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eemployment Women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49초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예측요인 (The Predictors of Reemployment on Career Interrupted Women)

  • 손영미;박정열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20권2호
    • /
    • pp.165-184
    • /
    • 2016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which predict and discriminate women' reemployment. 288 married women whose careers had been interrupted for more than 1 year and 287 married women who re-entered into the labor market within 5 years were surveyed.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In the personal factor(reemployment need), proximal context factors(career barriers, family support and expectation for reemployment) and background context factors(SES, family life cycle), background context factors were revealed not to predict significantly women's reemployment. Secondly, in the case of proximal context factors, it was found that 'expectation of family members for reemployment' and 'sharing family care' had strong effects on reemployment. And compared with interrupted women, reemployed women were less likely to perceive career barriers. Specifically, they showed lower expectation to their job and status which they would achieve, less perceived gender/age discrimination in labor market, and had more confidence that they could find a job. Finally, with regard to the personal factor (reemployment need), the lower women had self-actualization need, the higher economic need, and the higher social need, it was highly likely to classify into reemployed women. We discussed the way to improve reemployment of career interrupted women based on above mentioned findings.

사회적지지가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atisfaction Levels of Re-entry at Labor Market of Career Interrupted Woman by Social Support)

  • 신연하;이동명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8권7호
    • /
    • pp.138-152
    • /
    • 2018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에 대한 사회적지지가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재취업욕구가 매개로써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따라서 경력단절여성의 경제활동활성화 방안과 여성 인적자원 양성에 따른 정책적,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는데 필요한 기초적 자료 제공과 정책적 제언을 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수도권에 거주하고 있는 경력단절여성 중 경력단절 이후 재취업을 하여 3년 미만의 경제활동을 하고 있는 여성 400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구조방정식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사회적지지는 재취업욕구에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지지에 따라 직업만족과 자아존중감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재취업욕구는 사회적지지와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 사이에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의 노동시장 재진입을 추진해 오면서 간과했던 사회적지지에 대한 파악과 이들이 노동시장 재진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봄으로써 향후 여성인적자원 개발과 활용을 위한 정책 및 제도 개선에 논리적이고 객관적인 근거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미용교육이 재취업여성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 Cosmetology Education for Reemployment Women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 김수정;이인희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6권7호
    • /
    • pp.4432-4440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미용교육이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경력단절여성들의 진로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자 재취업을 위해 미용교육을 받고 있는 30-50대 기혼여성 300명을 대상으로 재취업 특성 및 미용교육만족도, 진로준비행동을 분석하였다. 재취업여성들은 연령, 학력, 전공, 교육기간, 교육기관에 따라 재취업특성이 다양하게 나타났으며, 미용교육만족도의 하위요인들은 진로준비행동은 향상시키는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특히 교육내용과 취업 및 진로상담요인이 진로준비행동에 상대적으로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진로준비행동을 통한 재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내용과 취업 및 진로상담 서비스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을 바탕으로 미용교육기관에서 수강생들의 요구를 충족시키며 발전하는 산업현장에 맞는 효율적인 미용교육의 중요성을 다시 한 번 부각시키고 교육기관의 만족도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취업 및 진로상담 서비스의 기초자료로 제공하여 미용교육의 발전과 경력단절여성들의 재취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여성장애인의 재취업 결정요인 연구 (Determinants on the Reemployment of Disabled Women)

  • 양정빈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2호
    • /
    • pp.230-238
    • /
    • 2017
  •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재취업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살펴보고, 이들의 재취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계획되었다. 이를 위해 장애인고용패널조사(PSED) 1차(2008)~7차(2014)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인구학적 특성, 장애관련 특성, 인적자원 특성의 각 요인들이 재취업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분석 결과, 기초생활수급자 유무, 장애정도, 건강상태, 자격증 유무, 고용서비스 경험이 재취업에 유의한 영향력을 보이고 있었다. 즉, 기초생활수급자가 아닐수록, 장애정도가 경증이고 건강상태가 좋을수록, 자격증이 있고, 고용서비스 경험이 있는 여성장애인일수록 재취업의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여성장애인의 재취업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여성장애인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보건의료정책이 필요함을 강조하며, 특화된 직업훈련 시스템의 도입, 그리고 변화하는 노동시장에 적합한 직종 개발 등의 방안을 제안하였다.

경력단절여성의 재취업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 경력단절여성과 채용담당자가 경험한 어려움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f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in the Reemployment Process : Focusing on The Experience of Career-interrupted Women and Recruiters)

  • 박은주;전형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1호
    • /
    • pp.166-182
    • /
    • 2017
  • 본 연구는 경력단절여성들이 재취업 과정에서 경험하는 어려움을 피고용인과 고용인의 차원에서 다면적으로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재취업 경험이 있는 여성집단과 경력단절여성의 채용 경험이 있는 채용담당자 집단으로 구성되었다. 각 집단은 연구참여에 동의한 경력단절여성 6명과 채용담당자 6명으로 구성되었으며, 포커스집단인터뷰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력단절여성은 '존재감 상실과 우울', '나이로 인한 채용단절을 느낌', '욕구와 동떨어진 일자리와 조우', '효용성 낮은 자격증', '직장에 소홀할 것 같은 여성', '가사와 육아는 여성들의 몫', '현실적이지 못한 육아지원제도', '경력개발 및 정보 획득을 위한 자원부족'을 경험하였다. 채용담당자들은 '초기고용비용에 대한 소실', '직업의식이 부족한 여성', '여성에게 맞는 일자리 부족', '현실과 다른 여성의 눈높이', '고용연계시스템 개선에 대한 바램'을 경험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경력단절여성재취업 활성화를 위한 몇가지 제언을 하였다.

