기 보다는 향후 본사업을 위한 콜롬비아의 도시 네트워크 형성에 주력하는 것이다. 둘째, 인프라사업과는 다른 도시개발 협력사업의 재원조달구조를 파악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해외의 개발사업인 만큼 개발 기간 및 규모를 단지급 규모이하의 적정 규모로 설계하여 성공사례를 만드는 것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남도 빈집실태 분석 - 도시와 농촌지역 비교 연구 - (An Analysis of Abandoned House in Gyeongsangnam-do - Comparison of Urban and Rural Areas -)

  • 주희선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1권1호
    • /
    • pp.53-60
    • /
    • 2019
  • There are approximately 1.06 million vacant homes in Korea, accounting for 6% of all housing, and approximately 98 thousand vacant homes are in Gyeongsangnam-do, taking up 8.7% of the housing in the province. In particular, the number of abandoned house in Gyeongsangnam-do is rapidly increasing from 6.7% in 2010 to 8.7% in 2015. This study examined the current state of abandoned house in Gyeongsangnam-do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cities and rural areas, causes for vacancies, and demand for use of such abandoned house. The study areas were selected based on case studies in Korea and overseas, and a survey was conducted among residents in the selected areas. The survey was on awareness of abandoned house in the neighborhood, causes for vacancies, awareness of owners, the influence of the abandoned house, plans to deal with abandoned house, and plans to utilize abandoned house. The results showed that most residents were aware of abandoned house, especially the ones in rural areas, who had detailed perceptions about abandoned house nearby such as when the homes became empty and whether there are owners of the homes. As for the influence of abandoned house on the surrounding environment, both rural areas and cities responded that abandoned house mostly spoil the beauty of the neighborhood, followed by psychological anxiety such as fear of crimes. Regarding plans to utilize abandoned house nearby, at least half of the residents wanted to use them as rental housing after repairing them. A survey on the actual condition must be conducted at the provincial level in order to establish an integrated system to manage abandoned house in Gyeongsangnam-do. Moreover, it is necessary to come up with application measures according to categories and standards to classify the state of abandoned house in order to use them as resources for community regeneration.

국민임대주택의 평면구성비 변화에 관한 연구 -전라남도 장성군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Changes in Spatial Composition Ratio of National Rental Houses - Focused on the Jangseong-gun Jeollanam-do Province -)

  • 김홍배
    • 한국농촌건축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61-68
    • /
    • 2018
  •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area ratios by space through floor plans of national leasing houses constructed by the LH in Jangseong-gun, particularly focusing on the floor plans of public leasing housing complexes built during the 1970s-80s and those during the 2010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ratio of floor plans by period, the type of Bedroom> Livingroom> Common Area> Kitchen+Dining> Multi-purpose room> Bathroom> or the type of Bedroom> Livingroom> Kitchen/Dining> Common Area> Bathroom> Multi-purpose room were found to be high during the 1970s. Whereas, the type of Common Area>Living room(Kitchen/Dining included)>Bedroom>Bathroom>Front Entrance was found to be high during the 201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ratio of Bedroom and Living room was found to be high during the 1970s, but after 2010s, the spacial composition ratio of Common Space, Living room, and Bedroom is getting higher in the order. Second, in terms of the composition ratio of floor plans by the area of unit household, among the floor plan of C-1, B-2, B-3, C-2 which were used since 2010s, the spatial ratio of Bedroom was maintained in the range of 20%; while during the 1970s, the Bedroom space of A-1(46%), A-2(46%), and A-3(41%) was found to be higher than 40%.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size of bedroom space has doubled over time. In terms of the changes in the spatial ratio of Living room, A-1(15%), A-2(22%), and A-3(23%) were found during the 1970s. Compared to the recent floor plans of C-1(28%), B-2(25%), B-3(33%), and C-2(34%) which are applied in Jangseong-gun, Jeollanam-do province, no big changes have been found, particularly in the small floor plans (20% range).

