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ffaelea

검색결과 23건 처리시간 0.03초

Raffaelea quercus-mongolicae와 Raffaelea spp. 인공접종에 의한 신갈나무 줄기에서의 병원성 평가 (Assessment of Virulence of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Raffaelea spp. Isolates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Quercus mongolica Logs)

  • 손수연;서상태;박형철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70-274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신갈나무에서 참나무시들음병 병원균인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의 지역별 균주와 기타 Raffaelea 속 근연종의 병원성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신갈나무에 다양한 균주를 접종한 후, 변재부 내 변색정도로 각 균주의 병원성을 판단하였다. 그 결과 변색부의 평균 측면 확산 정도는 국내에서 분리한 Raffaelea quercus-mongolicae 병원균(8.69 cm)이 일본 병원균(7.51 cm)이나 기타 Raffaelea 속 근연종(3.35 cm)의 평균보다 높았고, 국내 지역별 Raffaelea quercusmongolicae 균주간에는 변색부 측면 확산정도가 4.71-14.90 cm로 병원성의 차이를 보였다. 균주간의 변색부 면적 확산정도는 $1.57-8.42cm^2$로 서로 다른 병원성의 차이를 보였으며, 가장 높은 병원성은 강원도에서 분리한 YY와 전라북도에서 분리한 wj43에서 나타났다.

참나무시들음 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항균미생물 분리 (Antifungal Property of Microorganisms against Korea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 이상현;이승규;김재영;이총규;김경희;이용섭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0권1호
    • /
    • pp.66-69
    • /
    • 2012
  • Raffaelea quercus-mongolicae에 대한 항균작용을 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200개의 균주를 분리하였으며 이 중 SG 1-9, 1-12와 SG 2-8, 2-10, 2-17 5개의 균주에서 항균활성을 확인하였다. 5개의 균주는 확인을 위하여 16S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하였으며, SG 1-9는 Streptomyces cinnamoneus와 98%의 homology가 SG 1-12는 Burkholderia cepacia와 98% homology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G 2-8은 Streptomyces fradiae와 99%의 homology를 SG 2-10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97%를 SG 2-17은 Staphylococcus epidermidis와 99%의 homology를 나타내었다. 위 5개의 균주 중 활성이 가장 강한 SG 2-17의 유기용매추출물과 단백질추출물을 분리하여 활성을 조사하였으며 유기용매추출물에서 강한 활성을 확인하였다. 3개의 유기용매 중 benzene 추출물이 가장 높은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의 균사성장을 억제하였다.

참나무류에 시들음병을 일으키는 Raffaelea quercus-mongolicae와 R. quercivora의 유전적 특성 (Genotypic Characterization of Oak Wilt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and R. quercivora Strains)

  • 서상태;김경희;이상현;권용남;신창훈;김혜정;이상용
    • 식물병연구
    • /
    • 제16권3호
    • /
    • pp.219-223
    • /
    • 2010
  • 최근 신갈나무를 중심으로한 참나무과 나무에 시들음병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한국과 일본에서 분리한 38개의 시들음병 균주(Raffaelea quercus-mongolicae, R. quercivora)에 대해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RAPD 분석을 이용해 유전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을 이용한 cluster 분석결과 시들음병 균주들은 4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cluster 2와 4에는 1균주를 제외하고 모두 일본균주가 속해 있었다. RAPD 분석결과 시들음병 균주들은 3개의 그룹으로 나뉘었으며, 한국균주와 일본균주는 쉽게 구별되었다. $\beta$-tubulin 유전자 염기서열 분석과 RAPD 분석결과 한국균주와 일본균주는 상당히 다른 유전적 특성을 가지고 있었다.