실업자의 재취업형태에 관한 연구: 생존표분석과 이산시간분석 (Discrete Data Analysis of the Re-employment Pattern)

  • 김교성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7권2호
    • /
    • pp.253-275
    • /
    • 2005
  • 본 연구의 목적은 실업자의 재취업여부와 재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된 요인이 무엇인지를 파악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한국노동패널의 6개년(1998-2003) 결합자료를 이용하여 사건사분석의 생존표분석과 이산시간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의 결과, 성, 연령, 교육수준이 실업자의 재취업과 재취업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정규직과 비정규직으로의 재취업형태는 실업자의 이전 직장 업종과 직종에 따라 상이한 결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에 비추어 볼 때, 우리나라 실업자의 재취업과 재취업형태는 실업자의 인적자본 수준보다는 분절된 노동시장의 구조에서 기본적인 원인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결국, 실업자의 재취업과 보다 안정적인 고용형태로의 재취업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성과 연령에 의한 차별의 폐지, 직업능력개발훈련의 강화, 그리고 효율적인 노동시장 정보체계의 구축 등의 정책적 접근이 필요하다.

  • PDF

직업 경력단절 기혼 여성에 대한 질적 연구: 30대 여성의 경력단절 이후의 삶을 중심으로 (A Qualitative Study on the Career-interrupted Lives of Career-Interrupted Women in their thirties)

  • 김수리;이수림;유정이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9권2호
    • /
    • pp.75-99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reer-interrupted lives of highly educated career-interrupted women. The participants were 11 women in their thirties who had graduated from university graduated and had a child. We collected the qualitative data using a focused group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personal histories of the career-interrupted women, there were marriages and births, difficulties with child care, priority placed on the family, pressure to retire, and an absence of a layoff system related to births and child care. Second, with regard to their interrupted lives, while there was comfort and an absence of work-stress, there was child care stress, financial stress, anxiety due to career uncertainty, a loss of the social self, depression, emptiness, low self-esteem, dependence on husbands, regret, conflict in career choices, and envy of childcare support. Third, their reasons for seeking reemployment included the financial benefits, increased independence, self-realization in their job, hope for a stable job, self-management, and hope for a social network.

코딩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 사례 분석: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중심으로 (A Case Study of Coding Education Instructor Training Program: Focusing on the Women's Reemployment Support Center)

  • 김용희;이소율;이영준
    • 한국컴퓨터정보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9년도 제59차 동계학술대회논문집 27권1호
    • /
    • pp.323-326
    • /
    •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이 고시됨에 따라 정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코딩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코딩 교육 강사가 요구되고 있는 시점이며, 이러한 강사는 여성새로일하기센터를 비롯한 민간 교육기관에서 코딩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코딩교육 강사 양성 프로그램의 교육현황 및 교육 내용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성가족부의 여성새로일하기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코딩 교육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여 보고, 그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 PDF

생애주기에 따른 경력단절 여성의 재취업 지원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pport for the Re-employment of Women with Career Break in Life Cycle)

  • 배나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8호
    • /
    • pp.268-275
    • /
    • 2018
  • 본 연구는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재취업에 필요한 사항이 무엇인지를 알아보고 경력단절 여성의 욕구에 보다 적합한 재취업 지원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는 현재 대전에 거주하는 미취업자인 여성으로 연구조사는 문화센터, 여성인력개발센터 등의 협조를 받아 취창업관련 교육을 받고 있는 여성 5명을 선정하여 질적조사를 실시 하였다. 자료 수집기간은 2017년 10월부터 12월까지 3개월 동안이었으며, 심층인터뷰(In Depth Interview)로 진행되었다. 인터뷰 과정에서 발생하는 새로운 내용을 적극적으로 반영할 수 있도록 반구조화된 개방형 질문지(Open-Ended Interview)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경력단절 여성을 위한 지원정책은 무엇보다 현재 취업중인 여성들이 결혼과 출산, 육아로 인해 직장을 그만두지 않도록 하는 경력유지를 위한 지원이 우선되어야 한다. 그리고 경력이 단절된 여성들이 노동시장으로 단기간내에 진입할 수 있도록 관련제도를 정비하고, 직업교육훈련 프로그램을 실시 할 필요성도 제기 된다. 이를 위해서는 여성의 생애주기에 따른 영향요인을 이해하고, 여성들의 경제활동을 지원하기 위해서 경력계획을 수립하여 지원할 필요가 있다.

조선시대 가사노동의 성별분업: 풍속화 분석을 중심으로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in the Choson Period as Expressed in Genre Painting)

  • 김성희;이기영
    • 가족자원경영과 정책
    • /
    • 제11권3호
    • /
    • pp.1-21
    • /
    • 2007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in the Choson period. The gender division in the Choson period has been considered as discriminative because women had to remain indoors and were excluded in social works. But in fact the Confucian idea, which regulated the relation between women and men, emphasized the gender difference and not gender discrimination. Actually it can be seen in genre painting of Choson period that women and men worked complimentarily indoors. So this article intends to explore the possibilities of the new analysis of the traditional gender division of housework by reviewing the paintings. As the results indicate, men in the Choson period were involved in some housework, in contrast to the common idea that they maintained their authority by not participating housework. There is also some evidence that gender division benefited women to protect their own productive territory or to satisfy their needs. So it is suggested that gender division in the Choson period should be considered as a source of power as well as a disadvantage to women. Forth, the employed mens' reemployment decision was affected from their household income, expected income after retirement, pension ownership,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From the finding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employed mens' age, economic status, and attitude toward retirement played a important role in the process of retirement and reemployment decision mak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