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lational Graph

검색결과 72건 처리시간 0.026초

AI기법을 이용한 멀티채널 심전도신호의 패턴인식 알고리즘 (An algorithm for pattern recognition of multichannel ECG signals using AI)

  • 신건수;이병채;황선철;이명호
    • 제어로봇시스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제어로봇시스템학회 1990년도 한국자동제어학술회의논문집(국내학술편); KOEX, Seoul; 26-27 Oct. 1990
    • /
    • pp.575-579
    • /
    • 1990
  • This paper describes an algorithm that can efficiently analyze the multichannel ECG signal using the frame. The input is a set of significant features (points) which have been extracted from an original sampled signal by using the split-and-merge algorithm. A signal from each channel can be hierarchical ADN/OR graph on the basis of the priori knowledge for ECG signal. The search mechanisms with some heuristics and the mixed paradigms of data-driven hypothesis formation are used as the major control mechanisms. The mutual relations among features are also considered by evaluating a score based on the relational spectrum. For recognition of morphologies corresponding to OR nodes, an hypothesis modification strategy is used. Other techniques such as instance, priority update of prototypes, and template matching facility are also used. This algorithm exactly recognized the primary points and supporting points from the multichannel ECG signals.

  • PDF

전동기 제조업의 지식기반 공정계획 지원시스템에 관한 연구 (Knowledge-based Decision Support System for Process Planning in the Electric Motor Manufacturing)

  • 송정수;김재균;이재만
    • 산업공학
    • /
    • 제11권2호
    • /
    • pp.159-176
    • /
    • 1998
  • In the motor manufacturing system with the properties of short delivery and order based production, the process plan is performed individually for each order by the expert of process plan after the completion of the detail design process to satisfy the specification to be required by customer. Also it is hard to establish the standard process plan in reality because part routings and operation times are varied for each order. Hence, the production planner has the problem that is hard to establish the production schedule releasing the job to the factory because there occurs the big difference between the real time to be completed the process plan and the time to be required by the production planner. In this paper, we study the decision supporting system for the process plan based on knowledge base concept. First, we represent the knowledge of process planner as a database model through the modified POI-Feature graph. Then we design and implement the decision supporting system imbedded in the heuristic algorithm in the client/server environment using the ORACLE 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 PDF

트리플 그래프 문법을 사용한 확장 개체-관계 모델과 객체-관계 모델간의 변환 방법 (A Transforming Method between Extended Entity-relationship Model and Object-relational Database using Triple graph grammer)

  • 응웬티눙;송상근;동성;이상준
    • 한국정보과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과학회 2012년도 한국컴퓨터종합학술대회논문집 Vol.39 No.1(C)
    • /
    • pp.78-80
    • /
    • 2012
  • 개체 관계(ER) 모델과 확장 개체 관계(EER) 모델은 개념적 데이터베이스 설계분야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모델이다. 확장 개체 관계 모델은 여전히 객체지향 데이터베이스를 처리하는데 강력하나 최신 객체관계 데이터베이스와 UML과 같은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모델링을 처리하기에는 부족함이 많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객체 관계 데이터베이스를 지원하기 위한 확장 개체 관계 기반의 변환 방법을 제안한다. 변환 규칙은 트리플 그래프 문법을 사용하여 정의하고 MOFRON TGG 에디터를 이용하여 표현한다. 트리플 그래프 문법 규칙에 따라 본 제안 방법은 자동 ORDB 개발 프레임워크에 적용할 수 있다.

사이버 침해정보 연관 그래프 구축 및 활용방안 연구 (A Study on Building a Cyber Incidents Information based Relational Graph and Using Plan)

  • 이슬기;조혜선;김병익;신영상;이태진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771-772
    • /
    • 2015
  • 사이버 침해사고 정보를 공유하는 체계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상호 네트워크 통신을 위하여 필요한 인터넷기반정보와 사이버 침해사고 관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채널 다양하게 존재하고 공공의 이익을 목적으로 공유되고 있으며 침해정보에 대한 세부적인 분석정보 또한 오픈소스 프로젝트를 통해 손쉽게 획득할 수 있다. 한국인터넷진흥원에서는 공인된 사용자 혹은 기관을 대상으로 침해사고에 활용된 악성정보를 공유하고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인터넷기반정와 침해사고와 관련된 연관정보를 활용한 사이버 침해정보 연관 그래프 구축방안에 대하여 논하며 그 활용방안이 어떠한 것이 있는지 제안한다.

