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cal scavenge

검색결과 110건 처리시간 0.027초

참취(Aster scaber Thunb.)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와 3T3-L1 지방전구세포에서의 지방분화 억제 효과 (Antioxidant Activity and Inhibitory Effect of Aster scaber Thunb. Extract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in 3T3-L1 Cells)

  • 최준혁;박윤희;이인선;이삼빈;유미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356-363
    • /
    • 2013
  • 최근 연구에서 활성 산소 및 비만에 대한 유전자 발현이 비만과 노화를 촉진시키는 원인으로 주목 받고 있으며, 이를 통해 노화와 비만의 억제 체계를 규명하려는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전국 각지의 산야지에 자생하며 농가에서 재배하기도 하는 국화과에 속하는 식물인 참취(Aster scaber Thunb.) 메탄올 추출물의 항산화력과 3T3-L1 전구지방세포의 지방세포형성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참취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57.07{\pm}2.17$, $54.62{\pm}2.24{\mu}g/mg$으로 나타났다. 시료의 DPPH, ABTS radical 소거 활성을 측정한 결과 $RC_{50}$값이 각각 $22.24{\pm}0.40$, $53.19{\pm}1.61{\mu}g/mL$로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냈다. 참취의 메탄올 추출물이 3T3-L1 전구지방세포에서 분화유도 물질(IBMX, DEXA, Insulin)과 함께 처리했을 때 지방구의 형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시켰다. 또한 이들은 지방세포의 증식 및 분화되는 과정에서 발현되는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 및 관련 유전자의 단백질 발현과 mRNA 발현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참취 메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항비만에 우수한 효능을 가지는 기능성 식품 소재로서의 개발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메수수가루 첨가에 따른 생면의 품질특성 및 라디칼 소거활성 (Quality and Antioxidant Activity of Wet Noodles Supplemented with Non-glutinous Sorghum Powder)

  • 김현영;고지연;김정인;정태욱;윤홍태;오인석;정헌상;우관식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521-525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수수 분말 함량이 반죽 분말의 총 5, 10, 15 및 20%가 되도록 첨가하여 제조한 생면의 품질 특성과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라디칼 소거활성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수수 분말을 첨가한 생면의 조리 후 중량, 부피, 수분 흡수율 및 탁도는 수수 분말 첨가량에 따라 유의적으로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조리 전 색도는 수수분말을 첨가하였을 때 명도와 황색도는 감소하였고, 적색도는 증가하였으며, 조리 후 면의 색도는 조리 전에 비하여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모두 감소하게 나타났다. 수수 분말 첨가 면의 조리 후 인장강도는 force, time 및 distance 모두 메수수가루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또한 조리 후 생면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과 라디칼 소거활성을 평가한 결과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동안메수수가루를 첨가하여 생면을 만들 경우 메수수가루의 첨가는 면의 품질특성은 유지하면서 항산화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잎의 성분 및 항산화 효과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and Antioxidative Effect of Leaves form Korean Rosa davurica Pall.)

  • 김준범;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6-110
    • /
    • 2004
  • 생열귀나무의 잎에 대한 일반성분과 tocopherol 동족체를 분석하였으며,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을 추출물의 항산화력을 보다 더 정제하기 위해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및 물층으로 분획하여 얻어진 추출물과 분획물을 이용하여 자외선 (UV 308, 350 nm) 차단효과와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일반성분의 분석 결과 수분이 67.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탄수화물 18.9%, 조단백질 6.8%, 회분 6.1% 그리고 조지방 0.7% 순이었다. 무기질 함량으로 가장 높은 것은 칼륨으로 1,637.2 mg%로 나타났다. 메탄올 추출물을 물로 현탁시킨 후 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부탄을 순서로 용매를 분획하여 각각의 분획물을 얻은 결과 물(34.5%)이 가장 높게 분획되었으며, 메탄을 추출물을 각각 n-헥산, 클로르포름, 에틸아세테이트, n-부탄올 및 물 분획물을 얻어 자외선 차단효과를 측정한 결과 장파장대 (UVA 320∼400 nm)의 경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151.4)에서 가장 높게 측정되었다. 한편, 메탄을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을 검토한 결과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항산화 활성 ($IC_{50}$/ : 6.0 $\mu\textrm{g}$)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이 부탄올 분획물($IC_{50}$/ : 14.0 $\mu\textrm{g}$)로 나타났다.

한국산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잎의 생리활성 기능 검색에 관한 연구 (Studies on Biological Activity of Leaves from Korean Rosa davurica Pall.)

