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Critical Duration of Design Rainfall in Midsize Catchment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설계강우의 임계지속기간에 관한 연구

  • 박종영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신창동 (금오공과대학교 대학원 토목공학과) ;
  • 이정식 (금오공과대학교 토목환경공학부)
  • Published : 2004.09.01

Abstract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which causes maximum peak discharge, and to analyze the relation of catchment characteristics and critical durations for gauged midsize catchment. Hydrologic analysis has done over the 44 midsize catchments with 50-5,000$\textrm{km}^2$. The type of temporal pattern of design rainfall which causes maximum peak discharge has resulted in Huff's 4 quartile distribution method for effective rainfall(AMC III) The peak discharges of 24hr rainfall dur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critical duration for 50-600$\textrm{km}^2$, and the peak discharges of 48hr rainfall duration are similar to those of critical duration for 600-5,000$\textrm{km}^2$. Therefore, if the proper rainfall intensity formula is selected, 24hr or 48hr rainfall duration may be regarded as the critical duration of midsize catchment. A simple regression equation is derived by using a catchment area and critical duration with high correlation for the case of effective rainfall(AMC III). Therefore, it can be used to determine the critical duration of ungauged catchment with 50-5,000$\textrm{km}^2$. Also, dimensionless regression equation is derived by using characteristic values of unit hydrograph.

본 연구는 실측자료가 확보된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설계강우의 시간분포모형을 밝혀내고, 결정된 시간분포모형을 바탕으로 하여 유역특성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50-5,000$\textrm{km}^2$의 44개 유역을 통하여 수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SCS 유효우량 산정방법으로 결정된 유효우량을 사용하여 최대 첨두유량을 발생시키는 시간분포모형은 Huff의 4분위 시간분포모형으로 나타났다. 유역면적 50-600$\textrm{km}^2$인 유역에서는 24시간 강우지속기간의 첨두유량과 임계지속기간의 첨두유량은 유사한 값을 보이며, 유역면적 600-5,000$\textrm{km}^2$인 유역에서는 48시간 강우지속기간의 첨두유량과 임계지속기간의 첨두유량이 유사한 값을 보였다. AMC III 조건의 유효우량에 대하여 높은 상관성을 지니는 유역면적과 임계지속기간의 관계식을 유도하였으며, 유역면적 50-5,000$\textrm{km}^2$이 중규모 하천유역에서 임계지속기간을 결정하는데 유용한 식으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단위도 특성치를 이용한 무차원 회귀식을 유도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건설교통부 (1995), 낙동강수계 유출프로그램개선방안
  2. 건설교통부 (2000a). 한국 확률강우량도 작성, 수자원 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1권
  3. 건설교통부 (2000b).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2권
  4. 건설부 (l989), 금강홍수예경보 프로그램개선 최종보고서
  5. 건설부 (1991a), 영산강홍수예경보 프로그램개발 최종보고서
  6. 건설부 (1991b), 섬진강홍수예경보 프로그램개발 최종보고서
  7. 건설부 (1993). 설계홍수 추정지침서, 수자원관리기법 개발연구조사보고서
  8. 이재준, 이정식, 박종영 (2001). 계획강우량 설정을 위 한 권역별 강우강도식의 유도, 대한토목학회, 대한 토목학회논문집, 제21권, 제1-B호, pp. 1-10
  9. 이정식, 이재준, 박종영 (2001). 수공구조물 설계를 위한 설계강우의 수문학적 특성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4권, 제1호, pp.49-57
  10. 심재현, 조원철(1998), 홍수도달시간과 임계지속기간의 개념 비교(II), 한국수자원학회지, 제31권, 제6호, pp.60-67
  1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 특성 조사·연구-합성단위도 개발을 중심으로-, 건기연 2000-092
  12.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1). 시험유역의 운영 및 수문 특성 조사·연구, 건기연 2001-083
  13. American Society of Civil Engineers (1992). Design and construction of urban stormwater management systems, ASCE Manuals and Reports of Engineering Practice No.77
  14. Houghton-Carr, H (1999). Flood Estimation Handbook, Vol.4, Restatement and application of the flood studies report rainfall-runoff method, Institute of Hydrology
  15. Huff, F.A. (1967). 'Time distribution of rainfall in heavy storms,' Water Resources Research, Vol.3, No.4, pp.1007-1019 https://doi.org/10.1029/WR003i004p01007
  16. Pilgrim, D. H (1987). Australian rainfall and runoff -a guide flood estimation-, Institution of Engineers
  17. Ponce, V. M. (1989). Engineering Hydrology Principles and Practices, Prentice Hall
  18. Yen, B. C, and Chow, V T. (1980). 'Design hyetographs for small drainage structures,' Journal of the Hydraulics Division, ASCE, Vol.106, No. HY6, pp.1055-1076

Cited by

  1. A Study on the Runoff Parameter Estimation in the Distributed Model vol.16, pp.3,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3.55
  2. An Offer of a Procedure Calculating Hourly Rainfall Excess by Use of Horton Infiltration Model in a Basin vol.43, pp.6, 2010, https://doi.org/10.3741/JKWRA.2010.43.6.533
  3. Estimation of Runoff Coefficient through Infiltration Analysis by Soil Type vol.15, pp.4, 2015, https://doi.org/10.9798/KOSHAM.2015.15.4.87
  4. A Study on Applicability of the Duration of Target Rainfall for Achievement of Regional Disaster Prevention Performance vol.14, pp.6, 2014, https://doi.org/10.9798/KOSHAM.2014.14.6.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