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diation Dosimeter

검색결과 406건 처리시간 0.032초

엑스선의 조사시간에 따른 형광유리선량계의 빌드업 특성 (Buildup Characteristics of Radiophotoluminescent Glass Dosimeters with Exposure Time of X-ray)

  • 권대철
    • 대한의용생체공학회:의공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256-263
    • /
    • 2017
  • By using the buildup characteristics of the radiophotoluminescence glass dosimeter(RPLGD), it is aimed to help the measurement of the accurate dose by measuring the radiation dose according to the time of the glass element. Five glass elements were arranged on the table and the source to image receptor distance(SID) was set to 100 cm for the build-up radiation dose measurement of the fluorescent glass dosimeter glass element(GD-352M). Radiation doses and saturation rates were measured over time according to irradiation time, with the tube voltage (30, 60, 90 kVp) and tube current (50, 100 mAs) Repeatability test was repeated ten times to measur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radiation dose increased from 0.182 mGy to 12.902 mGy and the saturation rate increased from 58.3% with increasing exposure condition and time. The coefficient of variation of the glass elements of the fluorescent glass dosimeter was ranged from 0.2 to 0.77 according to the X - ray exposure conditions. X - ray exposure showed that the radiation dose and saturation rate were increased with buildup characteristics, and degeneration of glass elements was not observed. The reproducibility of the variation coefficient of the radiation generator was included within the error range and the reproducibility of the radiation dose was excellent.

CsPbBr3을 기반으로 한 Perovskite 선량계의 방사선치료 Quality Assurance에 대한 적용가능성 평가 (Evaluation of Applicability of Perovskite Dosimeter based on CsPbBr3 Material to Quality Assurance in Radiation Therapy)

  • 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3호
    • /
    • pp.211-216
    • /
    • 2022
  • 방사선치료에서는 정상조직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면서도 종양조직을 죽이기 위하여 정확한 정도관리 품질보증이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 치료 방사선을 정확하게 계측할 수 있는 선량계가 요구된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사용되는 검출기 재료로 사용되는 물질보다 저렴하고 제조 공정이 간단하여 기존 물질들을 대체할 수 있는 페로브스카이트 물질에 제조단가를 낮출 수 있고 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particle in binder(PIB) 방법을 적용하여 민감도가 높은 고효율의 방사선 선량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고에너지 광자선에 대한 반응특성을 평가함으로써 방사선치료분야에 정도관리 품질보증선량계로 적용 가능한지 적용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 평가 결과, 6 MV 에너지에서의 RSD 1.178%로 제시되었고 15 MV에너지에서는 1.141%로 제시되었다. 선형회귀분석에 따른 선형성 평가결과, 6 MV, 15 MV 에너지 각 조건에서 0.9999의 R2값을 제시하였다. 재현성, 선형성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제작된 CsPbBr3 선량계의 치료방사선 분야에 정도관리 품질보증 선량계로의 적용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CsPbBr3 선량계는 재현성, 선형성 평가에서 기준이상의 성능을 제시하였으며, 개선을 통하여 치료방사선 정도관리 품질보증 선량계로 활용 가능한 것으로 판단된다.

방사선 개인피폭선량계를 이용한 피폭선량 측정 및 유용성 평가 (Evaluation of Usability and Radiation Dose Measurement Using Personal Radiation Exposure Dosimeter)

  • 강인석;안성민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4권11호
    • /
    • pp.864-870
    • /
    • 2014
  • 선량계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을 측정하여 개인피폭관리를 위한 선량계 선택의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2012년 1년간 방사선사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개인피폭 누적선량을 측정하여 열형광선량계, 형광유리선량계, 광자극발광선량계의 성능을 조사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DAP와 ion-chamber를 이용하여 세종류 개인피폭선량계의 선량측정값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의료기관별, 검사업무별, 분기별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누적선량을 확인하였다. 결과적으로 직접 X선조사를 통한 개인피폭선량계의 선량값과 ion-chamber의 절대값에서 광자극발광선량계가 열형광선량계나 형광유리선량계에 비해 더 유사한 선량값을 나타내 측정 능력면에서 더 우수한 결과를 나타냈다. 또한 방사선발생구역에서 방사선관계종사자의 피폭선량이 광자극발광선량계에서 보다 높게 나타났다.

개인선량계 분실 사례 및 분실 방지 방안 조사 (Investigation of Personal Dosimeter Loss Case and Measures to Prevent Loss)

  • 박성우;박현식;박영재;이경재;오기백;이성하;김민석;박주언;원문희
    • 핵의학기술
    • /
    • 제27권1호
    • /
    • pp.66-70
    • /
    • 2023
  • Purpose It is intended to improve the management efficiency of personal dosimeters by analyzing and sharing personal dosimeter loss cases and loss prevention measures.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17 to 2021, data on the number of lost personal dosimeters were collected at large hospitals, and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and lost were investigated. Results In order to prevent loss by institution, methods such as the use of auxiliary rings, contact stickers and dosimeter necklaces were implemented. Conclusion Hospitals are a business that frequently changes clothes, such as surgical gowns and work clothes, so there is a lot of lo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loss rate increases as the number of personal dosimeters issued increases.

