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ship-based labor

검색결과 197건 처리시간 0.024초

국내 노동시간과 임금간의 관계 연구 (Study of the Relationship between Labor time and Wage in Korea)

  • 장유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9호
    • /
    • pp.5487-5494
    • /
    • 2014
  • 본 연구는 2009년부터 2012년까지의 복지패널자료로 노동시간과 임금의 변화를 잠재적인 추이를 통해 살펴보고, 이들의 관계 패턴을 통해 역동적인 노동시장 안에서 연도별 개인의 효용극대화점의 변화와 노동공급곡선의 방향을 살펴보아 앞으로의 방향성을 예측해 보고자 한다. 연구대상과 자료는 한국복지패널의 2009년부터 2012년간 가구 월기준으로 노동시간과 임금을 측정 및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로 먼저, 2009년에서 2012년으로 변화함에 따라 노동시간과 임금은 증가함을 예측할 수 있었으며, 비선형 성장곡선이 아닌 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2009년에서 2012년 동안 추정해 보면 노동시간의 SLOPE와 임금의 SLOPE간에 높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2009년에서 2012년까지 노동시간과 임금이 함께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노동공급곡선 가구의 한계효용점은 우상향으로 이동한다. 노동공급곡선이 우상향하는 추이를 지속적으로 보이므로 대체효과가 소득효과를 좀 더 압도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사례를 중심으로 (Impact on the Degree of Labor turnover of Professional Self-concept and Emotional labor: A Case of Female Children's Hospital Nurses)

  • 신선희;최혁라;김선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5호
    • /
    • pp.375-383
    • /
    • 2016
  • 본 연구의 목적은 전문직 자아개념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해보는 것으로서, 감정 노동 상황에 노출되며 전문직 자아개념의 강하게 작용하고 있는 여성아동병원 간호사 대상으로 실증분석을 하였다. 분석결과 전문직자아개념과 감정노동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자아개념의 구성요소 중 업무만족감만 감정노동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로 나타났다. 전문직 자아개념과 이직의도간의 관계에서는 전문직 실무 업무에 대한 자부심과 업무만족감이 이직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감정노동과 이직 의도간의 관계에서는 감정노동중 표면행위만 이직의도에 정의관계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성아동병원 간호사처럼 전문성을 지니며 감정노동이 강한 조직구성원의 이직의도를 낮추기 위해서는 전문가로서의 자부심이 강한만큼 전문가로서의 인정 및 업무만족감을 높이기 위한 조직관리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며, 감정노동의 내면화나 표면행위에 따른 부정성 해소 방안이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중국 서비스 종업원들의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감정노동과 감정소모의 영향: 지각된 조직지원의 조절효과 (A Emotional Labor and Exhaustion as a Predictor of Job Performance and Turnover Intention in Chinse Service Industry: The Moderating Role of Perceived Organizational Support)

  • 강성호;허원무;박경도
    • 한국산업정보학회논문지
    • /
    • 제20권4호
    • /
    • pp.89-102
    • /
    • 2015
  • 본 연구는 중국 백화점 판매원들이 판매과정에서 경험하게 되는 감정노동이 감정소모를 매개로 직무성과와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일상적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은 백화점 판매사원 225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수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구조방정식모형을 활용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표면행위는 감정소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내면행위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정소모는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직의도에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조직지원은 내면행위가 감정소모에 미치는 정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검증결과를 기반으로 본 연구가 제시하는 이론적 시사점과 실무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PROBABILISTIC MODEL-BASED APPROACH FOR TIME AND COST DATA : REGARDING FIELD CONDITIONS AND LABOR PRODUCTIVITY

  • ChangTaek Hyun;TaeHoon Hong;SoungMin Ji;JunHyeok Yu;SooBae An
    • 국제학술발표논문집
    • /
    • The 4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Project Management Organized b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 /
    • pp.256-261
    • /
    • 2011
  • Labor productivity is a significant factor related to control time, cost, and quality. Many researchers have developed models to define method of measu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roductivity and various constraints such as the size of working area, maximum working hours, and the crew composition. Most of the previous research has focused on estimating productivity; however, this research concentrates on estimating labor productivity and developing time and cost data for repetitive concrete pouring activity. In Korea, "Standard Estimating" only contains the average productivity data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it is difficult to predict the time and cost of any particular project; hence, there are some errors in estimating duration and cost for individual activity and project. To address these issues, this research collects data, measures productivity, and develops time and cost data using labor productivity based on field conditions from the collected data. A probabilistic approach is also proposed to develop data. A case study is performed to validate this process using actual data collected from construction sites and it is possible that the result will be used as the EVMS baseline of cost management and schedule management.

  • PDF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과 조직몰입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the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Employees in Senior Employment Agencies : Mediating Effect of Self-efficacy)

  • 이병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2권12호
    • /
    • pp.349-354
    • /
    • 2021
  • 본 연구는 노인일자리전담기관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감정노동와 조직몰입의 관계, 그리고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대전과 충청 지역의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 25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SPSS와 AMOS 18.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및 상관관계분석, 확인적 요인분석과 부트스트랩 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조직몰입에 부적인 영향을 미치고 두 변수의 관계에서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가 검증되었다. 분석결과와 기존 연구들을 검토하여 노인일자리전담기관 종사자의 조직몰입을 향상시킬 몇 가지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종사자들의 조직몰입 향상을 위해 감정노동을 개선하기 위한 지침의 개발, 정기적인 점검과 교육, 관리자들의 적절한 조치 등이 요구된다. 둘째, 종사자들의 자기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실무중심의 전문성 향상을 위한 교육의 실시, 윤리의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과 행정의 지원, 정서지지 서비스의 제공 등이 필요하다.

