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ilroad roadbed

검색결과 95건 처리시간 0.03초

반복하중재하시의 슬래브궤도 노반의 거동특성 (A Characteristic Behavior of the Roadbeds of Slab Track with the Cyclic Loading)

  • 이성혁;이진욱;최찬용;황선근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1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381-386
    • /
    • 2001
  • In many countries the slab track of railroads is mostly applied on the railroad bridges and tunnels, however it hasn't been constructed in the tunnel in Korea. Presently the Korea high speed railway construction authority is planning to construct slab track in the tunnels to minimize the cost of maintenance and repair. In this study, dynamic characteristics of the railroad roadbed which was constructed using crushed stones obtained from tunnel construction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real scale model test and numerical analysis. As a conclusion, the roadbeds built with the crushed stones produced at the tunneling site satisfy the requirement of roadbed in terms of displacement and earth pressure for the slab track in tile tunnel.

  • PDF

강화노반 두께 결정을 위한 영향인자 민감도 분석 (Sensitivity Analysis of the Factors Influencing for Decision of Reinforced Roadbed Thickness)

  • 최찬용;이진욱;배재훈;신은철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827-1832
    • /
    • 2007
  • The purpose of a railway track is to provide a smooth surface for safe and economical train transportation. The performance of the track results from a complex interaction of the track and subgrade components in response to train loading and environmental actions. In the past, the role of subgrade as the track foundation were not recognized adequately. There ar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inadequate methods for subgrade design, assessment and improvement. This situation has survived for a long time largely because a subgrade defect can often be adjusted by adding more ballast under the ties or applying more frequent track maintenanc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reinforced roadbed technology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reinforced roadbed thickness is set depending on subgrade reaction modulus$(K_{30})$ in the condition of upper subgrade through PBT in both conventional railroad and KTX railroads. As train velocity (V), train passing tonnage (N), and train axial load (P) are not considered in design, the roadbed thickness could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omputer model, GEOTRACK, was analyzed the influence of reinforced roadbed thickness factors on track modulus and the characteristics of stress pulses in track and subgrade generated by repeated axle loading.

  • PDF

설계지표를 이용한 철도강화노반 두께 산정에 관한 연구 (Determination Method of Reinforced Roadbed Thickness based on Design Chart)

  • 유충현;최찬용;김대상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7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279-1286
    • /
    • 2007
  • The purpose of a railway track is to provide a smooth surface for safe and economical train transportation. The performance of the track results from a complex interaction of the track and subgrade components in response to train loading and environmental actions. In the past, the role of subgrade as the track foundation were not recognized adequately. There ar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inadequate methods for subgrade design, assessment and improvement. This situation has survived for a long time largely because a subgrade defect can often be adjusted by adding more ballast under the ties or applying more frequent track maintenance. Therefore, the application of reinforced roadbed technology will be expected to increase in the future. The reinforced roadbed thickness is set depending on subgrade reaction modulus($K_{30}$) in the condition of upper subgrade through PBT in both conventional railroad and KTX railroads. As train velocity (V), train passing tonnage (N), and train axial load (P) are not considered in design, the roadbed thickness could be overestimated (or underestimated). Therefore, in this study has proposed a determination method of reinforced roadbed thickness using design chart made by resilience modulus and properties of earthwork materials.

  • PDF

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상 토공노반의 장기거동 특성 연구 (Study of the Long-Term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oadbed on Concrete Track of High-speed Railway)

  • 최찬용;정재현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4호
    • /
    • pp.8-16
    • /
    • 2018
  • 본 논문의 목적은 고속철도 콘크리트 궤도 및 노반 측정 데이터(노반압력, 진동가속도, 탄성변위 등)를 이용하여 토공노반의 장기거동을 분석하고 궤도 노반의 장기성능을 평가하고자 하는데 있다. 최근 고속철도 궤도 형식이 콘크리트 슬래브로 채택되고 있다. 그러나 콘크리트 궤도는 노반 침하에 취약하다. 자갈궤도의 경우 노반이 침하되어도 유지보수로 원상복구가 용이하다. 반면에 콘크리트 궤도의 경우 노반의 과도한 침하가 발생하면 도상 및 침목에 균열이 지속적으로 발생되고 사용성이 크게 저하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부분보수만으로 원상복구가 어렵다. 본 논문에서는 운영 중 콘크리트 궤도에 대하여 건설 초부터 매설된 센서의 측정 데이터를 개통 후 약 3년까지 모니터링하여 장기성능평가를 수행하였다. 성능평가 방법은 열차별 궤도 토공노반 및 장기 궤도 노반 성능평가, 장기침하에 따른 궤도 노반 성능 영향 분석 및 장기 침하 영향인자 분석 등이다. 열차별 궤도 노반 성능평가에서는 KTX-산천중련의 노반응답이 가장 컸다. 장기 궤도 노반 성능평가 결과는 측정항목이 기준치이내로 측정되었다. 장기침하에 따른 궤도 노반 성능영향 평가는 TCL처짐은 침하와 깊은 연관이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장기침하의 외부영향인자 분석을 통해 함수비와 지하수위의 영향성을 확인하였다. 이와같은 방법을 통해 궤도상 토공노반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열차 하중 작용 시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 노반의 거동 (Behavior Characteristics of Railway Roadbed Retained by Geosynthetic Reinforced Segmental Wall Under Train Load)