  • 김준범;최승필;이득식;함승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1호
    • /
    • pp.100-105
    • /
    • 2004
  • 생열귀나무의 잎을 시료로 생리활성 기능을 검색하기 위해 메탄올, 에탄올, 클로로포름 및 물 추출물을 조제하였다. 얻어진 추출물 대하여 DPPH 자유라디칼 소거법에 의한 항산화성 효과와 S. thphimurium TA98과 TA100을 이용한 항돌연변이원성 효과를 검토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용매별 추출수율은 물 추출물이 24.8%로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메탄을 추출물 (21.3%), 에탄올 추출물 (17.0%) 및 클로로포름 추출물 (5.6%) 순으로 높은 수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각 추출물의 수소전자공여능 $IC_{50}$/(Inhibition concentration)을 측정한 결과 물, 메탄올,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대조구인 butyl-hydroxytoluene, 비타민 C, 알구토코페놀과 유사하게 나타나 항산화 억제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열귀나무 잎의 메탄을 추출물의 항돌연변이 효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세 종류의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으며, 생열귀나무 잎의 클로르포름 추출물 결과는 TA98 균주에 대하여 3가지 변이원 물질 모두 농도 증가에 따라 억제율이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생열귀나무 잎의 에탄을 추출물의 경우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를 첨가하였을 때 B($\alpha$)P에 대해 79.8%의 억제율로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내었고, 생열귀나무 잎의 물 추출물은 TA98 균주에 대하여 200 $\mu\textrm{g}$/plate의 농도 첨가에서 B($\alpha$)P에 대해 67.2%의 억제율을 보였다.

국화과 꽃의 미백 화장품 기능성 검색 (Evaluation for the flowers of compositae plants as whitening cosmetics functionality)

  • 이영근;이정훈;이나영;김남균;정다원;;김유성;김형근;;박하승;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0권1호
    • /
    • pp.5-11
    • /
    • 2017
  • 18종의 국화과 식물의 꽃을 MeOH로 추출하였다. 농축한 추출물은 용매의 극성을 이용하여 n-hexane, EtOAc, n-BuOH 및 물 분획으로 제조하였다. 각 추출물과 분획물에 대하여 총 페놀 양, 총 플라보노이드 양, DPPH radical scavenge 효과 및 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쑥부쟁이(Aster yomena)의 n-hexane 및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osmos bipinnatus White)의 n-hexane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n-hexane 및 EtOAc 분획에서 총 페놀양이 높게 나타났으며,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의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프로기(C. morifolium Froggy)의 EtOAc 분획, 그리고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에서 총 플라보노이드 양이 높게 나타났다. 쑥부쟁이(A. yomena)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의 EtOAc 분획, 옐로우마블(C. morifolium Yellowmable)의 EtOAc 분획, 그리고 로사(C. morifolium Rosa)의 MeOH 추출물이 DPPH radical을 효과적으로 포획하였다. 서양들골나무(C. chinensis)의 EtOAc 분획,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의 EtOAc 분획,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의 EtOAc 분획,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의 EtOAc 분획 그리고 홍심(C. morifolium Hongsim)의 EtOAc 분획이 tyrosinase 활성을 억제하였다. 수율 및 위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였을 때 쑥부쟁이(A. yomena), 하얀 코스모스(C. bipinnatus White), 분홍 코스모스(C. bipinnatus Pink), 빨간 코스모스(C. bipinnatus Red) 및 하이마야(C. morifolium Himaya) 의 다섯 품종이 미백물질개발을 위한 좋은 자원으로 판단되었다.

