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ractive Error

검색결과 211건 처리시간 0.027초

배관내 흐르는 아이스슬러리의 실시간 얼음분율 측정 (A Real Time Measurement of Ice Concentration of Ice Slurry in Pipe)

  • 정해원;백종현;김용찬;강채동;홍희기
    • 설비공학논문집
    • /
    • 제19권8호
    • /
    • pp.599-606
    • /
    • 2007
  • An experimental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a ice concentration of ice slurry flowing in a pipe in a real time. In the present paper, we suggested a measuring method by a refractive index and compared it to other methods by a freezing point and a density. To measure the refractive index of the solution, ice particles in the ice slurry should be completely removed and a hydro-cyclone was introduced instead of a mesh. The measuring method through the refractive index coincided with the density method using the real-time solution density within ${\pm}5%$ error range, having the error range less than the other two methods. In the other hand, the measuring method through the density has a good resolution, but the result using the initial density of the solution was different more than 10% error from that using the real-time density. And it has an error range 1.5 times greater than the method through the refractive index.

굴절이상도에 따른 폭주근점과 근거리 수평사위, 폭주 및 개산 여력의 연구 (A Study About N.P.C, Heterophoria and Near Convergence and Divergence by Amount of the Refractive Errors)

  • 최선미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53-57
    • /
    • 2009
  • 목적: 각각의 굴절이상도에 따른 폭주근점(N.P.C), 근거리 수평사위, 근거리 폭주 개산여력을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방법: 안과적 수술이나 질환이 없는 대학생 39명(평균 22.7세)을 대상으로 굴절이상도, 폭주근점, 근거리 수평사위, 근거리 폭주 및 개산여력을 측정하였다. 결과: 검사 결과를 경도, 중도, 고도 굴절이상에 따라 모건분류 정상 기대값과 비교하여 분류하였다. 폭주근점(NPC)은 경도, 중등도 모두 8 cm 이내로 검출된 반면 강도 굴절이상에서는 9.64 cm가 검출되었다. 경도 및 중등도 굴절이상도에서 근거리 수평사위에 의한 분류를 하였을 경우 내사위의 경우 근거리 개산여력이 가장 적었으며, 반면 폭주여력에서는 강한 외사위 그룹이 적게 검출되었다. 결론: 폭주여력은 내사위에서 크고 외사위에서 작은 반면, 개산여력은 내사위에서 적고 외사위에서 크게 나타났다.

  • PDF

정시,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 비교 (Comparison of Accommodative Response among Emmetropes, Spectacle and Contact Lens Wearer)

  • 이규병;박지현;김효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403-410
    • /
    • 2012
  • 목적: 정시와 안경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반응량을 비교하고, 각 그룹내에서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의 상관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방법: 안질환이 없고 굴절이상이 완전 교정된 72명(144안)을 대상으로 폐쇄형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굴절이상도를 사용하여 정시, 안경착용자 및 콘택트렌즈 착용자로 분류하였다. 이후 우세안, 나안시력 및 교정시력을 측정하고, 개방형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단안 및 양안으로 원/근거리(5 m/33 cm)를 주시할 때의 굴절이상도를 측정하여 조절래그를 산출하였다. 결과: 좌우안 및 우세안/비우세안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며, 단안주시의 조절래그가 양안주시보다 더 크게 검출되었다. 또한 남녀간의 조절래그는 단안주시는 남자가 컸지만 양안주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근시도와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근시안이 정시안에 비해 더 컸지만,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전체 대상자의 굴절이상도와 조절래그 상관성은 단안/양안주시 모두 굴절이상도가 클수록 조절래그가 컸으며,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있었으나 안경착용자는 단안/양안주시 모두 유의한 상관성이 없었다. 결론: 정시안과 근시안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있고, 근시안 중 안경착용자와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조절래그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시안과 콘택트렌즈 착용자의 굴절이상도는 조절반응량과 상관성을 보였다.

