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xation training

검색결과 130건 처리시간 0.03초

Muscle Activity Based on Real-time Visual Feedback Training Methods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in Elderly and Relationship between Heckmatt Scale, Muscle Thickness and Tone : A Pilot Study

  • Shin, Janghoon;Lee, Wanhee
    • Physical Therapy Rehabilitation Science
    • /
    • 제10권1호
    • /
    • pp.82-89
    • /
    • 2021
  •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muscle activity based on real-time visual feedback training methods by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e in elderly and correlation between Heckmatt scale grade, muscle tone and thickness. Design: Cross-sectional study: Pilot study Methods: 6 elderly participated in the study with 2 conditions. Under the condition of rehabilitation ultrasound imaging equipment, all subjects performed voluntary maximal muscle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3 times using visual feedback based on Rehabilitative Ultrasound Imaging 1.0 (RUSI 1.0). Under the condition of only ultrasound images, all subjects performed voluntary maximal muscle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3 times using ultrasound image-based visual feedback. The muscle thickness and tone of the quadriceps were measured and the grades were classified by Heckmatt scale and all variables were comparative analyzed. Results: Heckmatt scale grad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muscle thickness at relaxation (p<0.05), an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difference value obtained by subtracting muscle thickness at relaxation from muscle thickness at contraction in ultrasound image condition (p<0.05). The muscle tone during relaxation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 muscle thickness during relaxation (p<0.05). Conclusion: In the case of voluntary maximum muscle contraction of the quadriceps muscle in the elderly, it can be seen that the muscle thickness is getting larger when the RUSI 1.0-based visual feedback is provided than with only ultrasound image provided. And the lower Heckmatt scale grade is, the thicker the muscle is, and the lower the muscle tone is.

주의력 훈련 게임 콘텐츠에 대한 EEG 신호 분석 (Analysis of EEG Signals for Attention Training Game Contents)

  • 강성호;박정현;신성욱;정성택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19권3호
    • /
    • pp.83-90
    • /
    • 2019
  • 최근 들어 노년기의 인지기능장애에 대한 예방 또는 치료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특히 알츠하이머 치매의 전단계로서 경도인지장애(Mild Cognitive Impairment) 여부를 조기에 진단하고, 인지기능 훈련을 통하여 치매로의 진행을 지연시키고자 노력하고 있다. 대부분의 인지기능 훈련은 여러 가지 인지능력과 관련한 게임 콘텐츠로 제작되지만, 피험자들이 인지기능 훈련에 집중하고 있는 지에 대한 정량적 검증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논문에서는 제작된 주의력 훈련 게임 콘텐츠를 수행하는 동안 뇌 활성화에 대한 EEG 신호를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게임 콘텐츠에 얼마나 집중하고 있는 지를 나타내는 주의집중 지표(Concentration Index)와 휴식 상태에서의 안정을 나타내는 이완 지표(Relaxation Index)를 사용하였다. 이에 대한 본 연구에서의 결과는 피험자들의 CI는 모두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피험자들이 집중하여 게임 콘텐츠를 수행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뇌파 신호 분석 알고리즘을 이용한 양궁 슈팅 과정에 대한 집중력 및 긴장이완 수준 평가 (Evaluation of Attention and Relaxation Levels of Archers in Shooting Process using Brain Wave Signal Analysis Algorithms)

  • 이구형
    • 감성과학
    • /
    • 제12권3호
    • /
    • pp.341-350
    • /
    • 2009
  • 양궁의 슈팅과정에 대하여 정신 집중력과 긴장 이완도를 뇌파를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평가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수행되었다. 우수, 중급, 그리고 초급 양궁선수들이 야외 양궁장에서 근거리와 장거리 타깃을 대상으로 슈팅 훈련을 할 때 앞이마(Fp1)에 전극을 부착한 헤드밴드 형태의 휴대용 뇌파 시스템으로 뇌파를 기록하였다. 개인별로 기록된 뇌파는 집중과 명상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실시간으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계산되었으며, 슈팅 과정에서 정신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의 변화 형태가 분석되었다. 개인별로 각각의 슈팅에 대한 정신집중 및 긴장이완 수준 변화는 네 유형으로 분류되었으며, 이 변화 유형은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을 평가하는 신뢰성 있는 지표로 나타났다. 우수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과 긴장이완 수준이 슈팅과정의 진행에 따라 동시에 증가하는 형태로 나타났으며, 중급 선수의 경우 정신 집중도는 증가하는 반면 긴장 이완 수준은 감소하는 결과를 보여 주었다.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정신 집중과 긴장 이완 수준의 변화는 양궁 선수들의 경기력 평가뿐만 아니라 훈련 시에 유익한 피드백이 되었다.

