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nfall durations

검색결과 101건 처리시간 0.024초

계획강우의 지속기간에 따른 저류지용량의 산정 (Estimation of the Stormwater Impoundments Volume Dependent on the Durations of Design Rainfall)

  • 윤여진;이재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415-426
    • /
    • 2001
  • 재해영향평가제도가 시행된 이후 평가서에는 홍수량 산정 및 개발로 인해 증가된 유출량에 대한 대처방안으로 저류지용량을 산정할 때 임계지속기간의 개념을 도입하여 각종 수문량이 산정된다. 임계지속기간은 수공구조물의 종류, 유역특성과 계획강우의 시간적분포 및 재현기가, 유출모형에 따라 변화한다. 본 연구에서는 저류지 설계시 소요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기존 연구에서 제안한 바 있는 저류비의 개념을 이용하여 산정된 저류지용량과 강우지속기간에 따른 저류지용적이 최대가 되는 때의 저류지용적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써 저류지 설계시 적정용량을 산정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추후 유출수문곡선으로부터 최대부하를 야기시키는 계획강우의 임계지속기간을 정하는 문제는 다양한 유출모형과 실적자료를 통한 강우-유출해석과 연계시켜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 PDF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Midsize Catchment)

  • 박종영;신창동;이정식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7권9호
    • /
    • pp.695-706
    • /
    • 2004
  • 본 연구는 실측자료가 확보된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을 밝혀내고, 결정된 시간분포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유역특성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50-5,000$\textrm{km}^2$의 44개 유역을 통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S 유효우량 산정방법으로 결정된 유효우량을 사용하여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모형은 Huff의 4분위 시간분포모형으로 나타났다. 유역면적 50-600$\textrm{km}^2$인 유역에서는 24시간 강우지속기간의 첨두유량과 임계지속기간의 첨두유량은 유사한 값을 보이며, 유역면적 600-5,000$\textrm{km}^2$인 유역에서는 48시간 강우지속기간의 첨두유량과 임계지속기간의 첨두유량이 유사한 값을 보였다. AMC III 조건의 유효우량에 대하여 높은 상관성을 지니는 유역면적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유역면적 50-5,000$\textrm{km}^2$이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위도 특성치를 이용한 무차원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마코프 연쇄를 이용한 서울지점 일강우의 발생특성 변화 연구 (A Study on the Change of Occurrence Characteristics of Daily Seoul Rainfall using Markov Chain)

  • 황석환;김중훈;유철상;정성원;주진걸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2권9호
    • /
    • pp.747-758
    • /
    • 2009
  • 본 논문에서는 연속자료로서 세계 최장의 기록을 보유하고 있는 서울지점의 강우량 자료를 이용하여 강우 발생특성의 장기 변동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마코프 연쇄에 근거한 전이확률 및 발생특성을 분석하여 측우기 자료의 정확성을 강우의 발생확률적 측면에서 평가하였다. 그리고 2차원 LOWESS 회귀방법을 이용하여 전이확률의 월간 장기변화특성을 분석하였다. 전이확률 및 발생특성 분석결과 원자료 계열의 CWK와 MRG는 발생특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강우사상의 특성은 과거에 비해 강우사상의 발생빈도가 높아지고 있으며 각 강우사상의 지속기간은 짧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전이확률의 월간 장기 변화특성을 분석한 결과, M20을 기준으로 CWK와 MRG의 무강우지속기간은 크게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강우지속기간은 1830년대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최근 9월 강우지속기간의 감소 경향이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최근 강우량의 증가양상과 더불어 고려하면 강우사상의 빈도와 심도(강우강도)가 증가하는 추세라고 해석할 수 있다.

Scale-Invariance 기법을 이용한 IDF 곡선의 기후변화 영향 분석: RCP 8.5를 중심으로 (Analysis of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on IDF curves using scale-invariance technique: focus on RCP 8.5)

  • 최정현;이옥정;김상단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9권12호
    • /
    • pp.995-1006
    • /
    • 2016
  • IPCC 제5차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극한강우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할 가능성이 매우 높을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실제로 극한강우에 따른 침수피해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한 미래 확률강우량 추정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후변화 RCP 8.5 시나리오로부터 도출된 미래 연 최대 일강수량 자료의 추세분석과 scale-invariance 기법을 이용하여 미래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먼저, 기상청 관할 60개 기상관측소의 관측 강우자료를 이용하여 관측소별로 스케일 특성을 검토한 후, 현재기후 모의자료를 이용하여 scale-invariance 기법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하였다. 그 후, 미래 일 강수량 시계열을 scale-invariance 특성에 따라 유도된 IDF 곡선식에 적용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반영한 지속시간별 확률강우량을 추정하였다. 대부분의 지점에서 확률강우량이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었으나, 일부 지역의 경우에는 감소할 가능성도 있음을 살펴볼 수 있다.

