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orm strategy

검색결과 127건 처리시간 0.027초

자본주의(資本主義)와 사회주의(社會主義) 농지개혁(農地改革) 비교연구(比較硏究) (A Comparative Study on Land Reform between Capitalist and Socialist)

  • 김재홍
    • 농업과학연구
    • /
    • 제10권2호
    • /
    • pp.382-392
    • /
    • 1983
  • Land Reform is a distributive measure which transfers power, property, income and status from one group in the community to another. There are two strategies in land reform, capitalist strategy and socialist strategy. The two strategies are different not only in their objectives and ideologies, but also in the method of land allotment and confiscatin. Capitalist land reform is aimed at accomplishing the land -to -the -tiller program of which the implementing process is always included rent reduction and sale of public lands. Socialist land reform is aimed at achieving abolition of property right of land and application of all rent revenue from land to public purpose. The process of the socialist land reform is comprising Bauernbefreiung and land collectivization. In conclusion, the former is resulted in high productivity of land and the later is identified low productivity of land.

  • PDF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 (Mental Health Reform through the National Mental Health Strategy in Australia and Convergence Policy Implications)

  • 신창식;김세원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6호
    • /
    • pp.341-350
    • /
    • 2015
  • 본 논문은 호주의 국가정신보건전략에 대한 주요 내용과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한 정신보건개혁 이후의 변화들, 그리고 정신보건개혁에 대한 논의를 통해서 우리나라의 정신보건정책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현실적인 시사점과 융복합 정책적 함의를 찾는데 그 목적이 있다. 1992년에 발표되어 2008년에 개정된 국가정신보건정책, 1993년부터 2014년까지 네 차례에 걸쳐 수립된 국가정신보건 5개년 계획, 2006년 호주정부협의회에 의해 수립된 정신보건실행계획, 그리고 2012년 호주정부협의회에서 채택한 국가정신보건개혁을 위한 로드맵(2012-2022)을 포함한 국가정신보건전략은 지난 20년 동안 호주의 정신보건개혁의 광범위한 과정을 선도하는 대단히 중요한 정책 준거를 제공하였다. 1992년 시작된 국가정신보건전략을 통해서 정신보건재정 확충, 지역사회 중심의 치료 및 보호시스템 구축, 정신병상의 변화, NGO의 참여와 역할의 증대, 정신장애인과 가족(보호제공자)의 참여 확대 등과 같은 변화를 이루었다.

규제개혁의 전략 - 참여정부 규제개혁의 성과와 과제 - (The Strategy of Regulatory Reform in Korea : Performance and Task of Participatory Government)

  • 김신
    • 한국디지털정책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디지털정책학회 2006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113-123
    • /
    • 2006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wofold; 1) to evaluate the efforts of participatory government in regulatory reform, 2) to propose the strategies and tasks for future regulatory reform in Korea. An ex-post evaluation model for regulatory performance is applied to process, output, and outcome of the regulatory reform.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show that there is still room for improvement in many aspects of regulatory reform. While there has been substantial advance in regulatory quality and management, carefully planned strategies are essential for Korean regulatory reform to move to the next stage of regulatory reform. Thus, based on the evaluation, future strategies and tasks for regulatory reform are presented as short-term tasks, mid to long range tasks, and continuous tasks.

  • PDF

김정은 시대 북한의 경제특구전략: 영역화, 분권화, 그리고 중국식 개혁개방? (North Korea's Special Economic Zones Strategy in the Kim Jong-Un era: Territorialization, Decentralization, and Chinese-Style Reform and Opening?)

  • 이승욱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122-142
    • /
    • 2016
  • 이 연구는 1990년대 초반부터 시작된 북한의 경제특구 실험의 의의를 북한의 체제변화와 한반도 지정학적 질서의 변화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북한 경제특구 정책의 변화과정을 북한 경제특구 전략 고유의 영역화 논리, 분권화/분산화에 대한 강조, 그리고 중국 개혁개방모델과의 비교 등 세 가지 측면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북한 경제체제의 변화를 폐쇄에서 개방으로 이해하는 단선적 접근을 비판하고, 북한 특구전략의 역동성을 다층적인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북한의 경제특구전략을 경제난에 의한 불가피한 선택이나 중국과 같은 개혁개방 노선을 따르는 것으로 이해할 수는 없으며, 오히려 특구전략 기저에 작동하고 있는 지정학적 논리와 함께 지방경제발전에 대한 강조를 중심으로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PDF

상쇄전략과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을 적용한 북핵 대응방안 (Strategy for Countermeasures the NK's Nuclear Issue Using Offset Strategy and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echnologies)