  • PDF

근이완요법이 간호사의 업무스트레스 정도와 기분 및 정서상태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Mood State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 우혜종;박경숙
    • 성인간호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44-52
    • /
    • 2002
  • Purpose: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muscle relaxation therapy on mood state and job stress of clinical nurses, finally to purpose the bases of nursing intervention to increased of work efficiency and job satisfaction.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The subjects were 50 clinical nurses (23 for experimental group), who were working for 1-5 years in medical and surgical ward from the 2 C-University medical center in Seoul.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May 12 to July 25, 2000.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was performed 5 weeks to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the muscle relaxation training sessions for 20minutes twice a week during five weeks. The level of job stress was measured by nurses occupational stress scale. The level of Psychological response was measured by Profile of mood stat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X^2$-test, t-test, paired t-test. Resul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showed more reduction of job stress level (t=1.35, p=0.038) and profile of mood state level (t=2.27, p=0.027) after therapy than those in control group. Conclusion: This study reveals that the muscle relaxation therapy is effective in reduction of nurse's job stress and promotion of mood state. So the researcher thinks that it is useful in reduction of job stress and increased of job satisfaction in hospital.

  • PDF

한방정신요법 및 자율훈련법을 사용한 경련을 주증상으로 하는 전환장애 1례 (One case of combination therapy of acupuncture, herbal medication, counseling and autogenic training on convulsion of conversion disorder)

  • 서덕원;안효진;류호선;이수빈;고인성;박세진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22권4호
    • /
    • pp.143-155
    • /
    • 2011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at psychotherapy must be considered when treating conversion disorder patient with convulsion. Methods : We treated the patient with counseling and autogenic training in psychotherapies, not only traditional methods. Results : In this study, we found difference between when counselling and autogenic training is combined and when they are not practiced. Conclusions : Counseling and autogenic training is good treatment at patient with convulsion of conversion disorder.

커널 이완 절차에 의한 커널 공간의 저밀도 표현 학습 (Spare Representation Learning of Kernel Space Using the Kernel Relaxation Procedure)

  • 류재홍;정종철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1권9호
    • /
    • pp.817-821
    • /
    • 2001
  • 본 논문은 분류 문제의 훈련 패턴으로부터 형성되는 커널 공간의 저밀도 표현을 가능하게 하는 커널 방법에 대한 새로운 학습방법론을 제안한다. 선형 판별 함수에 대한 기존의 학습법 중에서 이완 절차가 SVM(Support Vector Machine) 분류기와 동등하게 선형분리 가능 패턴분류 문제의 최대 마진 분리 초평면을 얻을 수 있다. 기존의 이완 절차는 지원 백터에 대한 필요 조건을 만족한다. 본 논문에서는 학습 중 지원 벡터를 확인하기 위한 충분 조건을 제시한다. 순차적 학습을 위하여 기존의 SVM을 확장하고 커널 판별함수를 정의한 후에 체계적인 학습방법을 제시한다. 실험 결과는 새 방법이 기존의 방법과 동등하거나 우수한 분류 성능을 갖고있음을 보여준다.