2020년 아파트의 전기자동차 수요예측 분석 연구 (Demand Forecasts Analysis of Electric Vehicles for Apartment in 2020)

  • 변완희;이기홍;이상혁;기호영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11권3호
    • /
    • pp.81-91
    • /
    • 2012
  •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위기감으로 인해 세계 각국은 화석연료의 자동차를 전기자동차로 대체하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정부는 2020년까지 소형차의 10% 이상을 전기자동차 보급 목표로 설정하였고 '주택건설 기준 등에 관한 규정'을 개정하여 전기자동차 충전설비를 공동주택의 부대설비에 포함시키는 등 충전 인프라 구축에도 노력하고 있다. 공동주택에서 전기자동차의 충전 인프라 및 주차 공간 등의 확보는 전기자동차 보급에 있어 핵심이 되지만, 이들에 대한 합리적 용량 산정 등에 필요한 전기자동차의 수요예측 연구는 미미한 상태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수도권의 공동주택 거주자(분양과 임대 구분)를 대상으로, 통계자료의 시계열분석과 선호도 결과를 이용하여 전기자동차 수요를 예측하였다. 그 결과 2020년 공동주택 거주자의 전기자동차 비율은 임대아파트의 경우 6~21%, 분양아파트는 21~39% 수준이며, 이들의 사용을 지원할 최대전력량은 1,000가구 1일 기준으로 임대아파트 4,200kwh, 분양아파트 7,800kwh로 예측되었다.

토지주택분야 정보 현황과 빅데이터 연계활용 방안 (Utilizing Spatial Big Data for Land and Housing Sector)

  • 정연우;유종훈
    • 토지주택연구
    • /
    • 제7권1호
    • /
    • pp.19-29
    • /
    • 2016
  • 본 논문은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정책과 활용사례 조사, 공간 빅데이터의 토지주택 활용분야를 제시함으로써 토지주택분야의 미래 사업을 발굴하고, 정부정책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공간 빅데이터 기반 활용분야를 제안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우리나라의 빅데이터 관련 정책과 사례를 살펴보았다. 우리나라는 정부3.0 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정부부처의 각 정보를 빅데이터 기반 체계로 구축하고 있으며, 국토교통부에서는 국가공간정보 플랫폼을 통한 빅데이터의 적극적 활용,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기 위하여 2013년부터 공간 빅데이터 체계 구축을 추진 중이다. 둘째, LH에서 구축 및 운영하고 있는 정보시스템을 중심으로 국토정보의 현황과 토지주택분야에서의 활용방안을 살펴보았다. 먼저, 정보시스템은 크게 공사업무지원, 통계조회, 부동산정보조회, 온라인민원, 국가정책지원 분야로 구분되며, 주요 활용분야 도출의 기본방향으로는 국토정보(DB), 활용수요(업무영역), 수익창출(사업모델) 측면을 고려하였다. 이러한 기본방향 설정 후 접근방법으로서 업무분야와 업무절차 측면에서 살펴본 결과, 지역개발사업 후보지 선정, 임대주택 운영 및 관리, 토지비축 우선순위 설정, 도시재생 우선순위 설정 등 4개의 활용분야를 도출하였다. 셋째, 도출한 4개의 활용분야에서 공간 빅데이터 활용체계를 구현하기 위하여 필요한 데이터와 적용방법, 각 활용분야별 분석절차를 제시하였으며, 공간 빅데이터 활용방안을 구현하기 위하여 LH에 요구되는 개선사항과 향후 검토방향을 제시하였다.

대구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환경적 형평성 분석 (Environmental Equity Analysis of the Accessibility of Urban Neighborhood Parks in Daegu City)

  • 서현진;전병운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221-237
    • /
    • 2011
  • 본 연구는 환경정의 관점에서 도시근린공원의 접근성에 따른 형평성을 대구시를 사례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근린공원의 공간통계학적 분포 특성을 살펴 본 후, 최소거리 및 커버리지 접근 방법을 이용하여 접근성을 측정하였다. 여기에서 도출된 접근성에 따른 사회 경제적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근접비율, 맨 휘트니 U 검정, 로지스틱 회귀분석 등과 같은 기술적 추론적 통계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최소거리 분석에서는 자치구 중 달서구가 근린공원에 대한 접근성이 가장 양호하며, 동구가 가장 불량한 것으로 나타났다. 커버리지 분석에서는 500m와 1,000m 모두 접근성이 가장 양호한 자치구는 달서구, 가장 불량한 자치구는 동구와 남구로 분석되었다. 환경적 형평성 분석 결과 구시가지는 대부분 고령자비율에서 환경적 형평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인구밀도 및 미성년자 비율에서 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신시가지는 대부분 인구밀도 및 미성년자 비율에서 환경적 형평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고령자비율과 기초생활수급자비율 및 무상주택비율에서 불형평성이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정량적인 도시공원정책에 의한 대구시 도시공원의 조성과정 및 도시개발과정과 영구임대주택의 입지패턴과 밀접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는 기존의 유해시설과 관련된 환경정의 연구의 주제를 확장하였으며, 도출된 분석결과는 대구시에서 사회 경제적 특성을 반영한 도시공원정책을 수립할 때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중국 도시 노인의 노후 상황에 따른 주거 선호 변화 연구 (A Study on Changes of Residential Preferences among Older People Living in Urban China according to Aging Situation)

