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flection rubric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1초

CSCA 환경에서 성찰루브릭이 비판적 사고와 협력적 논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flection Rubric on Critical Thinking and Collaboration Argumentation in CSCA environment)

  • 김수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5559-5569
    • /
    • 2013
  • 본 연구는 CSCA 환경에서 성찰 루브릭을 통해 자신의 의견을 평가하고 타인의 의견을 평가하는 것이 비판적 사고의 빈도와 내용, 협력적 논증에 어떠한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K대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수강생 60명을 대상으로 4주동안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성찰 루브릭 제공이 비판적 사고의 빈도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내용 및 협력적 논증에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성찰 루브릭이 협력적 논증 학습 환경에서는 한 쪽으로 치우친 추론을 방지하고 양쪽 입장을 모두 고려하는 합리적인 주장과 근거를 제시하는 데 있어 효과적이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협력적 논증의 궁극적인 목적인 '협력적 지식구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CSCA 환경에서 효과적인 논증협력학습활동을 위한 전략 제시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루브릭 적용을 통한 영화교육 평가 및 효과 연구 (A Study on the Effects and Evaluation of Movies Education through Application of Rubric)

  • 성창환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6호
    • /
    • pp.471-478
    • /
    • 2022
  • 좋은 수업은 수업을 구성하는 요소들이 하나의 체제로서 유기적 연관성을 갖는다. 평가 준거에 대한 충분한 설명이나 합의 없는 일방적 평가, 평가과정의 신뢰성을 담보할 수 없는 주관적 평가 그리고 학습 과정과 분리된 탈 맥락화된 평가는 좋은 수업이나 건강한 학습생태계를 위협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 연구는 교육 평가와 관련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루브릭(rubric)을 통한 평가와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루브릭'은 수업목표를 토대로 수행과제를 평가하는 준거와 수행의 질을 여러 단계로 상세히 묘사한 서술적 평가도구다. 영화 리터러시 평가를 위해 적용한 루브릭은 '분석적 루브릭'으로서 영화 이해 리터러시, 영화 제작 리터러시, 그리고 영화 활용 리터러시를 포괄한다. 루브릭에 대해 학습자들은 타당하고 매우 유용한 학습 성찰 도구로 인식하였다.

성찰저널을 활용한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체계 개발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ogram Outcomes Assessment System using Reflection Journal)

  • 이영태;임철일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3호
    • /
    • pp.42-50
    • /
    • 2013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ool using reflection journal. Reflection journal has recently come to gain more attention from school as an alternative assessment tool. Although numerous studies reconfirmed the educational importance and value of reflection journal as an assessment tool, research on the assessment tool of the engineering accreditation, based on education view is scarce. After literature reviews about the case studies on the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his study, to analyse the current assessment tools, and then, examin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reflection journal as a program outcomes assessment tool. This study suggested the assessment tool using reflection journal for PO6 (teamwork) and PO11 (engineering ethics), one of the most important assessment items in engineering accreditation. In this study, we used the performance criteria, assessment criteria, rubric, and closed the loop to measure the teamwork and engineering ethic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erms of guiding the future evaluation system development for program outcomes.

메이킹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2학년 아동의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the Making-books Program on Children's Creativity)

  • 변윤희;김명순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251-266
    • /
    • 2007
  • The Making-books Program(Byun, unpublished) uses the Arts PROPEL approach based on multiple-intelligences theory(Gardner, 1983). PROPEL is a loose acronym for production, perception and reflection, 3 stages in the learning process. The Making-books Program includes designing rubrics, making-books, and publishing. Effect of the program on creativity was examined by before- and after-testing by TTCT. Participants were 63 7-year-old children with 30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and 33 children in the control group. On the pre-test, there was no between groups difference in the participants' creativity on the TTCT. After 21 treatments, the effectiveness of the Making-books Program was shown by significant between group differences on the post-test.

  • PDF

교육실습생의 실천적 지식 구성에 대한 관찰 - 지리 수업조직을 사례로 - (Observation on the Constructing Practical Knowledge of Student Teachers: A Case of Geography Classroom Organization)

  • 강창숙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577-603
    • /
    • 2009
  • 본 연구는 두 교육실습생의 지리 수업조직에 대한 실천적 지식의 구성을, 그 배경이 되는 심층동기와 이론적 지식의 경험부터 교실이라는 실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수업 실행과 반성적 실천에 이르는 과정에 참여 관찰한 질적 사례 연구이다. 주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두 교생의 '지리교사'에 대한 동기는 가장 바람직한 '본질적 동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이들의 '예비 지리교사'로서의 정체성 형성은 지리와 지리교육에 대한 긍정적인 이해에서 시작되었다. 2) 두 교생의 수업은 대략 $9{\sim}14$개의 단락으로 조직되었다. 도입 정리 단계의 단락 조직과 전개 단계의 단락 조직 방식과 기능은 다르게 나타났다. 전개 단계의 시간 비중이 가장 높았고, 시간 비중이 가장 낮은 정리 단계는 단락 활동이 생략되거나 축소되는 등 가장 불규칙하게 조직되었다. 3) '반성적 사고의 틀'에 의거하여 분석한 두 교생의 반성적 사고는 '기술적인 수준'과 '숙고적인 수준'이 교차되어 나타나는 바람직한 수준이었다. 이러한 연구 내용과 결과는 교사 교육자들에게 '가르칠 줄 아는 것'과 '가르치는 것에 대해 아는 것' 사이의 관계를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식으로 이해하는 것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교재중심 강의와 문제중심학습 방식이 기초의학에서 과학적 추론에 미치는 효과 비교 (A Comparison of Effect of Lecture-Based Learning and Problem-Based Learning on Scientific Reasoning in Basic Medicine)

  • 김현아;김각균;이승우
    • Journal of Oral Medicine and Pain
    • /
    • 제30권1호
    • /
    • pp.35-44
    • /
    • 2005
  • 본 예비연구는 강의중심학습 (LBL) 방식 과 문제중심학습 (PBL) 방식이 기초의학 지식의 이해력의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사후-사전 검사의 변화량의 차이의 비교를 통해서 그리고 과학적 추론을 동반한 반 구조화된 문제해결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사후 검사의 차이의 비교를 통해서 평가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 반 구조화된 문제는 다섯 개- 샘플 크기, 원인과 결과의 연구설계, 위험요인 구성, 데이터의 통계 분석, 결과 해석- 의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본 실험은 2004년 이 주에 걸쳐 서울대학교 치과대학 100명의 학부 학생들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상이한 두 학습들이 실시되기 전 과 후에 감염방지와 예방에 관한 48개의 사지 혹은 오지 선다형의 문제가 학생들에게 주어졌다. 또 두 학습이 종결된 후에 역학관련 반 구조화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과제를 통하여 문제해결의 능력에 미치는 두 학습 방식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사전-사후 테스트의 결과 기초의학 지식의 이해 향상 정도는 두 그룹 간의 유 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반면, 반 구조화된 문제해결의 질은 문제중심학습 방식이 유 의미하게 높았으며 (p=.029), 특히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인과성 연구설계 (p=.000)와 결과 해석(p=.001)에 관한 과학적 추론의 점수가 유 의미하게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동일한 시간 동안 문제중심학습 방식은 강의중심학습 방식에 비해 하위 기초지식의 이해를 위한 학습 환경에서 불리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상위 인지 활동인 문제해결 과정에서 과학적 추론을 개발하는데 공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