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Correlation of Refractive Error and Ocular Dimensions in Older Age

고령의 연령에서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들의 연관성 분석

  • Lim, Byung Kwan (Department of Visual Optics, Kyungdong University) ;
  • Jeon, Soon-Woo (Department of Public Health, Graduate School, Keimyung University) ;
  • Jeong, Youn Hong (Department of Visual Optics, Kyungdong University)
  • 임병관 (경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 전순우 (계명대학교 대학원 공중보건학과) ;
  • 정연홍 (경동대학교 안경광학과)
  • Received : 2011.07.20
  • Accepted : 2011.09.17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was to know the correlation among refractive error and the dimensions of ocular components on older adults. Methods: The subjects were 95 older age who had no eye diseases. The refractive error, corneal radius, corneal diopter, axial length, anterior chamber depth and lens thickness were measured and analysed. Results: The axial length(AL)/corneal radius(CR) ratio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orneal diopter, axial length, the anterior chamber depth. Then i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orneal radius. It was shown that the highest correlation was between the corneal diopter and axial length (r = -0.545, p = 0.000). The spherical equivalent of the refractive error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AL/CR ratio. Conclusions: It was shown that the AL/CR ratio was a very important indicator for diagnosing the refractive error of the old age.

목적: 본 연구는 고령의 성인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안광학 성분들 사이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안과적 수술을 받지 않은 고령의 95명을 대상으로 굴절이상과 각막곡률반경, 각막굴절력, 안축장, 전방깊이, 수정체 두께를 측정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안축장(AL)/각막곡률반경(CR) 비와 각막굴절력, 안축장, 전방깊이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r=0.510, r=0.439 r=0.411), AL/CR 비와 각막곡률반경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r = -0.516). 각 막굴절력과 안축장 사이에서 가장 높은 연관성(r = -0.545, p=0.000)을 보였으며 굴절이상과 AL/CR 비는 음의 상관관계로 분석되었다(r = -0.359). 결론: 눈의 굴절이상을 진단하는데 AL/CR 비가 고령의 성인에서 중요한 지표자료임을 알 수 있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찬수, 김수영, 박영훈, 이영춘, "정시안에서 연령에 따른 안수치들의 변화", 대한안과학회지, 49(3):425-432(2008).
  2. 마기중, 이혜정, 권용성, "한국인 눈의 광학상수 측정 및 상호연관성", 대한시과학회지, 2(2):145-159(2000).
  3. William J. B., "Borish's clinical refraction", 1st Ed, Philadelphia, W. B. Saunders, pp. 2-17(1998).
  4. Chen C. J., Cohen B. H., and Diamond E. L., "Genetic and environmental effects on the development of myopia in chinese twin children", Ophthalmic Paediatr Genet., 6(1-2):353-359(1985).
  5. 김덕훈, 김상문, 김재민, 김창식, 신문균, "시기생리학", 현문사, 서울, pp. 155-177(2000).
  6. Grosvenor T. and Goss D. A., "Role of the cornea in emmetropia and myopia", Optom. Vis. Sci., 75(2):132-145(1998). https://doi.org/10.1097/00006324-199802000-00017
  7. Vaughan D. and Asbury T., "General Ophthalmology", 10th ed., Lange Medical Publications, Los Altos, California, pp. 12(1983).
  8. Scott R. and Grosvenor T., "Structural model for emmetropic and myopic eyes", Ophthalmic Physiological Optics, 13(1):41-47(1993). https://doi.org/10.1111/j.1475-1313.1993.tb00424.x
  9. Benjamin B., Davey J. B., Sheridan M., Sorsby A., and Tanner J. M., "Emmetropia and its aberrations; a study in the correlation of the optical components of the eye", Special Report Series Medical Research Council(GB), 11(293):1-69(1957).
  10. Van Alphen G., "On Emmetropia and Ametropia", Opt. Acta. (Lond), 142(Suppl):1-92(1961).
  11. Grosvenor T. and Scott R., "Role of the axial length/corneal radius ratio in determining the refractive state of the eye", Optom. Vis. Sci., 72(4):287-289(1995). https://doi.org/10.1097/00006324-199504000-00012
  12. Duane T., "Clinical Ophthalmology", Chapter 33, Harper Row Publisher, Philadelphia, pp. 1-3(1978).
  13. 서용원, 최영준, "굴절이상과 안축장/각막곡률반경 비와의 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안광학회지, 4(2):23-31(1999).
  14. 이은경, 이득봉, 진경현, 김재명, "한국인 소아의 안축장과 굴절이상과의 관계", 대한안과학회지, 34(7):654-660(1993).
  15. 전순우, 황혜경, 이선행, 박천만, "취학전 어린이들의 안광학 성분 측정 및 상관성 분석", 한국안광학회지, 15(3):201-206(2010).
  16. 김창식, 이학준, "정상 대학생의 눈 굴절이상, 안축장, 전방깊이, 수정체두께 그리고 각막두께의 연관성", 한국안광학회지, 13(1):89-94(2008).
  17. 김상덕, 이두석, 김재덕, "한국인 성인의 각막굴절력 및 안축장에 대한 임상적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31(11):365-1369(1990).
  18. Duane T., "Clinical Ophthalmology", Chapter 34, Harper Row Publisher, Philadelphia, pp. 1-7(1978).
  19. 이내호, 김기산, 조윤애, "초음파 생체계측에 의한 정시안의 안축장에 관한 고찰", 대한안과학회지, 24(1):27-33(1983).
  20. 윤동호, 이상욱, 최억, "안과학", 개정판, 일조각, 서울, pp. 1-3(1990).
  21. Osuobeni E. P., "Ocular components values and their intercorrelations in Saudi Arabians", Ophthal. Physiol. Opt., 19(6):489-497(1999). https://doi.org/10.1046/j.1475-1313.1999.00453.x
  22. 이진학, 노광국, 윤동호, "연령이 정상시력안의 굴절상태에 미치는 영향", 대한안과학회지, 31(10):1335-1339(19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