  • 김미라;이연숙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5권1호
    • /
    • pp.33-40
    • /
    • 2014
  • As China has the largest number of elderly people in the world, the issue of the aged people has been a serious matter of concern in Chinese government and society and many studies have been done so far. However, the studies about the dwellings of the aged people that support their basic life are still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elderly people's preferences according to their situations in aged life. This study surveyed 152 elderly residents aged 50 and over including early aged people in Beijing China about their residential preferences (types of residence, location of residence, size of residence, types of ownership) according to the four types of their situations in aged life, healthy couple, sick couple, healthy single and sick single. The survey conducted from 2013 April 10th to 15th.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ly, as the elderly situation became worse, preference for the independent residence decreased very rapidly while the preference f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dramatically increased from the 0 point of the healthy couple and the preference for the elderly welfare facilities marked the highest point in case of the worst situation of sick single. Secondly, among the four different situations preferences for the urban residence were the highest and as the aged people's situation becomes worse, their preferences for urban life increased. Thirdly, healthy couple preferred a large size residence but as their elderly situation becomes worse, their preferences for the large size decreased and their preferences for small size increased dramatically, and in case of elderly singles, preferences for small size residence exceeded their preferences for large size residence. Fourthly, as elderly situation became worse preference for owning residence decreased and preference for rental residence increased and in case of the worst situation of sick single, preference for rental residence was higher than their preferences for their own residence. With this view of point, the residential preference of elderly people changes along with their aging situations. Thus, the government should consider the variable aging market, and develop a variety of aging residence which, can satisfy the different groups of elderly.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금액 추정: 분당, 동탄신도시를 중심으로 (An Estimation of Residents' Willingness-to-pay for Urban Farming in the New Development Areas: Focused on Bundang and Dongtan)

  • 임주호;이경환;윤인숙;윤은주
    • 토지주택연구
    • /
    • 제3권4호
    • /
    • pp.315-322
    • /
    • 2012
  • 최근 도시민의 먹거리와 관련한 환경.안전문제, 고령화로 인한 사회복지정책의 효율성 문제 등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도시농업의 다양한 기능이 재조명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공원이나 녹지, 도시농업농장 등 공공용지의 일부를 활용하여 도시텃밭을 임대하는 방안의 타당성을 검토하고자 신도시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였다. 분당과 동탄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주민들의 지불의사와 희망 이용행태를 조사하고, 도시 내 텃밭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하여 실제 도시근교의 주말농장 이용자들이 지불하고 있는 텃밭임대비용 및 교통비용과 비교하였다. 신도시 내 도시농업 도입에 대한 거주자 지불의사를 1.5양분선택형 조건부가치측정법(CVM)을 이용하여 추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신도시 주민들을 대상으로 도시농업 이용의사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72.6%가 도시공원 또는 녹지의 일부를 도시농장으로 조성하여 임대할 경우 이용할 의사가 있다고 응답하였다. 이는 신시가지의 거주자들에게 도시텃밭에 대한 충분한 수요가 잠재되어 있음을 보여주는 결과로 향후 개발사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도시농업 도입의 필요성을 뒷받침한다. 둘째, 도시텃밭 임대에 대한 지불의사금액을 추정한 결과 1구좌($16.5m^2$ 기준)당 연간 약 23만 6천원 정도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수도권의 도시근교나 외곽에 위치한 주말농장의 텃밭임대료를 상회하는 수준으로 개발사업지구 내 도시텃밭이 조성될 경우 주민들의 지불의사금액이 기존 주말농장의 임대료 수준보다 높음을 보여주었다. 마지막으로 설명 변수 중에서 성별과 나이, 직업이 도시농업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다른 사회경제적 특성 변수와 도시농장 방문가능횟수, 도시농장 방문시 희망체류시간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