  • PDF

Kernel Relaxation과 동적 모멘트를 조합한 Support Vector Machine의 학습 성능 향상 (Improving Learning Performance of Support Vector Machine using the Kernel Relaxation and the Dynamic Momentum)

  • 김은미;이배호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9B권6호
    • /
    • pp.735-744
    • /
    • 2002
  • 본 논문에서는 커널완화법과 동적모멘트를 이용한 support vector machines의 학습성능 개선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학습 방법은 기존의 정적모멘트와는 달리 수렴 정도에 따라 현재의 학습에 과거의 학습 속성을 반영하는 동적모멘트 방법이다. 기존의 정적 상수로 정의된 모멘트가 전체 학습에 동등하게 영향을 주는 반면 제안된 동적모멘트를 이용한 학습방법은 학습 수행에 따라 동적으로 모멘트를 변경함으로써 수렴속도와 학습 성능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제안된 학습법을 support vector machine의 새로운 순차 학습 방법인 커널완화법에 적용하였다. 신경망 분류기 표준 평가 데이터인 SONAR 데이터를 이용하여 실험한 곁과 동적모멘트를 이용한 방법이 수렴속도와 학습 성능면에서 기존의 커널완화법과 정적모멘트를 이용한 학습법에 비해 향상된 성능을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자율 훈련법과 침치료를 시행하여 뉴로피드백 지표를 통해 관찰한 진전환자(震顫患者)의 증례 (A Case of Autogenic training and Acupuncture treatment on facial tremor by neurofeedback)

  • 유종호;김근우;구병수;김헌일
    •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81-188
    • /
    • 200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acupuncture treatment and autogenic training can affect to physical, mental relaxation through neurofeedback(Alpha/Theta training). I measured the numerical value of Alpha/H-Beta on the patient with facial tremor due to anxiety during acupuncture treatment and autogenic training, and when that patient wasn't relaxed I gave her feedback. The result shows that autogenic training is always more effective than aucupuncture in making the patient relaxed. On this case, the symptom was not much improved after having the treatments 10 times, but the frequency and intensity of the tremor decresed little. In according to the number of treatments, relaxtion didn't ascend regularly. I think it depends on the patient's condition or surroundings. I am unsatisfied I had only one case in this study and the number of treatments wasn't enough. In the future, much more clinical and statistical studies on herbal, musical, aroma therapies should be needed.

  • PDF

단전호흡 수련에 관한 일상 생활 기술적 연구 (An Ethnographic Research on the Phenomenon of A Dan-Jeon Breathing Training Center)

  • 박은주;전성숙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244-1253
    • /
    • 199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describe the experience of Dan-Jeon breathing training and of Qi as a essential substance in forming human body. The sample consists of 7 participants who are Dan-Jeon Breathing training in a Training center, Pusan, Korea. They were asked open-ended questions in order for them to talk about their experiences. With permission of the subjects, the interviews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following. 1. The purpose of Dan-Jeon Breathing The interview data was organized by themes into 4 categories : hope for health recovery, a concern about Dan-Jeon Breathing, seeking meaning of life, change of lifestyle 2. The experience of Qi during Dan-Jeon Breathing training The interview data was organized by themes into 3 categories : an autonomic movement of body, spiritual experience, conviction of existence of Qi. 3. The change after Dan-Jeon Breathing training. The interview data was organized by themes into 7 categories : physical health promotion, emotional relaxation, promoting brain function, positive attitude about life, love to others, investigation for self, improvement on Qi feeling..

  • PDF

기초연기 교육과정에서 발성 이전 단계의 호흡훈련 방법 연구 (A Study on the Breathing Training Method at the Pre-phonation Stage in Beginning Acting Class)

  • 최영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8-87
    • /
    • 2015
  • 배우로서 좋은 화술을 구사하기 위해 자연스런 호흡과 발성이 전제되어야 하는데 이 논문에서는 발성 이전 단계인 호흡 훈련 방법에 초점을 맞추어 논구하고 있다. 기존의 호흡과 발성훈련에 대한 연구는 성악, 요가, 단전호흡, 의학적 관점에서 접근한 것이 주류를 이룬 반면에, 배우의 연기훈련의 일환으로 되어진 연구는 그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지 않다. 더구나 그러한 연구도 대체적으로 호흡과 발성, 화술을 전반적으로 다루는 연구가 대부분이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이 논문에서 연구 법위를 좁혀 발성 이전 단계의 호흡훈련, 특히 배우의 상상력과 이미지를 통해 극 속에서 존재할 법한 다양한 상황 속에서 자연스럽게 호흡하는 훈련법을 집중적으로 연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