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lway Platform

검색결과 201건 처리시간 0.03초

레이저 레이더 센서를 이용한 철도 승강장 안전설비의 개발 (Development of Railway Platform Safety Equipment using Laser Radar Sensor)

  • 김유호;황종규;조현정;백종현;김백현;고태국
    • 전기학회논문지P
    • /
    • 제62권2호
    • /
    • pp.57-64
    • /
    • 2013
  • Many accidents are being occurred due to many missteps, etc. at the railway platform. Recently in Korea, efforts to prevent casualties fundamentally are being made by installing and operating the PSD(Platform Screen Door) with underground station building as its center to prevent these casualties of passengers. Although this PSD can solve the problem of public casualties at platform fundamentally, it is impossible to install it at whole station buildings since its installation cost is high, and in case of the ground station building of general railway whose operation speed is higher, installation of PSD is impossible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railway system. This paper proposes the novel safety equipment using Laser radar sensors for the prevention against casualties of passengers at station buildings where the PSDs are not installed like this. The safety equipment using Laser radar sensors is the safety equipment making an approaching train stopped if the falling object is a person by detecting the obstacle at platform through, and it has the merit possible to apply it to station buildings not only in the underground section but also in the ground section since it may detect accurately under ambient environmental elements such as the snow, rain and yellow dust, etc. also. We developed the prototype of the safety equipment to reduce public casualties at platform by using Laser radar sensors and carried out its performance test, and the result is presented in this paper.

틸팅 차량용 시뮬레이터를 위한 6자유도 운동판 개발 (Development of a 6DOF Motion Platform for the Tilting Train Simulator)

  • 김남포;송용수;한성호;최강윤;김정석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8권1호
    • /
    • pp.27-33
    • /
    • 2005
  • This paper presents a development of 6DOF motion platform far a tilting train simulator. The tilting train simulator will be used to verify the tilting electronics and tilting control algorithm which are to be applied the Korean 180km/h tilting train. The tilting train simulator is composed of a 6-axis motion platform, a track generation system, a graphic user interface, and a visualization system with 1600mm-diameter dome screen. In this study, the 6DOF motion platform for a tilting train simulator has been designed and manufactured. The motion platform developed is a motion platform of Stewart type. The inverse kinematic analysis has been performed to determine the length of the links of the platform. Furthermore, the specification of the motors have been evaluated by the equation of motion of the platform.

도시철도 승강장 안전발판 시스템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f Safety Step System in Urban Railway Platforms)

  • 박민흥;곽희만;김민호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2559-2566
    • /
    • 2014
  • 최근 수도권 전동차 구간에서 차량과 승강장사이의 공간에 장애우, 어린이 등 교통약자의 발빠짐 등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특히 곡선승강장에서는 차량과의 간격이 최대 260mm까지 존재하므로 교통약자를 포함한 승객의 안전한 교통이동권 확보가 중요하며, 승강장과 전동차 사이 공간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위한 니즈기술로서, 승강장 안전발판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승강장 안전발판의 제작 및 기능 요구사항을 검토하여 고장으로 인한 차량과의 충돌 등 비상 상황에 대응할 수 있는 충돌 안전성과 운영자 친화적인 유지보수용이성을 고려한 개념설계를 실시하였다. 또한 다양한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각 단계별 안전발판의 동작과정 및 제어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열차 진입 시 풍압에 의한 완전 밀폐형 승강장 스크린 도어(PSD)시스템의 구조 안정성 평가 (Evaluation of the Structural Stability of Platform Screen Door (PSD) due to Train Wind Pressure)

  • 이재열;류봉조;김동현;이은규;신광복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9권5호
    • /
    • pp.594-600
    • /
    • 2006
  • In this study, transient and quasi-static analysis were done for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integrity of the platform screen door due to train wind pressure. Fluent 6.0 was used to calculate the train wind pressure, and Ansys 10.0 was used to evaluate the structural stability of platform screen door due to train wind pressure. Transient analysis was used to check the design requirements of platform screen door, and quasi-static analysis was introduced to save the calculating time and check quickly structural performances when compared to those of transient analysis. The results show that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latform screen door under train wind pressure is proven and quasi-static analysis can quickly check the structural integrity of platform screen door.

저상 및 고상 철도 승강장 겸용 승강문 스텝 개념설계 (Conceptual Design on Doorstep Equipments Used for Low and High Level Railway Platforms)

  • 박민흥;김철수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9호
    • /
    • pp.3882-3888
    • /
    • 2012
  • 일반 간선열차에서 주로 사용하는 저상승강장과 수도권 전동차에서 주로 사용하는 고상승강장을 동시에 안전운행하기 위한 니즈기술로서, 저상/고상 승강장에 상관없이 승하차할 수 있는 철도차량 승강문 스텝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대비하여 저상/고상 승강장 겸용 승강문 스탭의 기능 및 제작 요구사항을 검토하였다. 세밀히 검토한 결과, 합리적 설계안은 자체 언더프레임의 손상 및 철도승강장의 이격거리 변동성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텔레스코픽 슬라이딩 스텝방식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다양한 요구조건을 고려하여 각 단계별 스텝 동작 과정 및 제어 흐름도를 제시하였다.

