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nal image

검색결과 59건 처리시간 0.034초

동적신장검사에서 신장깊이에 따른 사구체여과율 비교 (The Comparison of Glomerular Filteration Rate by Kidney Depth in Dynamic kidney Scan)

  • 황주원;임영현;윤종준;이화진;이무석;정지욱;박세윤
    • 핵의학기술
    • /
    • 제18권2호
    • /
    • pp.73-77
    • /
    • 2014
  • 서론: 신장기능을 평가하는데 중요한 지표가 될 수 있는 GFR을 측정하는 데에는 여러 가지 검사방법이 있다. 핵의학 검사에서 사용하는 동적신장검사는 Gates법을 바탕으로 GFR을 구한다. 본 저자는 동적신장검사에서 일반적으로 GFR을 측정하는데 사용되는 Gates법에 신장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을 달리하여 각각 적용하여 보았다. Tonnesen방정식을 이용한 신장깊이와 CT사진에서 도출한 신장깊이를 측정한 후, 두 가지 측정방법에 따른 신장깊이와 GFR의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자 한다. 실험장비및 재료: Dual Detector인 GE사의 감마카메라에 Low energy collimator를 장착하여 사용하였으며 실험에서 대상자에게 투여하는 방사성 의약품은 $^{99m}Tc$-DTPA이다. 실험대상 및 방법: 2013년 2월에서 2014년 2월까지 1년간 본원에서 동적신장검사를 시행한 환자 중 양쪽신장의 GFR이 정상인 27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각 대상자들의 신장깊이를 Tonnesen방정식과 CT사진을 토대로 각각 산출하고 Gates법에 대입하여 GFR을 구하고 비교분석하였다. 결과: 신장깊이는 좌신에서 0.93 cm 우신에서 2.77 cm 차이가 났으며 CT사진으로 구한 깊이수치가 더 큰 것으로 나왔고 GFR 값 역시 15.1 mL/min 상승하였다. 고찰 및 결론: 한국인의 신장깊이가 서양인과 다르며 깊이를 측정하는 방법에 따라 GFR이 변할 수 있으므로 신장깊이 측정에 있어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법들에 대한 연구가 계속되어야 한다.

  • PDF

지속적 복막 투석 환자의 음낭부종 검사시 복막 신티그라피에 의해 발견된 양측성 서혜부 탈장 (Bilateral Inguinal Hernias Detected by Peritoneal Scintigraphy during the Evaluation of Scrotal Swelling in a Patient on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 임석태;손명희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35권1호
    • /
    • pp.81-82
    • /
    • 2001
  • A 47-year-old man with end-stage renal disease due to diabetic nephropathy underwent a peritoneal scintigraphy to evaluate the cause of recently developed scrotal swelling. Two liters of dialysate mixed with 111 MBq of Tc-99m sulfur colloid were administered into the peritoneal cavity via the dialysis catheter. Various anterior images of the abdomen and pelvis were obtained at 15 min, 2 hr and 4 hr after the tracer instillation. At 15 min, anterior images of the abdomen and pelvis demonstrated linear tracts of activity through both inguinal canals, which were more prominent in the right side (A). Images at 2 hr revealed a passage of the radioactive fluid into the right hemiscrotum. At the same time, there was a considerable accumulation of activity in the right inguinal canal (B). In the delayed image, there was a progressive accumulation of activity in the inguinal canals and a prominent passage of the tracer into the scrotum (C). Both abdominal and inguinal hernias are commonly associated with continuous ambulatory peritoneal dialysis (CAPD). Overall incidence of CAPD-induced hernia ranges from 2.7% to 25%.$^{1)}$ Inguinal hernias were frequently manifested as scrotal swelling. Leakages of dialysate fluid into the scrotum has been noted in CAPD patients with scrotal swelling, with or without clinical findings of inguinal hernia.$^{1,2)}$ In the present case, the right side had leakage from a clinical inguinal hernia and the left side, leakage from a subclinial inguinal hernia. A subclinical inguinal hernia was easily demonstrable with peritoneal scintigraphy. Peritoneal scintigraphy is extremely helpful in the evaluation of scrotal swelling in a patient on CAPD.