AnnAGNPS 모형의 강우-유출해석력 평가 (Assessment of AnnAGNPS Model in Prediction of a Rainfall-Runoff Relationship)

  • 최경숙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125-135
    • /
    • 2005
  • 비점오염 발생은 강우에 의한 지표면 유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관계로 모형을 이용한 비점오염 해석은 먼저 유역의 강우-유출의 명확한 관계해석을 필수조건으로 한다. 본 연구는 비점오염 모의에 많이 사용되고 있는 AnnAGNPS 모형의 다양한 유역특성별 강우-유출해석능력을 평가해 보았다. 결과를 통해 AnnAGNPS 모형은 대유역 모의에 적합하며 소유역 및 강우에 대한 유역의 반응시간이 짧은 불투수층이 많은 유역에 적용하는 것은 적합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AnnAGNPS 모형은 모의에 사용하는 시간간격 이 일단위(daily basis)이므로 하루보다 짧은 지속시간의 복합첨두치(mutiple peak flow)를 가지는 강우사상을 표현하는 기능이 없으며 따라서 첨두유량 예측에 상당한 오차 발생의 원인으로 드러났다. 또한 유출해석에 사용되는 CN방법은 지역적인 특성에 맞게 구축된 CN정보가 없는 관계로 초기치 선택에 신중함이 요구되며, 강우의 분포형과 더불어 반드시 주요 검정대상으로 다루어져야 할 매개변수였다.

  • PDF

96년 7월 한탄강유역 집중호우의 특성 분석 (Hydrometeor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Heavy Storm of July, 1996 in the Hantan Basin)

  • 윤용남;김재형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0권4호
    • /
    • pp.389-399
    • /
    • 1997
  • 1996년 7월 26일∼28일에 걸쳐 경기북부 및 강원영서 지방에 내린 기록적인 집중호우를 대사으로 연천댐 붕괴의 원인이 된 한탄강유역 호우의 수문기상학적 규모와 발생특성을 분석하였다. 한탄강유역 및 인군에 위치한 21개 우량관측소의 시간 우량자료를 수집하여 지점별, 지속시간별 누가우량곡선을 작성·비교함으로써 호우의 공간적 이동특성을 분석하였다. 또한, 연천댐유역에 내린 지속시간별 유역 평균 연속강우량을 철원 및 연천우량관측소의 빈도우량과 비교하였을 뿐 아니라, 이 지역의 지속시간별 가능최대수량(PMP)과도 비교함으로써 '96년 7월 호우가 이 지역에서는 기왕 최대기록 호우임을 입증하였다.

  • PDF

다변량 분석을 이용한 권역별 대표확률강우강도식의 유도 (A Derivation of Regional Representative Intensity-Duration-Frequency Relationship Using Multivariate Analysis)

  • 이정식;조성근;장진욱
    • 한국방재학회 논문집
    • /
    • 제7권2호통권25호
    • /
    • pp.13-24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강우에 다변량 분석기법을 적용하여 대표확률분포형을 결정하고, 결정된 대표확률분포형으로부터 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였다. 강우자료는 30년 이상의 연최대강우자료로서 12개의 지속기간(10분, 1, 2, 3, 4, 5, 6, 8, 10, 12, 18, 24시간)과 50개의 강우특성인자를 적용하였다. 확률분포형은 빈도해석에 널리 사용되는 14개 분포형을 사용하였으며, 전 지역의 강우 동질성을 검정하는 방법으로 주성분분석과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수행으로 얻어진 결과를 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역을 대표할 수 있는 적정분포형을 선정할 수는 없었으나, 수문학적 동질성이 인정되는 5개의 권역으로 구분하였다. 둘째, I, III, IV, V 권역은 GEV 분포, I I권역은 Gumbel 분포가 대표적정분포형으로 선정되었다. 셋째, 대표적정분포형에 의한 확률강우량은 기존 연구들과 차이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대표적정분포형으로부터 얻어진 확률강우량을 이용하여 대표확률강우강도식을 유도하였다.