철도역사 승강장 연단부 마감 탈락에 대한 원인 분석 및 개선 방안 (Analysis of the Finishing Failure in the Railway Station Platform and Deduction of Improvement Plans)

  • 고세원;유영수;구본상;김지환
    •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
    • 제23권1호
    • /
    • pp.46-53
    • /
    • 2022
  • 철도 승강장은 승객, 열차 운행의 안전 및 철도 시설에 대한 이미지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중요 시설물로 철저한 시설관리가 필요하다. 그러나 승강장 연단부에서 이질재료의 줄눈 마감을 위한 마감재가 선로방향으로 탈락하는 현상이 전국에서 다발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열차 운행 안정성 및 이용객의 안전 확보를 위해 즉각적이고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연구는 승강장 연단부에서 발생하는 마감재의 탈락 현상에 대한 분석을 통해 개선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여 곳의 철도 역사 승강장 연단부에 대한 마감재 탈락 현황과 이와 관련된 국가철도공단의 설계·시공 기준이 조사되었다. 이후 해당 내용을 기반으로 마감재 탈락 원인이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 주된 원인은 시공 중 발생하는 노반-건축 공정 간 경계인 것으로 도출되었다. 이후 도출된 원인과 설계 및 시공기준을 연계하여 (1)마감재료 또는 시공방법 개선, (2)높이 조절 용이한 마감재료, (3)별도 마감방법 고안, (4)마감재의 공정방법 및 내구성과 관련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도시철도 환경의 미세먼지 오염 현황 (Status of particulate matter pollution in urban railway environments)

  • 김종범;이승복;배귀남
    • 실내환경 및 냄새 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03-314
    • /
    • 2018
  • The urban railway system is a convenient public transportation system, as it carries many people without increasing traffic congestion. However, air quality in urban railway environments is worse than ambient air quality due to the internal location of the source of air pollutants and the isolated space. In this paper, characteristics of particulate matter (PM) pollution in urban railway environments are described from the perspective of diurnal variation, chemical composition and source apportionment of PM. PM concentrations in concourse, platform, passenger cabin, and tunnel are summarized through an analysis of 34 journal articles published in Korea and overseas. This information will be helpful in developing effective policies to reduce PM pollution in urban railway environments.

웹기반 철도지식정보 분류체계 수립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tandardization of Categorizing and Sub-categorizing Railway Information in Web-based Information Provision Service)

  • 양회성;이상호;최시행;박용걸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9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581-588
    • /
    • 2009
  • With the development of IT industry and formation of web-based knowledge sharing platform, a variety of railway-related information services on the web have emerged, ranging from personal blogs to dedicated portal sites, as in the other sectors. These services are contributing to advancing railway industry after all. As far as it is concerned with specific areas such as railway sector, the internet users are hardly expected to avail satisfactory results in acquiring customized information from the access, as the information served varies on the intension of the web site operator or relevant agency, and indexing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is not easy to work out in a straight manner. This study will review on the feasibility of standardizing categories and sub-categories for railway industry information on the web, and present optimum categorization and sub-categorization approach for the most satisfactory results when searched, ultimately aiming at laying a foundation to satisfy the wide spectrum of users' need for railway information.

  • PDF

철도차량 슬라이드식(텔레스코픽) 승강문 스텝의 강도평가 (Strength Evaluation of Telescopic Sliding Doorstep Equipment for Railway Vehicle)

  • 김철수;박민흥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4호
    • /
    • pp.352-356
    • /
    • 2012
  • 국내 여객열차 전용 승강장은 높이에 따라 두 가지 종류로서, 일반 간선열차에서 주로 사용하는 저상 승강장과 수도권 전동차에서 주로 사용하는 고상승강장으로 구분된다. 중 고속 열차가 수도권 전철구간과 본 선구간에서 혼용할 경우에 안전운전 및 승객편의를 함께 고려하기 위해서는 저상/고상 승강장에 상관없이 승하차할 수 있는 승강문 스텝장치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철역사 및 일반 철도역사에서 모두 승하차가 가능한 저상/고상 승강장 겸용 승강문 스텝 개념설계(안)의 구조해석 및 강도시험을 수행하고 이의 안전성을 검토하였다.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지하철 승강장의 화재유동 전산 수치 모사를 이용한 스크린도어의 화재 영향 연구 (Effect of Platform Screen Door on fire in the subway station)

  • 장용준;정우성;박원희;김학범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337-1345
    • /
    • 2007
  • 본 연구는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역사에서 화재시 스크린도어에 의한 효과와 화재에 대한 방재연구를 체계적으로 진행하기 위한 기초연구이다. 본문에는 스크린 도어의 종류와 특징에 대하여 기술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스크린 도어에는 완전밀폐형이 설치된 역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승강장 종류는 섬식 승강장이다. 스크린 도어가 설치된 역사의 화재유동 전산수치모사에 화재전용 CFD code를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플랫폼 스크린도어의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경우와 설치되지 않은 경우를 해석 하였다. 또한 화원의 위치는 승강장과 선로부에 있는 경우로 나누었다. 화원의 성장시나리오는 Ultrafast model로 하였으며, 화원크기는 10MW로 하였다. 해석결과 플랫폼 스크린도어가 설치된 경우는 화원의 위치가 승강장에 있을 때 온도 및 연기의 전파가 주 탈출구인 계단에까지 4분 이내로 전파된다. 선로부에 있을 때는 스크린 도어에 의해 열, 연기 전파의 차단 효과가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