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4초

보강재 침하를 허용하는 연결시스템을 적용한 보강토옹벽의 거동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Connector System Driving the Settlement of Reinforcement)

  • 오종근;정종기;이송
    • 기술발표회
    • /
    • 통권2006호
    • /
    • pp.156-161
    • /
    • 2006
  • Recently, construction of soil-reinforced segmental retaining walls which used geosynthetics are being increased day by day due to its construction efficiency, economic efficiency, and its aesthetic view.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has the connector system to fix the reinforcement and block However, this system may cause the crack of block and the rupture of reinforcement due to the stress concentration near the face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In this study, the new connector system, which is able to allow the settlement of reinforcement, was applied to analyze the effect of connector system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e connection strength tests and centrifugal tests for both the conventional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and the settlement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results

  • PDF

차량 충돌에 의한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tability i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Vehicle Collision)

  • 안광국;허열;홍기남;안민수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1권6호
    • /
    • pp.39-46
    • /
    • 2010
  • 기존의 보강토 옹벽의 연구는 보강토 옹벽의 내적 외적파괴에 중점이 되어 연구가 이루어져 왔고 외부 충격에 관한 연구는 지진에 관한 것이 전부인 것이 현실이다. 도로의 발달로 인해서 도로 주변의 보강토 옹벽에 차량의 충돌 같은 외부 충격을 받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신뢰도를 인정받고 있는 범용 유한요소 프로그램인 LS-DYNA를 사용하여 도로 주변 보강토 옹벽을 모델링하였고, NCAC에서 제공하는 8톤 중량의 Ford single unit truck을 이용하여 차량속도에 따른 보강토 옹벽의 거동 양상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향후 도로 주변에 시공되어지는 보강토 옹벽의 충돌에 관한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하단에 중력식 옹벽을 적용하였고 또한 높이를(0.5m, 1.0m, 1.5m) 변화시켜가면서 수치해석을 수행하여 보강토 옹벽의 거동을 분석하고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확인 하였다.

원심모형실험에 의한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Stability for Settlement Fre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Centrifuge Model Tests)

  • 안광국;배우석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7권6호
    • /
    • pp.23-34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하는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을 평가하기 위하여 원심모형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는 연결부의 침하를 허용하지 않는 일반형 보강토옹벽에 대한 결과와 비교 분석하여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모형실험에서 전면판은 알루미늄판을 사용하였으며, 보강재는 알루미늄 호일을 이용하였으며, 뒤채움지반은 화강풍화토를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은 80g의 중력수준에서 완전한 파괴상태에 도달하였으며, 일반형 보강토 옹벽이 69g의 중력수준에서 파괴된 것을 감안하면 침하자유형 보강토 옹벽이 안정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69g에서 침하자유형 보강토옹벽 저면에서의 수직토압이 일반형에 비해 16% 정도 크게 측정되었다.

  • PDF

블록형 보강토 옹벽의 토압 특성 연구 (An Experimental Study on Characteristics of Earth Pressure Distribution for Segmental Reinforced Earth Wall)

  • 김진만;조삼덕;이정재;백영식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0권1호
    • /
    • pp.83-90
    • /
    • 2004
  • 보강토 공법은 공사비가 저렴하고 시공이 용이하다는 점에서 토목공학 분야의 실용적 측면에서 가치가 있으며 기술자에게 큰 매력을 줄 수 있을 만큼 그 구조가 충분히 단순하다는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5개 현장을 대상으로 각종 계측기를 매설하여 보강토 옹벽 벽체에 작용하는 수평토압과 보강재의 인장변형률 및 인장응력, 전면블록의 수평변위 등을 측정하여 보강토 옹벽의 안정성 및 토압특성을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 보강토 옹벽은 전면블록의 수평변위의 경우 0.19∼0.76%로 작게 평가되었으며, 보강재의 최대인장변위는 0.66∼1.98%로 경험적으로 고려되는 보강재의 설계 인장변형률인 5%에 휠씬 못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한편, 토압분포 특성은 기존 설계 방법에 이용되는 랭킨 이나 쿨롱 토압 분포 형태와 달리 연성 토류벽체에 작용하는 사다리꼴 형태의 토압분포를 나타내었다.