기후변화에 따른 농경지 배수체계 개선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Rural Drainage System to cope with Climate Change)

  • 박명수;조진훈;윤동균;한국헌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2년도 학술발표회
    • /
    • pp.823-823
    • /
    • 2012
  • 최근 우리나라는 아열대성 기후로 변함에 따라 예측 불가능한 강우 형태가 자주 발생하고 있으며, 강우량의 경우 과거에는 발생하지 않았던 고강도의 강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나 기존 농경지 배수시설의 경우 고강도의 강우에 부족한 기준을 가지고 있어 침수에 불리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국가경제발전과 국민 식생활 패턴 변화 등으로 논(수도작) 위주에서 원예 특용작물 등 밭작물 중심으로의 작부체계로 변화함에 따라 적정한 배수체계 개선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현행 설계기준 강우보다 많은 강우가 단시간에 내리는 국지적 집중호우가 발생하여 배수시설물의 배제 능력 부족으로 인한 침수, 배수불량 등의 농경지 침수피해를 대비할 수 있는 배수설계기준이 필요한 상황으로, 기존 배수시설 설계기준에 대한 빈도별 계획강수량,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등을 현재까지의 수문기상자료로 재검토하여 강우패턴변화를 고려한 적정 설계기준(안)을 평가하고 재해 대비 능력 부족한 농업기반시설(배수장, 배수문, 배수로 등)의 효율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하겠다.

  • PDF

유역특성 변화에 따른 도시유출모형의 매개변수 민감도분석(I) -민감도분석방법의 개발- (The Sensitivity Analysis of Parameters of Urban Runoff Models due to Variations of Basin Characteristics (I) - Development of Sensitivity Analysis Method -)

  • 서규우;조원철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31권3호
    • /
    • pp.243-252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무차원값을 제시하여 도시유출모형의 매개변수결정을 위한 상대적인 민감도분석을 실시하여 매개변수별 민감도특성을 구명하였다. 민감도분석을 위한 무차원값으로 총유출량비,첨두유출량비, 유출민감도비, 민감도비율을 다음과 같이 개발하였다. $$ 유역면적의 크기와 강우분포형과 강우지속기간별로 각 적용단계별 총유출량비, 첨두유출량비, 유출민감도를 산정하기 위해 ILLUDAS모형과 SWMM모형의 매개변수를 선저하고 적정 적용범위를 결정하였다.

  • PDF

논문 - GIS기반의 미계측 유역 설계홍수량 산정 (GIS-Based Design Flood Estimation of Ungauged Watershed)

  • 홍성민;정인균;박종윤;이미선;김성준
    • 한국관개배수논문집
    • /
    • 제18권2호
    • /
    • pp.87-100
    • /
    • 2011
  • This study is to delineate the watershed hydrological parameters such as area, slope, rain gauge weight, NRCS-CN and time of concentration (Tc) by using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tem (GIS) technique, and estimation of design flood for an ungauged watershed. Especially, we attempted to determine the Tc of ungauged watershed and develop simple program using the cell-based algorithm to calculates upstream or downstream flow time along a flow path for each cell. For a $19km^2$ watershed of tributary of Nakdong river (Seupmoon), the parameters including flow direction, flow accumulation, watershed boundary, stream network and Tc map were extracted from 30m Agreeburn DEM (Digital Elevation Model) and landcover map. And NRCS-CN was extracted from 30m landcover map and soil map. Design rainfall estimation for two rainfall gauge which are Sunsan and Jangcheon using FARD2006 that developed by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NIDP). Using the parameters as input data of HEC-l model, the design flood was estimated by applying Clark unit hydrograph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esign flood of 50 year frequency of this study was $8m^3/sec$ less than that of the previous fundamental plan in 1994. The value difference came from the different application of watershed parameter, different rainfall distribution (Huff quartile vs. Mononobe) and critical durations. We could infer that the GIS-based parameter preparation is more reasonable than the previous hand-made extraction of watershed parameters.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