굴절이상과 시력교정 (Measurement of Refractive Error and the Prescription for Ametropia with Refractometer and Visiontester)

  • 최영준;서용원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61-76
    • /
    • 1997
  • 18세에서 26세 사이의 남자 64 명, 여자 36명의 안경장용자를 대상으로 나안시력과 타각적 굴정이상, 완전교정도수, 장용감 테스트를 하여 적절한 처방도수를 구했다. 나안시력 0.1을 1.0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등가구면도수가 남자 -3.00D, 여자 -2.91D 정도가 필요했고, 0.5시력을 1.0.으로 향상시키기 위해서 등가구면도수가 남자 -0.58D, 여자 -1.38D 정도가 필요했다. 나안시력과 교정도수와는 선형적으로 반비례하지는 않았지만 전체적으로 보면 나안시력이 낮을수록 교정에 필요한 교정도수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그리고 타각적 굴절이상치와 완전교정도수, 처방도수를 비교했을 때 타각적 굴절이상치 보다는 완전교정도수가 대체적으로 낮았고, 처방도수는 그보다도 더욱 낮은 도수를 나타냈다. 난시도수는 2.50D 미만이었으며, 도난시 보다는 직난시가 훨씬 많았다. push up법으로 조정력을 측정한 결과 남자는 6.75D~10.04 D, 여자는 7.5D~9.6D까지 분포하고 있었다.

  • PDF

고령의 연령에서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들의 연관성 분석 (The Correlation of Refractive Error and Ocular Dimensions in Older Age)

  • 임병관;전순우;정연홍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293-297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고령의 성인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들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적 수술을 받지 않은 고령의 95명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각막곡률반경, 각막굴절력, 안축장, 전방깊이, 수정체 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안축장(AL)/각막곡률반경(CR) 비와 각막굴절력, 안축장, 전방깊이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510, r=0.439 r=0.411), AL/CR 비와 각막곡률반경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 = -0.516). 각 막굴절력과 안축장 사이에서 가장 높은 연관성(r = -0.545, p=0.000)을 보였으며 굴절이상과 AL/CR 비는 음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r = -0.359). 결론: 눈의 굴절이상을 진단하는데 AL/CR 비가 고령의 성인에서 중요한 지표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목포지역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 현황에 관한 연구 (A Study of Research on Uncorrected Refractive Error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Mokpo)

  • 김인숙;장정운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6권3호
    • /
    • pp.313-317
    • /
    • 2011
  • 목적: 본 연구는 목포시 소재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 실태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지역별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 현황 파악의 기초자료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방법: 목포시 소재 초등학교 3개교, 1~6학년까지 약400명을 대상으로 시력검사를 실시하였으며, 자각적 타각적 굴절검사로 미교정안의 실태를 파악 하였다. 결과: 대상자중 미교정된 근시안은 256명으로 전체에 64%, 원시안은 21명으로 5.3% 난시안은 19명으로 4.8%로 나타났다.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미교정된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좌안보다 우안의 미교정율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 정확한 시력교정을 필요로 하는 초등학생들의 미교정안과 같은 시기능 문제는 초등학생들의 시력보호를 위하여 복지차원으로서 규칙적인 검사와 교정이 필요하다.

역방향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에 따른 각막 굴절력 변화 (The Change of Corneal Refractive Power by Everted Silicone Hydrogel Contact Lens Wear)

  • 김수현;신동민;정주현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271-277
    • /
    • 2013
  • 목적: 본 연구는 역방향(Everted) 실리콘 하이드로겔 렌즈 착용 후 각막 굴절력의 변화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방법: 각막 굴절력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corneal topographer(CT-1000, Shin-nippon Co., Japan)를 이용하여 주경선 굴절력과 각막난시를 측정하였고, 굴절이상도 변화는 자동굴절검사기(Natural vision-K 5001, Shin-nippon Co., Japan)를 이용하여 타각적 굴절검사를 실시하였다. 렌즈 착용 전과 착용 1주일 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결과: 각막 굴절력의 변화를 본 결과 경도 근시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각막 굴절력을 교정할 수 있었고, 각막의 강주경선의 굴절력이 클수록, 각막난시가 많을수록 각막 눌림이 많았다. 대상자의 73%가 1 D이하의 타각적 굴절이상도 감소를 보였고, 17%가 굴절이상도가 증가하는 역효과가 나타났다. 타각적 굴절이상도의 감소는 각막 굴절력이 크고 각막난시가 많을 때 효과적이었다. 결론: 역방향 하이드로겔 렌즈에 의해 각막눌림이 야기될 수 있고, 이는 각막 굴절력과 각막난시, 타각적 굴절이상도에 따라 정도의 차이가 발생하였다. 렌즈의 파라미터를 변경하기 힘든 점을 고려하여 적정한 대상자의 선정이 중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과 안압변화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Corneal Ablation Amount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Corneal Refractive Surgery)