  • 이성혁;최찬용;이진욱
    • 한국철도학회논문집
    • /
    • 제15권5호
    • /
    • pp.467-475
    • /
    • 2012
  • 지오그리드에 의해 부분 보강 및 전면 보강된 2가지 타입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의 열차하중 전달 메카니즘을 조사하기 위해 정 동적 열차하중 재하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노반은 높이 2.6m, 폭 5m, 뒷 길이 6m로 구축하였으며, 소정의 위치에 토압계, 변위계 및 변형율계를 설치하였다. 실험결과, 2가지 타입의 블록식 보강토 옹벽으로 지지된 철도노반에서의 벽체 변위 양상 및 보강 정도에 따른 연직 토압의 차이를 확인하였다. 또한 동적 열차하중 재하시 벽체 상부에서 변형율이 감소하는 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열차하중 재하에 의한 잔류 변형율 및 변형율 증분은 현행 설계기준에 비해 매우 작은 값을 보이고 있었다.

반복하중을 받는 철도노반보수용 샌드백의 거동분석 (Behavior of Sand Bag for Maintenance Railroad Bed Subjected to Cyclic Loading)

  • 신은철;황선근;이동현;류인기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4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1033-1040
    • /
    • 2004
  • Utilizing of the geotextile container shows several advantages such as standardized construction, factory manufactured products, the control of quality, workability. and economical point of view. Recently this technique can be applied to rehabilitate the loss of rail roadbed due to the heavy rainfall. In this study, a large-scale laboratory test were conducted with simulation of static performance on the geotextile container reinforced rail roadbed. Based on the laboratory test results, the vertical pressure distribution with respect to the depth, and settlement of rail roadbed were measured and compared test results between geotextile container reinforced case and unrein forced case. Thus, the effectiveness of reinforcement was evaluated in terms of its performance and stability.

  • PDF

고속철도에서의 소성침하를 고려한 강화노반 설계기법 개발 (Development of Design Method for Reinforced Roadbed Considering Plastic Settlement for High-speed Railway)

  • 최찬용;최원일;한상재;정재현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29권9호
    • /
    • pp.55-69
    • /
    • 2013
  • 본 설계법은 기존 탄성이론에 근거한 강화노반 설계방법의 대안으로 노반의 소성침하와 열차 반복하중에 따른 응력-변형 특성을 고려한 노반 설계 방법이다. 특징은 설계자가 요구하는 허용설계기준에 따라 교통하중과 열차 년간 통과톤수에 따라 노반의 탄성변위 뿐만 아니라 소성침하량을 평가할 수 있다. 본 설계법을 이용하여 허용 탄성 및 소성 침하량, 열차 속도 및 총통과톤수등의 설계조건을 고려하여 호남고속철도 표준노반단면에 적용하였다. 그 결과 노반의 회복탄성계수 모델인자($A_E$), 일축압축강도, 흙 재료 종류 등의 요구수준 등을 평가할 수 있다.

반복하중에 따른 철도 노반재료의 소성침하예측 (Prediction of Plastic Settlement of Roadbed Materials through Cyclic Loading Test)

  • 최찬용;신은철;강현회
    • 한국지반신소재학회논문집
    • /
    • 제11권3호
    • /
    • pp.1-9
    • /
    • 2012
  • 흙노반으로 이루어진 철도 구간의 경우 반복적인 하중재하에 따라 탄성상태로 복귀하는 회복변형과 영구 변형이 동시에 발생한다. 따라서 열차하중이 반복적으로 작용하는 철도하부 지반에서의 변형예측을 위하여 반복하중에 대한 장기변형 예측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최적함수비 범위에서의 최적함수비의 일반토사를 대상으로 진동삼축압축시험과 원형토조시험을 통해 반복하중에 따른 변형 특성을 비교하였으며, 파워함수 모델을 이용하여 각 재료별 축차응력과 반복횟수를 고려한예측모델식을 제안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