발효녹용의 균주 선별 및 발효녹용의 생리활성 (Isolation of Strain for the Preparation of the Fermented Antler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 김민경;정은영;이현순;신광순;김유경;나경수;박철수;우문제;이상훈;김진수;서형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9호
    • /
    • pp.1237-1242
    • /
    • 2009
  • 본 연구에서는 녹용의 효율을 높이고 아울러 새로운 약리효과를 기대하기 위해 녹용을 분해하는 미생물을 탐색하였으며, 선정된 미생물 이용하여 발효시킨 녹용에 대하여 생리활성을 측정하였다. Bacillus sp., Lactobacillus sp. 및 버섯균사체중 녹용발효에 적합 균주로 B. subtilis KH-15, SCB-3과 버섯 균사체인 Cordyceps militaris, Phellinus linteus, Inonotus obliquus 26136, Inonotus obliquus 26147을 이용하여 발효녹용 제조 시 발효물의 고형분 함량은 B.subtilis KH-15와 SCB-3가 가장 높았으며, total sugar, uronic acid, S-GAG 함량은 C. militaris에 의한 발효물이 각각 1619.3 ${\mu}g$/mL, 302.0 ${\mu}g$/mL, 119.9 ${\mu}g$/mL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으며, sialic acid 함량도 21.6 ${\mu}g$/mL로 B. subtilis KH-15의 24.8 ${\mu}g$/mL보다 다소 낮은 함량을 보였다. 면역 증강을 예측할 수 있는 항보체 활성은 B. subtilis 균주로 발효한 경우는 B. subtilis KH-15 균주의 $ITCH_{50}$값이 42.3%로 SCB-3 29.9%보다 높은 값을 보였으며, 버섯균사체를 이용한 발효 녹용 중에는 C. militaris가 50.1%로 가장 높은 항보체 활성을 보였다. 항산화력을 알 수 있는 ABTS 라디칼 소거능은 B. subtilis KH-15 발효물이 4.97 mg/mL로 가장 높은 소거능을 보였으며, DPPH 라디칼 소거능은 Inonotus obliquus 26147가 16.98 mg/mL의 $IC_{50}$값으로 가장 높은 라디칼 소거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 의하면 녹용추출물에 비하여 녹용 발효물은 uronic acid, S-GAG, sialic acid 등 생리활성물질을 많이 함유하였으며, 항보체 활성과 라디칼 소거능이 증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녹용자체가 지니는 조혈작용 등 생리활성 외에 항보체 활성처럼 새로운 활성이 발현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라디칼 소거능처럼 기존의 활성을 증진시키는 효과를 가지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참깨 탈지박을 첨가하여 제조한 청국장의 생리활성 및 리그난 성분 탐색 (Screening of Lignan Compound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Chungkukjang Fermented with Defatted Sesame Flour)

  • 김태수;최미경;김진숙;한재웅;강명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8권11호
    • /
    • pp.1580-1586
    • /
    • 2009
  • 본 연구는 청국장에 유지부산물을 첨가하여 일반성분, 항산화활성에 미치는 영향 및 유효성분을 분석하였다. 일반성분 분석 결과 탄수화물 함량은 DSFAF 청국장 24.97%, Control 23.86%, DSFBF 청국장 20.21%로 Control과 DSFAF 청국장에 비해 탄수화물 함량이 비교적 낮았다. 수분함량은 DSFBF 청국장 55.98%, DSFAF 청국장 52.83%, Control 48.89%로 Control에 비해 DSFBF 청국장이 높게 나타났고, 회분함량은 DSFBF 청국장 1.48%, DSFAF 청국장 2.41%, Control 6.45%로 DSFBF, DSFAF 청국장 모두 Control보다 낮게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DSFBF 청국장 3.30%, DSFAF 청국장 3.93%, Control 1.77%로 Control보다 DSFAF 청국장이 2%정도 함량이 많았으며, 조단백질 함량의 경우 DSFBF 청국장 19.03%, DSFAF 청국장 15.86%, Control 19.03%로 Control과 비슷하거나 낮은 경향을 보였다. 생리활성 측정에서 총 페놀 함량은 DSFBF 청국장 1.26 mg/mL, Control 1.20 mg/mL, DSFAF 청국장 1.14 mg/mL로 Control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었으며, 전자공여능은 DSFBF 청국장 21.30%로 Control 20.24%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은 활성을 나타냈다. SOD 유사활성에서는 DSFBF 청국장 68.48%로 Control 34.01%에 비해 2배 이상의 superoxide anion 제거능이 높은 물질을 함유하고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Hydroxyl radical 소거능에서는 DSFAF 청국장 96.87%, DSFBF 청국장 96.40%, Control 95.73%로 90% 이상의 높은 hydroxyl radical 소거능을 보였다. Relative antioxidative effects 저해활성은 DSFBF 청국장 47.92%, Control 47.06%로 비슷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시료 추출물에서의 sesamin, sesamolin을 HPLC를 통해 정량한 결과 sesamin은 DSFAF 청국장 2.41${\pm}$0.14 mg/g, DSFBF 청국장 3.04${\pm}$0.21 mg/g로 DSFBF 청국장이 비교적 높은 함량을 보였다. Sesamolin 또한 DSFAF 청국장 1.12${\pm}$0.07 mg/g, DSFBF 청국장 1.36${\pm}$0.09 mg/g으로 Control과 DSFAF 청국장에 비해 DSFBF 청국장이 생리활성 및 유효성분에서 더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기름 제조 후 부산물로 생성되는 참깨탈지박은 청국장에 새로운 기능성을 부여하는 기초 자료는 물론, 앞으로 우수한 기능성식품으로서의 가능성이 시사된다.