퍼지 연관 곱을 이용한 SNS 사용자의 계층적 시각화 방법 (Hierarchy Visualization method of SNS User using Fuzzy Relational)

  • 박선;권장우;정민아;이연우;이성로
    • 전자공학회논문지
    • /
    • 제49권9호
    • /
    • pp.76-84
    • /
    • 2012
  • 시각화는 소셜 네트워크의 분석을 위해서 소셜 네트워크의 사용자 관계를 새로운 시각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기존의 대부분의 시각화 방법은 복잡한 다차원 그래프를 통하여 소셜 네트워크상의 사용자의 관계를 집중적으로 표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은 개인 사용자 중심으로 사회관계의 중요도를 직관적으로 파악하기 힘들다. 또한 대부분의 시각화 방법은 네트워크상의 노드들 간의 상호작용 정보에 의해서만 사용자 관계를 나타내기 때문에 사용자의 메시지가 사용자 상호관계에 반영되는 것이 미흡한 실정이다. 제안방법은 퍼지 연관 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내부관계를 계산하며, 노드들 간의 상호작용 정보를 이용하여서 사용자의 네트워크상의 외부 접근 정보를 계산한다. 계산된 내부관계정보와 외부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서 사용자중심의 계층적 시각화방법을 제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논문은 퍼지 연관 곱에 의한 사용자들의 내부관계와 네트워크상의 외부 접근 정보를 이용하여서 사용자를 중심으로 계층적으로 시각화하는 새로운 방법을 제안한다.

웹 데이타베이스에서 하이퍼텍스트 모델 확장 및 데이타베이스 게이트웨이의 동적 서버 할당 (Hypertext Model Extension and Dynamic Server Allocation for Database Gateway in Web Database Systems)

  • 신판섭;김성완;임해철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데이타베이스
    • /
    • 제27권2호
    • /
    • pp.227-237
    • /
    • 2000
  • 웹 데이타베이스는 웹 환경에서 하이퍼텍스트 모델을 바탕으로 멀티미디어 처리를 위한 부가적인 구조와 관계형 또는 객체지향형 데이타베이스 관리 시스템을 접목하여 구축하는 대용량의 멀티미디어 데이타베이스 응용 시스템이다. 그러나 기존의 하이퍼텍스트 모델링 기법과 DBMS 통로 형태로는 웹 서비스 고급화에 필수적인 다양한 표현능력과 DBMS 연동과정에서의 병목발생으로 인한 동시성 기능이 제한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하이퍼텍스트 모델링 측면에서 암시적 질의 수행 기능을 지원하고 동적으로 생성되는 항해 모델과 가상 그래프 구조를 제안한다. 또한 항해 유형 분류를 통해 노드와 링크의 생성 규칙을 유도하고 제안된 모델과 웹 데이타베이스 시스템 후위에 위치하는 관계형 모델과의 상호 사상기법을 연구한다. 그리고 데이타베이스 통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가중치를 기반으로 질의처리 서버를 동적으로 할당하는 스케줄링 기법을 제안하여 시스템 전체의 성능을 개선하고, 제안된 기법이 상대적으로 높은 복잡도를 갖는 동시 질의 요구에 적합함을 보인다.

  • PDF

RiC을 적용한 아카이브 시스템 데이터 모델링 연구 (A Study in the Data Modeling for Archive System Applying RiC)

  • 신미라;김익한
    • 한국기록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3-67
    • /
    • 2019
  • Records in Contexts(RiC)은 ICA의 네 가지 기술표준을 통합, 정규화하여 개발한 국제적 기술표준이다. RiC은 기록 기술을 다차원적으로 바꾸고 기록의 맥락을 드러내며 이질적 시스템 간 데이터 상호운용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RiC을 아카이브 시스템 설계의 핵심 도구로 설정하고, 데이터베이스 구현을 위한 '논리적 데이터 모델링'을 수행한다. RiC의 개념 모델인 RiC-CM(Conceptual Model)은 데이터 참조 모델로 활용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 요구사항에 맞는 데이터 모델로 개발이 가능하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이를 두 가지 데이터 모델, '관계형 데이터 모델'과 '그래프형 데이터 모델'로 구현하고자 한다. 관계형 데이터 모델은 대부분 레거시 시스템의 데이터베이스가 적용하고 있는 만큼 범용적이다. 한편 그래프형 데이터 모델은 정보 '개체(entity)' 사이의 '관계(relationship)'를 중심으로 개체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다.