  • 박재완
    • 한국과 국제사회
    • /
    • 제3권1호
    • /
    • pp.77-106
    • /
    • 2019
  • 본 논문의 목적은 미국의 상쇄전략 개념을 발전적으로 검토하여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을 적용하고 국방개혁 2.0과 연계한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 것이다. 남북, 미 북 정상회담을 통하여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한 다양한 협상을 진행하고 있으나 2019년 베트남 하노이에서의 미 북 정상회담 결렬 등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달성하기까지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에 현실화된 북한의 핵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개념과 기술, 조직을 발전적으로 검토하였다. 대응개념은 미국의 상쇄전략 추진사항을 발전적으로 검토하여 '적 중심 마비작전'을 작전개념으로,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기술은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과 미국의 3차 상쇄전략 추진 사항을, 조직은 국방개혁 2.0 추진과 미국의 국방부 획득조직 개편에 대한 시사점을 분석하여 발전적인 방안을 도출하였다. 미국의 전략적인 개념의 일치가 필요한 부분이 있고, 기술의 상호운용성, 한 미동맹 차원의 협력분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과 국방개혁 2.0 추진 사항을 연계하여 북핵 대응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음을 도출하였다. 북핵 대응을 위한 작전수행 개념의 발전을 위해 새로운 패러다임을 적용이 필요하였으며 미국의 '국제공역에서의 접근과 기동을 위한 작전개념'(JAM-GC)를 벤치마킹하여 '적 중심 마비전' 작전개념을 제안하였다. 북한의 비핵화 협상이 진행 중인 점과 4차 산업혁명 기술혁신의 방대함, 국방개혁 2.0과의 연계성, 한반도 평화프로세스와의 접목 등을 고려할 때 더욱 정교하고 세밀한 북핵 대응방안의 발전이 필요할 것이다.

′화재예방법규′의 규제완화가 화재발생에 미치는 영향 -영국 사례분석 - (Deregulation of the Fire Prevention Legislation; and Its Impact on Fire Occurrence - Case of the United Kingdom -)

  • 이재열
    •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3-19
    • /
    • 2001
  • OECD는 규제개혁을 '보다 나은 규제'와 '규제폐지'로 구분하고, 환경 및 안전 분야의 규제는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한다. 반면에, 1990년대에 진행된 한국소방의 규제개혁은 일방적인 규제의 완화 또는 폐지라는 방향으로 진행되는 매우 기이한 현상을 나타내고 있다. 영국 소방예방법규의 경우, 1971년 화재예방법의 제정 이후 대형화재의 발생에 대응하여 지속적으로 예방법규를 강화해 오고 있으며, 1991년 건축령에서는 주택을 포함하여 모든 건물에 대하여 각층에 최소 한 개의 연기경보기를 설치할 것을 의무화하고 있다. 이 연구는 영국에서의 소방예방법규의 강화가 소방안전을 제고 시켰다는 것을 보여 주고 있는데, 이것은 한국소방에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한국소방의 경우 화제로부터 시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서 '안전, 보건, 환경과 관련된 규제의 질을 개선한다'는 규제개혁위원회의 규제개혁 기본방향이 철저히 준수되어야 하며, 비록 규제개혁의 전체적 전략이 모든 규제를 감소시키는 것일지라도 안전에 관한 규정은 오히려 증가시킬 수 있다는 기본방향의 유연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 PDF

A study on Decline and Development Strategy of Local Universities

  • Kim, Taek
    •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 /
    • 제9권2호
    • /
    • pp.10-17
    • /
    • 2021
  • The core of the university policy pursued by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is to strengthen university competencies through the diagnosis of universities. To this end, the word structural reform evaluation is changed to strengthening the basic competencies of universities, and is trying to escape from the past reduction of pro-class capacity. Deputy Prime Minister Kim Sang-gon insisted, "We will improve the university structure evaluation, which is biased toward quantitative quota adjustment, with a diagnosis of basic university competency to support the autonomous development of the university." The Ministry of Education expressed its intention to strengthen the capacity of local universities by saying that it would also consider regional conditions in reducing the university quota due to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so far. In the meantime, as the school-age population declined, the Ministry of Education promoted the reform of the university structure by dividing it into three cycles from 2014.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blems of diagnosis of education reform and improvement measures, and tries to find out what is the desirable direction for education innovation. This paper studied the structural reform of universities following the decline of local universities. The policy alternatives in this paper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s of the government's push for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were analyzed. Second, we considered the problems of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Third, they sought ways to develop local universities and enhance their competitiveness.

북한의 국방개혁: 기술개발을 통한 전략적 역량 확보 (North Korean Defense Reform: Strategic Strength through R&D)

  • 양욱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6권4호
    • /
    • pp.209-217
    • /
    • 2020
  • 북한은 국방력 강화를 위하여 꾸준한 국방개혁을 실시해왔으며, 특히 군사기술개발과 군수산업역량 강화를 국방개혁의 중점으로 삼아왔다. 이러한 북한의 국방개혁은 궁극적으로는 핵전력 확보를 목표로 했으며, 김정은 시기에 이르러 기술적 성과가 축적됨에 따라 수소탄과 ICBM/SLBM 등 전력의 발전으로 이어졌다. 이렇게 핵전력을 확보한 북한은 또다시 국방개혁을 통하여 재래식 무기체계의 첨단화를 추구함으로써 전략적 우위를 확보함으로써 재래전력에서의 대칭성까지 추구하고 있다. 여태까지 북한의 국방개혁은 성공적이었으며, 김정은의 새로운 집권체제 확립과 대미협상 등의 동력을 만드는데 성공했던 것으로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