반하가 CT105에 의한 신경세포 상해 및 백서의 기억에 미치는 영향 (Neuroprotective and Memory Enhancing Effects of Pinelliae rhizoma Extract)

  • 강상렬;이소연;윤현덕;신오철;박창국;박치상
    • 대한한의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7-42
    • /
    • 2005
  • Objectives : Alzheimer's disease (AD) is a progressive and fatal neurodegenerative disease characterized by amyloid plaques and neurofibrillary tangles. These plaques are associated with degenerating neuronal processes and consist primarily of fibrillary aggregates of beta-amyloid$ protein, generated from amyloid precursor protein (APP). Another amyloidogenic fragment, the carboxyl terminus (CT) of APP, which is composed of 99-105 amino acid residues containing the complete $A{\beta}$ sequence, also appears to be toxic to neurones. Recent evidence suggest that CT105, carboxy terminal 105 amino acids peptide fragment of APP, may be an important factor causing neurotoxicity in AD. Methods : Although a variety of oriental prescriptions including Pinelliae rhizoma have traditionally been utilized for the treatment of AD, their pharmacological effects and action mechanisms have not yet been fully elucidated.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effects of the dichloromethane extract of Pinelliae rhizoma (PINR) on neurotoxicity and the formation of reactive oxygen species (ROS) and nitric oxide (NO) in SK-N-SH cells overexpressed with CT105. In addition, we evaluated i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effects on acetylcholinesterase (AChE) activity. Furthermore, effects on cognitive deficits induced by scopolamine treatment in rats were evaluated. Results ; We found in this study that PINR significantly inhibited apoptotic neuronal death induced by CT105 overexpression in SK-N-SH cells. Based on morphological examinations by phase-contrast microscopy, PINR reversed apoptotic changes of CT105-expressed cells. It was also found that PINR significantly promoted neurite outgrowth and inhibited formation of ROS nd NO. PINR was shown to scavenge DPPH radicals and noncompetitively inhibit AChE activity. Furthermore, it reduced scopolamine-induced memory impairment in rata, assessed by passive avoidance test. Conclusions :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PINR exhibits neuroprotective, antioxidant, and memory enhancing effects, and therefore may bs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AD.

  • PDF

대황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및 MMP-1 저해 활성 (Effect of Rheum undulatum Extract on Antioxidant Activity and Activity of Matrix Metalloproteinase-1 in Human Skin Fibroblasts)

  • 박성민;이계원;조영호
    • 생명과학회지
    • /
    • 제18권12호
    • /
    • pp.1700-170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대황 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효과, MMP-1 활성 저해효과 및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였다. 대황 추출물의 DPPH radicals과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 소거효과는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DPPH와 초산소 음이온 라디칼을 각각 20 ${\mu}g$/ml에서 72%와 80% 정도 소거하여 우수한 항산화 효과를 나타내었다. 자외선이 조사된 사람 피부 섬유아세포에서 MMP-1의 발현 저해효과 측정에서 대황 추출물은 1 ${\mu}g$/ml에서 약 79.5%로 매우 우수한 합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대황 추출물의 MMP-1 활성 저해효과는 20 ${\mu}g$/ml에서 약 70%의 우수한 활성 저해효과를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대황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 및 MMP-1 활성 저해효과와 자외선에 의한 MMP-1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저해하는 것으로 보아 우수한 항노화 소재로써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한 그릭 요거트의 항산화 활성 변화 (Antioxidant Activity of Greek-style Yogurt with Stevia Leaf Extracts)

  • 윤지우;김하나;하태준;박서희;이세미;안성일;주진우;김거유
    • Journal of Dairy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34권4호
    • /
    • pp.263-270
    • /
    • 2016
  • 본 연구는 열수 추출과 에탄올 추출법으로 추출한 스테비아 추출물을 그릭 요거트에 당으로 0.5%, 1% 비율로 첨가하여 DPPH, ABTS 라디칼 소거능과 FRAP 측정법을 통해 환원력을 측정하여 항산화능을 비교하고 총 폴리페놀 함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대조군에 비해 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항산화능이 증가하였고 열수 추출물보다 에탄올 추출물을 첨가하였을 때 더 항산화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총 폴리페놀 함량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따라서 그릭 요거트 에스테비아 잎 추출물을 첨가하여 항산화 기능성이 함유된 발효유로서 에탄올 추출법이 효과적이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