  • PDF

Protective effect of ginsenoside Rb1 against tacrolimus-induced apoptosis in renal proximal tubular LLC-PK1 cells

  • Lee, Dahae;Lee, Dong-Soo;Jung, Kiwon;Hwang, Gwi Seo;Lee, Hye Lim;Yamabe, Noriko;Lee, Hae-Jeong;Eom, Dae-Woon;Kim, Ki Hyun;Kang, Ki Su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2권1호
    • /
    • pp.75-80
    • /
    • 2018
  • Background: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evaluate the potential protective effects of six ginsenosides (Rb1, Rb2, Rc, Rd, Rg1, and Rg3) isolated from Panax ginseng against tacrolimus (FK506)-induced apoptosis in renal proximal tubular LLC-PK1 cells. Methods: LLC-PK1 cells were treated with FK506 and ginsenosides, and cell viability was measured. Protein expressions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caspase-3, and kidney injury molecule-1 (KIM-1) were evaluated by Western blotting analyses.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was measured using an image-based cytometric assay. Results: Reduction in cell viability by $60{\mu}M$ FK506 was ameliorated significantly by cotreatment with ginsenosides Rg1 and Rb1. The phosphorylation of p38,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kinases, and KIM-1, and cleavage of caspase-3, increased markedly in LLC-PK1 cells treated with FK506 and significantly decreased after cotreatment with ginsenoside Rb1. The number of apoptotic cells decreased by 6.0% after cotreatment with ginsenoside Rb1 ($10{\mu}M$ and $50{\mu}M$). Conclusion: The antiapoptotic effects of ginsenoside Rb1 on FK506-induced apoptosis were mediated by the inhibition of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s and caspase activation.

전신 뼈 검사에서 신장 기능에 따른 뼈 섭취율에 대한 고찰 (A Study of Bone Uptake According to Renal Function in the Whole Body Bone Scan)

  • 조용인;장동근;박철우
    • 대한방사선기술학회지:방사선기술과학
    • /
    • 제36권4호
    • /
    • pp.299-304
    • /
    • 2013
  • 전신 뼈 검사는 골 병변에 대한 조기발견, 원발성 암의 뼈 전이 유무, 골수염과 골절의 진단 및 경과추적등 골격계에 대해 높은 민감도와 해상력을 제공하는 검사로서, 핵의학과에서 가장 흔히 수행되는 검사 중의 하나이다. 그러나 체내분포를 위한 대기시간이 부적절한 것 이외에도 연부조직 및 뼈 섭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의해 영상의 질을 떨어뜨리는 경우가 발생하게 된다. 2012년 6월~2012년 12월까지 본원에서 전신 뼈 검사를 시행한 환자 387명을 대상으로 방사성 의약품 주사 후 환자의 생리학적인 요소 및 신장 기능을 평가하는 지표에 따른 방사성 의약품의 섭취율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본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정량적, 정성적 분석 결과 사구체여과율이 정상수치 이하로 감소할수록, 혈중 크레아티닌이 정상 수치 이상으로 증가할수록 연부조직 대비 뼈의 평균 섭취율이 다소 떨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관관계분석과 일원배치분산분석을 통해 연부조직 대비 뼈 섭취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에 대하여 분석한 결과 각 요인간 상관관계는 다소 낮게 나타냈고, 본 연구에서 다루지 않은 다른 매개변수로 인해 거의 모든 그룹에서의 통계적 유의성은 확인할 수 없었다. 이는 신장기능 외에 다른 부가적 요인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되며, 추후 본 실험에서 언급했던 것 이외에도 연부조직 및 뼈 섭취율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변수와의 관계와 환자의 배설기능 등과 관련하여 영상의 질 향상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131}I$ OIH와 $^{99m}Tc-MAG_3$의 약물동력학 및 체내 분포에 관한 비교 연구 (A Comparative Pharmacokinetic and Biodistributional Study of $^{131}I$ OIH and $^{99m}Tc-MAG_3$)