노인 돌봄 수행인력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 관계에서 감정노동과 효인식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Labor and Filial Pie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ing Environment and Service Quality of Elderly Care Workers)

  • 윤일현
    • 산업융합연구
    • /
    • 제20권12호
    • /
    • pp.269-276
    • /
    • 2022
  • 본 연구는 노인 돌봄 수행인력의 근무환경이 서비스 질에 미치는 영향과 감정노동과 효인식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G 광역시의 노인 돌봄 수행인력 46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노인 돌봄 수행인력의 근무환경, 감정노동, 효 인식, 서비스 질은 모두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 돌봄 수행인력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 사이에서 감정노동과 효인식은 병렬매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 돌봄 수행인력의 근무환경과 서비스 질 사이에서 효 인식의 매개효과와 감정노동의 조절 효과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효인식에 관한 프로그램개발 및 교육시행과 감정노동 관리를 위한 실천적 노력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논의된 다중매개 변인보다 더욱 확장된 개념의 후속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외래 간호사의 감정노동, 의사소통능력, 감성지능 및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Burnout among Nurses in Outpatient Department)

  • 김지혜;장애경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8권2호
    • /
    • pp.179-189
    • /
    • 2022
  • Purpose: Based on the results of Grandey's Emotion Regulation Process Model and previous stud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y, emotional intelligence, social support, and burnout, and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burnout of nurses in outpatient department. Method: The participants were 190 nurses with more than six months of experience working at the outpatient department of a general hospital in Seoul. Data were collected from April 5 to May 28, 2021, and analyzed using SPSS/WIN 25.0. Results: Significant variables affecting burnout were emotional labor, communication competency, emotional intelligence, education, and total clinical experience. Social suppor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burnout, but did not affect burnout. Burnou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labor, and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mmunication competency,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We fou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burnout and subjective health status.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effect on burnout. Emotional intelligence, clinical experience for more than 10 years, communication competency, and education for masters or higher negatively affected burnout, respectively. They accounted for 49.2% of the total variance of burnout. Conclus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necessary to reduce emotional labor, one of the major predictors of burnout for outpatient care. In order to prevent emotional labor that results in burnout, an integrated program that improves emotional intelligence and communication competency should be developed.

임상치과위생사의 소진에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burnout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윤미혜;민희홍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75-982
    • /
    • 2019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serve as basic data for improving human resource management and the quality of work at dental hospitals and clinics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clinical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job stress, and turnover intention. Methods: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was completed by 220 dental hygienists in hospitals and clinics from March 11 to April 26, 2019.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0.0. For participants' burnout, job stress,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based on general and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using a t-test and one-way ANOVA. After performing a one-way ANOVA, a Duncan test was performed for mean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determine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examine the factors that affect burnout. Results: Clinical dental hygienists' mean burnout was 3.05 points, and the factors that affect such burnout were turnover intention, job stress, and emotional labor. Burnout was higher when job satisfaction was low, turnover intention was low, and emotional labor was high, with a 29.3% explanatory power. Conclusions: For effec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of dental hygienis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implement programs that can reduce emotional labor and burnout.

치과위생사의 감정노동 및 스트레스에 관한 질적 연구 (A qualitative research on emotional labor and stress in dental hygienists)

  • 한옥성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97-807
    • /
    • 2020
  • Objectives: This qualitative research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xperiences of dental hygienists with respect to emotional labor and stress through in-depth interviews, and analyze experiences that are difficult to grasp in quantitative studies. Methods: From October 7 to October 14 2020, a total of seven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underwent in-depth interviews.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ology was applied for intensiv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of the interviews were grouped into five central-categories: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trouble with the staff, discrimination against staff, relationship between subordinates and superiors), relationships with non-major (trouble with laboratory staff, inferiority complex and behavior of non-specialists), emotional labor for the patient (patient-centered, patient selfishness, exquisite guardian), conduction of business (passing the work, deterioration in health due to emotional labor), organizing emotions (patience and a sense of collapse, conversation with a coworker). Conclusions: Based on this study, we need to develop tools to measure dental hygienists' emotional labor and stress as well as conduct follow-up research on ways to improve them.

사회복지사의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이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감성노동의 매개역할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Social Worker's Person-Social Welfare Value Fit o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Mediating Role of Emotional Labor)

  • 신중환;김정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66권4호
    • /
    • pp.157-179
    • /
    • 2014
  •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가 인식하는 사회복지의 가치적합성이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감성노동(표면행위, 내면행위)의 매개역할을 살펴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기존에는 주로 조직수준에서 이루어진 가치적합성 연구를 직업수준에서 살펴보면서,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의 가치적합성을 인식할수록 그들의 직무만족과 조직몰입 수준이 증가하는지, 그들의 표면행위가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의 관계를 부정적으로 매개하고, 내면행위가 긍정적으로 매개하는지를 탐색적으로 살펴보았다. 실증분석의 결과에 의하면, 사회복지사가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을 인식할수록 표면행위는 감소하고 내면행위는 증가하였으며,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의 수준은 높아졌다. 표면행위는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였으며, 내면행위는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직무만족, 그리고 사회복지 가치적합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를 각각 완전매개하였다. 사회복지 가치적합성에 대한 인식이 사회복지사의 감성노동을 표면행위에서 내면행위로 개선시킴으로써 직무만족과 조직몰입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