현장계측을 통한 보강재 침하형 보강토 옹벽의 거동특성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Permitting Reinforcement to Subside with Monitoring)

  • 정진혁;오종근;이송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5권2호
    • /
    • pp.5-15
    • /
    • 2009
  • 기존의 블록식 보강토옹벽의 경우 블록과 보강재 연결을 핀, 커텍터 등으로 연결하므로 전면부에 응력집중이 발생하여 블록의 균열이나 보강재 파단파괴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보강재의 침하를 허용하는 새로운 연결시스템을 개발하여 연구대상지역에 일반형 블록식 보강토옹벽 구간과 보강재 침하형 보강토옹벽 구간으로 나누어 시험시공을 실시하였다. 시공과정 및 이후의 현장계측결과 전면블록에 인접한 부분에서 최대인장력으로부터 구한 인장력비가 일반형 보다 침하형이 전면블록 전면부의 음력집중이 크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블록식 보강토 옹벽 설계프로그램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Program for Block-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이충원;유지훈;민연식;장동수;임현택;문용배;김승태;김용성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6권6호
    • /
    • pp.75-84
    • /
    • 2014
  •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program for design of a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For this purpose, the external stability such as overturning, sliding and bearing capacity and the internal stability such as pull-out failure and tensile rupture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with the reinforcement spacing and the backfill inclination were examined. In addition, the calculated results from the developed program were verified by comparing with the simulated results based on the three-dimensional finite element analysis. It is expected that this program contributes to effective design of th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보강토옹벽의 최적 보강길이비 산정을 위한 수치해석적 연구 (Numerical Analysis for Optimum Reinforcement Length Ratio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 박춘식;안우종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5-14
    • /
    • 2018
  • 최근 국내에 사용되고 있는 보강토옹벽 공법은 전면체의 재질, 보강재, 축조방법, 축조경사에 따라 수많은 종류가 제안되었으나 각 공법에 따른 설계방법이나 상세검토항목 등의 규정이 명확하지 않으며 집중호우에 따른 붕괴도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보강토옹벽의 설계에 있어서 좀 더 안정된 기술적 접근을 위해 설치높이별 단면을 가정하고 단일 강도의 보강재를 사용한 보강토옹벽의 인발파괴와 높이별 최적의 보강재 조합을 산정하고 산정된 각 단면에 대해서 보강길이비(L/H)에 따른 안전율 변화를 통하여 보강재의 최적 설계와 다단식 보강토옹벽의 최적 설계 그리고 보강재인 토목섬유의 재질에 따른 최적 길이비를 산정하여 제시하였다.

염해로 인한 교대부 보강토옹벽 손상 원인 분석 연구 (A Study on Cause Analysis and Countermeasures of Chloride Attack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Installed on Bridge Abutment)

  • 도종남;김낙영;조남훈;유광호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9권12호
    • /
    • pp.59-64
    • /
    • 2018
  • 보강토옹벽에 발생되는 손상은 전면벽체부, 기초부, 배수로, 상부사면으로 구분하여 발생되고 있다. 보강토옹벽의 손상은 주로 배수문제로 인한 손상이 현장에서 많이 발생되는데, 이 중 제설염에 의한 손상이 최근에 사례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이상기후로 인해 겨울철에 사용되어지는 제설염의 양이 점점 늘어나고 있다. 이 제설염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열화시키는데, 여기서 보강토옹벽도 예외는 아니다. 배수통로를 통해 뒤채움부로 유입된 염해 성분이 보강토옹벽의 전면벽체를 열화시키는 사례가 최근 발생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교량의 교대부에 시공된 보강토옹벽의 손상원인을 분석하고, 이에 대한 대책에 대한 분석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교량 교대부의 신축이음장치나 상부 구조에서 집수된 배수계통을 통해 유입된 염해 성분이 보강토옹벽 뒤채움부로 유입되어 손상이 발생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배수체계를 개선하고 전면벽체의 강성을 회복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진동대 모형실험을 통한 보강토 옹벽의 거동 특성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y Shaking Table Test)

  • 윤원섭;윤부열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2권6호
    • /
    • pp.637-647
    • /
    • 2019
  • In this study, we analyzed seismic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through the model test in order to characterize the behavior of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during earthquake. A scale model test was performed based on similitude ratio in accordance with law of similitude due to time and financial constraints on real scale modeling experiments. Seismic resistance characteristics of each seismic waves were analyzed by assessing the variations measured through excitation of the excited acceleration of 0.05g, 0.1g, 0.15g, and 0.2g.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ould be important to obtain reasonable and abundant data on ground properties and seismic design in preparation for earthquakes when assessing the safety of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confined to model experiment. Acquisition of those data and systematic analytical techniques are considered likely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crease of structure damage caused by earthquakes in Korea which has recently witnessed frequent occurrence of earthquak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