  • 정재민;염미경;김문혜;박경호;송세흠;이범우;이동수;정준기;이명철;조보연;고창순
    • 대한핵의학회지
    • /
    • 제24권1호
    • /
    • pp.74-79
    • /
    • 1990
  • $^{99m}Tc-MAG_3$ was synthesized, and biodistribution and blood clearance rate were compared with those of $^{131}I-OIH$ in mice and rats respectively. Finally renal image was obtained from a normal male volunteer before and after prescription of probenecid.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uptake of $^{99m}Tc-MAG_3$ by kindey was higher than that of $^{131}I-OIH$ in mice 10 mins after injection (n=6, p<0.05), but slightly lower uptakes were found in all organs (kindney, blood, stomach, intestinge and liver) 2 hrs after injection. 2) For $^{99m}Tc-MAG_3$ $4\frac{1}{2}\;\alpha=2.4{\pm}0.0\;min,\;t\frac{1}{2}\;\beta=44.3{\pm}7.4\;min$, and blood clearance=$3.4{\pm}0.5ml/min$, and for $^{131}I-OIH\;t\frac{1}{2}\;\alpha=1.8{\pm}0.2\;min,\;\beta=69.1{\pm}9.5\;min$, and blood clearance=$1.3{\pm}0.1\;min$ were found in rats. 3) From the renogram of normal male volunteer, we could find that tmax=130 sec and $t\frac{1}{2}=430\;sec$ before probenecid prescription, and $tmax=150\sim170$ sec and $t\frac{1}{2}=810\sim1,170$ sec after probenecid prescriprion. From these results we concluded that $^{99m}Tc-MAG_3$ can be used instead of $^{131}I-OIH$ for obtaining renal image.

  • PDF

말기신부전 환자의 혈액투석 치료가 안면 색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Hemosialysis to the Face Color of Patients in End Stage Renal Disease)

  • 이세환;조동욱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6호
    • /
    • pp.437-444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한의학의 진단법인 사진법 중 망진(望診)이론을 기반으로 인체 오장 중 가장 중요한 장기의 하나인 신장의 질환 진단을 위해 영상처리기법을 적용하여 색과 신장 질환과의 상관성을 분석하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안면 영상을 처리하고 분석하여 신장 질환에 따른 얼굴색의 색차를 시각화, 객관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은 신장질환자 중 만성신부전으로 인해 혈액 투석 치료 중인 신장 기능 이상자 들을 대상으로 피 실험자 집단군을 구성하고 안면 영상 및 임상 자료를 수집하여 한의학적 망진 이론에서 신장과 관련된 얼굴 부위가 지각 이며 신장에 이상이 생길 경우 이 부위를 통해 흑색이 발현한다는 이론을 가설로 제시하고 안면 영상 중 지각 부위를 추출하는 알고리즘과 이 부위의 흑색의 변화를 측정 하는 방법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끝으로 임상 실험 및 자료 분석을 통해 제안한 방법의 유용성을 입증하고자 한다.

미란성 위염 환자 K43에서 재발성 요로 결석에 관한 연구 (Assessment of Relapsing Urolithiasis from K43 with Erosive Gastritis)

  • 김재웅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0권1호
    • /
    • pp.44-52
    • /
    • 1997
  • 요석증은 비뇨기과에서 흔히 관찰되는 질환으로서 30∼50대에 많이 발생하고, 남자가 여자보다 발생빈도가 높고, 좌측보다는 우측이 많으며, 문화가 발달한 나라에서는 상부요로 결석이 많으나 후진국에서는 하부요로 결석이 많다. 결석성분은 수산칼슘, 인산칼슘, 인산마그네슘암모늄, 요산, 시스틴 결석과 그들의 혼합결석으로 분류된다. 병태 생리학에 따르면, 결석의 발생원인은 요중의 무기질 농도가 과포화 상태가 되면 결정체핵이 생성된다는 과포화/결정체설, 기질관여설, 억제물질의 결핍설, 에피택시설 등이 있고, 상피소체기능항진중, 과칼슘뇨증, 과요산뇨증, 과수산뇨증, 시스틴뇨증 외에도 원위세뇨관 산증, 과비타민 D증, 소화기계 질환이 통계적으로 유의성 있게 관여된다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미란성 위염 환자 K43에서 화학분석법, 적외선 흡수 분석법, image analysis법을 사용하여 재발성 상부요로 결석성분을 분석한 결과 제2 수산칼슘과 인산칼슘의 혼합결석으로 확인되었고, 혈액화학 검사와 요 검사 등 임상검사 성적은 정상치를 유지하고 있었다. 따라서 K43의 재발성 요로결석은 보고된 생성원인이나 인자들에 대한 통계수치와는 연관성이 없었으며 미란성 위염으로부터 영향을 받았다는 증거도 없었다.