은 나노 용액을 활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연구 (Control Efficacy of Nano-silver Liquid on Oak Wilt Caused by Raffaelea sp. in the Field)

  • 김상우;정진희;거비르 람살;김윤석;심상준;김하선;장석준;김종국;김경수;이윤수
    • 식물병연구
    • /
    • 제17권2호
    • /
    • pp.136-141
    • /
    • 2011
  • 본 연구는 세계적으로 참나무류 집단고사를 일으켜 문제가 되고 있는 R. quercivorus 균의 방제를 위한 연구로 최근 나노기술을 활용하여 참나무시들음병(Oak wilt)의 원인균인 R. quercivorus를 방제하고 매개충인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의 생태 및 형태연구에 관한 것이다. Nano-silver 용액 WA-AT-WB13R을 이용하여 R. quercivorus 균에 대한 in vitro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WAAT-WB13R 용액이 100 ppm에서 균사 및 포자의 생장 억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각각 10, 30, 50, 100 ppm 처리하여 SEM 관찰 결과, 무처리구에서는 균사의 형태가 정상적임을 확인하였고 30 ppm에서부터 균사의 형태가 조금씩 변형이 일어나다가 100 ppm에서는 균사 및 포자가 비정상적으로 일그러져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매개충인 P. koryoensis의 충체에 붙어있는 균사와 포자를 SEM을 이용하여 위와 같은 방법으로 처리 관찰 결과, 표면과 균낭의 균사 및 포자의 형태가 100 ppm에 가까울수록 형태적인 변화를 관찰할 수 있었다. 기내에서의 R. quercivorus의 균사 생장억제효과를 바탕으로 수간주사(Trunk injection)를 실시한 결과, 철원과 홍천에서는 시들음 및 약해 증상을 확인할 수 없었다. 또한 춘천은 7월 시들음 증상을 보였으나 그 후 시들음 증상 및 약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하여 nano-silver 용액을 이용한 참나무시들음병의 원인균인 R. quercivorus의 생장억제 효과를 확인하였으며, nano-silver를 이용한 R. quercivorus 방제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n In Vitro Study of the Antifungal Effect of Silver Nanoparticles on Oak Wilt Pathogen Raffaelea sp.

  • Kim, Sang-Woo;Kim, Kyoung-Su;Lamsal, Kabir;Kim, Young-Jae;Kim, Seung-Bin;Jung, Moo-Young;Sim, Sang-Jun;Kim, Ha-Sun;Chang, Seok-Joon;Kim, Jong-Kuk;Lee, Youn-Su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19권8호
    • /
    • pp.760-764
    • /
    • 2009
  •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fungal activity of three different forms of silver nanoparticles against the unidentified ambrosia fungus Raffaelea sp., which has been responsible for the mortality of a large number of oak trees in Korea. Growth of fungi in the presence of silver nanoparticles was significantly inhibited in a dose-dependent manner. We also assessed the effectiveness of combining the different forms of nanoparticles. Microscopic observation revealed that silver nanoparticles caused detrimental effects not only on fungal hyphae but also on conidial germination.

The Effect of Raffaelea quercus-mongolicae Inoculations on the Formation of Non-conductive Sapwood of Quercus mongolica

  • Torii, Masato;Matsuda, Yosuke;Seo, Sang Tae;Kim, Kyung Hee;Ito, Shin-Ichiro;Moon, Myung Jin;Kim, Seong Hwan;Yamada, Toshihiro
    • Mycobiology
    • /
    • 제42권2호
    • /
    • pp.210-214
    • /
    • 2014
  • In Korea, mass mortality of Quercus mongolica trees has become obvious since 2004. Raffaelea quercus-mongolicae is believed to be a causal fungus contributing the mortality. To evaluate th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to the trees, the fungus was multiple- and single-inoculated to the seedlings and twigs of the mature trees, respectively. In both the inoculations, the fungus was reisolated from more than 50% of inoculated twigs and seedlings. In the single inoculations, proportions of the transverse area of non-conductive sapwood at inoculation points and vertical lengths of discoloration expanded from the point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inoculation treatment and the control. In the multiple inoculations, no mortality was confirmed among the seedlings examined. These results showed that R. quercus-mongolicae can colonize sapwood, contribute to sapwood discoloration and disrupt sap flows around inoculation sites of Q. mongolica, although the pathogenicity of the fungus was not proven.