  • 정미아;이은희
    • 대한시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43-551
    • /
    • 2018
  • 목적 :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에 따른 안압변화와 수술 전 굴절이상도에 따른 수술 후 안압 변화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라식 각막굴절교정수술을 받은 평균연령 $37.34{\pm}7.42$세, 성인 남녀 108명(남자 48명, 여자60명)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자동굴절검사기, 비접촉형안압계, 엑시머레이저를 이용하여 굴절이상도, 안압, 각막절삭량을 측정하였으며, p<0.05일 때 통계적으로 유의하다고 판단하였다. 결과 : 각막굴절교정수술 전 안압은 남자가 $15.08{\pm}2.60mmHg$, 여자가 $14.16{\pm}2.67mmHg$로 남자가 여자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안압 감소량은 남자가 4.22mmHg, 여자가 3.61mmHg로 나타났다. 등가구면 굴절력은 각막굴절교정 수술 전 남자 $-3.89{\pm}2.17D$, 여자 $-4.45{\pm}2.92D$에서, 각막굴절교정 수술 후 남자 $-0.10{\pm}0.46D$, 여자$-0.04{\pm}0.46D$로 나타났다.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각막절삭량은 남자 $53.95{\mu}m$, 여자 $61.26{\mu}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 각막절삭량과 안압의 감소량에는 유의한 상관성(r=0.2299, p<0.001)을 보였다. 성별로는 남자의 각막절삭량이 많아질수록 안압의 감소량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굴절이상도가 증가할수록 안압의 감소량도 커져 경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3.04{\pm}2.18mmHg$, 중등도의 굴절이상에서는 $4.10{\pm}2.16mmHg$, 고도의 굴절이상도에서는 $4.65{\pm}3.29mmHg$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 각막굴절교정수술 후 비접촉식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안압측정은 녹내장 판단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안압 측정시 각막굴절교정수술 여부에 대한 사전설문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눈의 굴절이상 교정과 사위와의 관계 (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Refractive Error Correction and Phoria Amount)

  • 서용원;김대년;강인산
    • 한국안광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139-146
    • /
    • 2000
  • 눈의 굴정이상을 완전교정한 상태에서 양안시기능 알아보기 위해서 maddox rod를 이용하여 안구 편위량을 측정한 결과, 수평방향의 편위가 없는 정위는 10%, 내사위 55%, 외사위 34%로 나타났으며, 안구의 내측 편위가 외측편위보다 11%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4 프리즘 이상의 편위량을 갖고 있는 경우도 내사위 23%, 외사위 9%로 나타나 보다 쾌적한 양안시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안위이상을 고려한 처방이 되어야 한다. 굴절이상 교정별 안위 이상을 측정한 결과 저교정에서 과교정 상태로 감에 따라 안위의 편위는, 외사위는 감소하고, 내사위는 그 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조절의 영향일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heterophona 법으로 AC/A 비를 측정한 결과, 최저 1.25에서 6.61까지 분포하고 있었으며 굴절이상과는 관련성을 찾아볼 수 없었다.

  • PDF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한 시력측정 자세에 따른 굴절이상도 분석 (Analysis of refractive error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vision measurement using an automatic refractor)

  • 김봉환;한선희;안세현;신창섭;장원정;황인선;김형수
    • 한국임상보건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587-1593
    • /
    • 2022
  •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efractive error that occurs depending on the measurement location of the subject when performing a refraction test using the automatic refractor. Methods. When performing the auto-refraction test, measurements were taken while increasing the distance between the forehead and the forehead rest, and the measurements were made by tilting the head clockwise and counterclockwise. Results. During the auto-refraction test, significant refractive error occurred when the forehead was not attached to the forehead support or the subject's head was turned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Conclusions. When performing a refraction test using an automatic refractor, the examiner will have to pay attention to whether the subject's forehead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forehead rest, and whether the head is til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