  • PDF

Tc-99m MAG3 Scan의 배뇨 후 배설상으로 진단된 역류성 신병증 1례 (Reflux Nephropathy Detected by Post-voiding Image on Scintigraphic Tc-99m MAG3 Scan)

  • 김홍국;유재은;함주연;윤석남;배기수
    • Childhood Kidney Diseases
    • /
    • 제7권2호
    • /
    • pp.239-244
    • /
    • 2003
  • 저자들은 우측 옆구리 통증과 발열을 주소로 내원한 12년 8개월 된 여아에서 복부초음파 검사와 $^{99m}Tc-MAG3$ Scan의 후면 관류상 및 배뇨후 지연 배설상으로 진단된 중등급 이상의 방광요관역류와 동반된 역류성 신병증 증례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또한 요로 감염증 및 신병증이 있는 환아들의 경우 심한 역류와 역류성 신병증의 조기발견과 신속한 대처를 위해 고식적 검사와 배뇨 후 지연 배설영상검사를 시행하기에 앞서 비침습적인 $^{99m}Tc-MAG3$ Scan을 시행할 것을 제안하는 바이다.

  • PDF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통증 유발점 주사 후 나타난 후복막 혈종 -증례 보고- (Retroperitoneal Hematoma after Trigger Point Injections of Quadratus Lumborum -A case report-)

  • 심재용;박종민;배만석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12권2호
    • /
    • pp.263-267
    • /
    • 1999
  • We have observed retroperitoneal hematoma after trigger point injections of quadratus lumborum in a patient with chronic low back pain. Severe flank pain and dyspnea was observed three hours after injection of local anesthetic and steroid to the trigger point of quadratus lumborum muscle. There was fuge hematoma in abdominal CT image around the right kidney, which displaced and compressed the kidney anteriorly. Following infusion of contrast media, extravasation through renal vein and IVC was notified. Patient had a past history of having been treated with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 and lower dose aspirin treatment after cerebral ischemia for a year, but coagulative function was within normal range. Patient was admitted 12 days for bed rest, pain control and transfusion. We need to take greater care with a frequent aspiration and exact direction of needle, during trigger point injection of quadratus lumborum, particu right side, to avoid vascular injury.

  • PDF

Pseudoaneurysm of Ulnar Artery after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 Ryu, Sung-Joo;Kim, In-Soo
    • Journal of Korean Neurosurgical Society
    • /
    • 제48권4호
    • /
    • pp.380-382
    • /
    • 2010
  • The authors present an extremely rare case of a pseudoaneurysm of the ulnar artery as a complication of a two-portal endoscopic carpal tunnel release (ECTR). A 70-year-old man with chronic renal failure and on maintenance hemodialysis with a left arteriovenous fistula presented with paresthesia of his right hand. A clinical diagnosis of right carpal tunnel syndrome was confirmed by ultrasonography and an electro physiologic study. He underwent two-portal ECTR, and the paresthesia was much improved. However, he presented to us one month after operation with severe pain, a tender mass distal to the right wrist crease and more aggravation of the paresthesia in the ulnar nerve distribution. Doppler ultrasound was performed and revealed a hypo echoic lesion 20 mm in diameter in the right palm, with arterial Doppler flow inside connected to the palmar segment of the ulnar artery. An ulnar artery pseudoaneurysm was diagnosed and treated by ultrasound-guided percutaneous thrombin injection. Transverse color Doppler ultrasound image showed complete thrombosis of the pseudoaneurysm and flow cessation after a total injection of 500 units of thrombin. The symptoms were also impro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