Neural Structured Learning 기반 그래프 합성을 활용한 BIM 부재 자동분류 모델 성능 향상 방안에 관한 연구 (Modeling Element Relations as Structured Graphs Via Neural Structured Learning to Improve BIM Element Classification)

  • 유영수;이고은;구본상;이관훈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1권3호
    • /
    • pp.277-288
    • /
    • 2021
  • IFC 정보의 시멘틱 무결성 확보를 위해 BIM 부재와 IFC 엔티티 간 매핑 검증이 필요하다. 이와 관련된 기존 연구들은 기하정보 기반으로 학습시킨 기계학습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BIM 부재 인식 및 분류를 통해 매핑 검증을 실시하였으나, 유사한 기하특성을 가진 부재를 구분하지 못한다는 한계점이 존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BIM 모델의 주요 부재를 인공신경망 기반으로 자동 분류하되, 부재 간 관계정보를 삽입하여 분류성능을 향상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특성 외에 구조화된 신호를 함께 학습하는 NSL 프레임워크를 활용하여 8개의 BIM 부재를 분류하는 모델을 구축하였으며, 그 결과 기하정보 기반 인공신경망 모델과 대비하여 부재 간 관계정보를 삽입한 NSL 모델의 분류정확도가 현저히 상승한 것을 확인하였다.

융합 인덱싱 방법에 의한 조인 쿼리 성능 최적화 (Join Query Performance Optimization Based on Convergence Indexing Method)

  • 짜오티엔이;이용주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16권1호
    • /
    • pp.109-116
    • /
    • 2021
  • RDF(Resource Description Framework) 데이터 구조는 그래프로 모델링하기 때문에,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와 XML 기술의 기존 솔루션은 RDF 모델에 바로 적용하기 어렵다. 우리는 링크 데이터를 더욱 효과적으로 저장하고, 인덱스하고, 검색하기 위해 융합 인덱싱 방법을 제안한다. 이 방법은 HDD(Hard Disk Drive) 와 SSD(Solid State Drive) 디바이스에 기반한 하이브리드 스토리지 시스템을 사용하고, 불필요한 데이터를 필터하고 중간 결과를 정제하기 위해 분리된 필터 및 정제 인덱스 구조를 사용한다. 우리는 3개의 표준 조인 검색알고리즘에 대한 성능 비교를 수행했는데, 실험 결과 제안된 방법이 Quad와 Darq와 같은 다른 기존 방법들에 비해 뛰어난 성능을 보인다.

독일의 7학년 함수 영역 수학 교과서 분석 (Analysis of Year 7 Mathematics Textbook for Function Area in Germany)

  • 공서영;고호경;허난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E:수학교육논문집
    • /
    • 제31권4호
    • /
    • pp.433-456
    • /
    • 2017
  • 본 연구는 독일의 수학 교과서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7학년 함수 영역을 대상으로 단원의 구성 체제, 학습 내용과 전개 방식, 교수 학습상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독일의 수학 교과서는 단원명이나 단원의 순서는 자유로웠으며, 다양한 실생활이나 자연 현상에 대하여 그래프를 통해 두 변수간의 대응 관계를 직관적으로 알게 한 후 함수 관계를 도입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그래프가 갖고 있는 특징이나 정보들을 해석하는 연습을 하고, 다양한 함수적 상황을 그래프로 그리는 활동을 안내하며, 그래프 뿐 아니라 표, 관계식, 수학 용어나 문장 등의 여러 가지 표현방법으로 변환하도록 내용이 전개되었다. 독일의 수학 교과서는 다양한 일상의 맥락 속에서 자료들이 갖는 함수관계를 수학적으로 표현해보거나 미래를 예측하고 추론하는 활동을 통해 수학의 유용성을 느끼고 함수적 사고를 기르도록 할 뿐 아니라 타 교과 등과 연관이 있는 문제를 제공하여 다른 학문과의 연결성을 높였다. 또한, 개방형 문제, 수학적 의사소통이 필요한 문제들이 포함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독일 교과서의 이러한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의 수학 교과서 개발과 개선에 대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