Pathogenesis of Oak Wilt Disease Caused by Raffaelea Species

  • Kim, Sang Woo;Yadav, Dil Raj;Adhikari, Mahesh;Um, Yong Hyun;Kim, Hyun Seung;Lee, Youn Su
    • 한국균학회소식: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균학회 2015년도 추계학술대회 및 정기총회
    • /
    • pp.18-18
    • /
    • 2015
  • Wilt disease in Oak trees occurs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Mass attack of trees by an ambrosia beetle (Platypus koryoensis) was the characteristic feature before appearance of the wilting symptoms. Raffaelea sp. caused the discoloration of xylem area called as wound heartwood. Raffaelea sp. was observed both on the body surfaces and inside the mycangia of the beetle Platypus sp.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SEM) analysis showed that fungal spores were present within the wall of gallery and vessels that formed tylose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water movement in vessels was blocked as the fungus started to grow which caused the formation of tyloses thereby resulting wilt symptoms. We found that both female and male beetle Platypus sp. had fungi on their bodies and their large and small mycangia.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fungus was transferred to oak trees by Platypus sp.

  • PDF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딱정벌레목: 긴나무좀과)에 대하여 (Platypus koryoensis (Murayama) (Platypodidae: Coleoptera), the Vector of Oak Wilt Disease)

  • 홍기정;권영대;박상욱;류동표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13-117
    • /
    • 2006
  • 2004년에 우리나라에 처음 발생이 확인된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광릉긴나무좀(Platypus koryoensis (Murayama))과 일본에서 참나무시들음병을 매개하는 Platypus quercivorus (Murayama) 성충의 형태적 특징을 도해와 함께 비교하였고, 동북아지역의 참나무시들음병과 관련된 매개충에 대하여 앞으로의 연구방향을 제언하였다.

살균제 나무주사를 이용한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 효과 (Control Efficacy of Fungicide Injection on Oak Wilt in the Field)

  • 손수연;서상태;박지현
    • 식물병연구
    • /
    • 제20권4호
    • /
    • pp.295-298
    • /
    • 2014
  • 참나무 시들음병(병원균 Raffaelea quercus-mongolicae)은 2004년 국내에 처음 발견되어 그 피해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번 연구에서는 참나무 시들음병 방제를 위한 나무주사용 살균제를 선발하기 위해 실내시험과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실내검정에서는 10종의 살균제와 1종의 항생제를 이용하여 국내균주 R. quercus-mongolicae와 일본균주 R. quercivora에 대한 생육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국내균주에 대해서는 chlorothalonil, benomyl, propiconazole 순으로 생육억제효과가 높게 나타났으며, 일본균주에 대해서는 propiconazole, benomyl, bitertanol 순으로 나타났다. 국내균주와 일본균주에 대하여 실내 항균효과가 우수하였던 약제 중 침투이행성이 우수한 propiconazole을 이용하여 약제방제 포장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나무주사 처리 당해 연도 방제효과는 87.5%, 처리 다음 연도 방제효과는 66.7%까지 나타나 약제처리 효과는 적어도 1년 이상이었다.

In vivo Pathogenicity Test of Oak Wilt Fungus (Raffaelea quercus-mongolicae) on Oriental Chestnut Oak (Quercus acutissima)

  • Yi, Su Hee;Lee, Jin Heung;Seo, Sang Tae;Lee, Jong Kyu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33권4호
    • /
    • pp.342-347
    • /
    • 2017
  • Since the first report of the oak wilt disease at 2004 in Korea, the disease distributed over Korean peninsula and are still giving severe damages. The management of oak wilt disease in Korea has mainly focused on the control of insect vector, Platypus koryoensis. Neverthless the effective method for evaluating the pathogenicity of the pathogen, Raffaelea quercus-mongolicae (Rqm), and for screening chemical or biological agents with strong inhibitory activity against the pathogen, is absolutely necessary, an reliable method is not available so fa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ffective method for evaluating the pathogenicity of Rqm in oak trees. The culture suspensions of Rqm were artificially injected to the saplings of Quercus acutissima by using ChemJet tree injector. Three months after treatments, the treated saplings were cut and dipped into 1% fuchsin acid solution.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non-conductive area (%), discoloration area (%) and vertical discoloration length between the pathogen-injected and distilled water-injected control treatment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pathogen is the causal agent for the dysfunction of water conductive tissue, which will finally result in wilt symptom. Re-isolation of the pathogen and PCR detection using specific primers for the pathogen also confirmed the presence of Rqm in the sapwood chips of the pathogen-injected saplings. These observations would be greatly applied to other related researches for evaluating the pathogenicity of tree wilt pathogens and biocontrol efficacy of the selected antagonistic microorganisms, in case that the wilt symptom is not easily shown by artificial inoculation of the causal ag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