  • PDF

The first KREDOS-EPR intercomparison exercise using alanine pellet dosimeter in South Korea

  • Park, Byeong Ryong;Kim, Jae Seok;Yoo, Jaeryong;Ha, Wi-Ho;Jang, Seongjae;Kang, Yeong-Rok;Kim, HyoJin;Jang, Han-Ki;Han, Ki-Tek;Min, Jeho;Choi, Hoon;Kim, Jeongin;Lee, Jungil;Kim, Hyoungtaek;Kim, Jang-Lyul
    •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52권10호
    • /
    • pp.2379-2386
    • /
    • 2020
  • This paper presents the results of the first intercomparison exercise performed by the Korea retrospective dosimetry (KREDOS) working group using electron paramagnetic resonance (EPR) spectroscopy. The intercomparison employed the alanine dosimeter, which is commonly used as the standard dosimeter in EPR methods. Four laboratories participated in the dose assessment of blind samples, and one laboratory carried out irradiation of blind samples. Two types of alanine dosimeters (Bruker and Magnettech) with different geometries were used. Both dosimeters were blindly irradiated at three dose levels (0.60, 2.70, and 8.00 Gy) and four samples per dose were distributed to the participating laboratories. Assessments of blind doses by the laboratories were performed using their own measurement protocols. One laboratory did not participate in the measurements of Magnettech alanine dosimeter samples. Intercomparison resul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bias, En value, and z-score. The results reported by participating laboratories were overall satisfactory for doses of 2.70 and 8.00 Gy but were considerably overestimated with a relative bias range of 10-95% for 0.60 Gy, which is lower than the minimum detectable dose (MDD) of the alanine dosimeter. After the first intercomparison, participating laboratories are working to improve their alanine-EPR dosimetry systems through continuous meetings and are preparing a second intercomparison exercise for other materials.

Personal Dosimeters Worn by Radiation Workers in Korea: Actual Condition and Consideration of Their Proper Application for Radiation Protection

  • Eunbi Noh;Dalnim Lee;Sunhoo Park;Songwon Seo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48권3호
    • /
    • pp.162-166
    • /
    • 2023
  • Background: Assessment of the radiation doses to which workers are exposed can differ depending on the placement of dosimeters on the body. In addition, it is affected by whether the placement is under or over a shielding apron.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the actual positioning of personal dosimeters on the body, with or without shielding aprons, among radiation workers in Korea. Materials and Methods: We analyzed the survey data, which included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occupation, work history, and placement of the personal dosimeter being worn, from a cohort study of Korean radiation workers. We assessed the use of personal dosimeters among workers, stratified by sex, age, working period, starting year of work, and occupation. Results and Discussion: Overall, high compliance (89.1% to 99.0%) with the wearing of dosimeters on the chest was observed regardless of workers' characteristics, such as age, sex, occupation, and work history. However, the placement of dosimeters, either under or over the shielding aprons, was inconsistent. Overall, 40.1% of workers wore dosimeters under their aprons, while the others wore dosimeters over their aprons. This inconsistency indicates that radiation doses are possibly measured differently under the same exposure conditions solely owing to variations in the placement of worn dosimeters. Conclusion: Although a lack of uniformity in dosimeter placement when wearing a shielding apron may not cause serious harm in radiation dose management for workers, the development of detailed guidelines for dosimeter placement may improve the accuracy of dose assessment.

원전 불균일 방사선장하에서 유효선량 평가를 위한 복수선량계 알고리즘 적용방안 연구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Two-dosimeter Algorithm to Estimate the Effective Dose in an Inhomogeneous Radiation Field at Korean Nuclear Power Plants)

  • 김희근;공태영
    • Journal of Radiation Protection and Research
    • /
    • 제33권4호
    • /
    • pp.151-160
    • /
    • 2008
  • 국내 원전에서는 과거에 불균일 방사선장이 형성되는 고피폭 방사선작업에 2개의 복수선량계(TLD)를 머리와 기슴에 패용하였으며, 이들 선량계 판독값 중에서 최대값을 유효선량으로 평가함으로써 일정 부분이 과대평가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국제적인 기관에서 제시된 복수선량계 알고리즘을 대상으로 적절한 알고리즘을 선정하기 위한 현장적용 시험을 실시하였다. 여기에는 캐나다 원전사업자(OPG), 미국표준기술협회(ANSI HPS N13.41), NCRP(55/50), NCRP(70/30), EPRI (NRC), Lakshmanan, Kim(Texas A&M University) 알고리즘 등을 대상으로 하였고, 국내 원전의 계획예방정비기간동안 고피폭이 예상되는 방사선작업을 대상으로 작업종사자에게 3개의 복수선량계를 가슴, 머리, 등에 동시에 패용하였고 판독하였다. 이 시험 결과에 따르면 Lakshmanan 알고리즘을 제외하고 유효선량 평가에서 모든 복수선량계 알고리즘이 거의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현장적용시험 결과와 이들 알고리즘의 기술적 배경과 방사선작업과정에서의 편의성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NCRP(55/50) 알고리즘을 최종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복수선량계 지급조건은 INPO와 ANSI의 지침을 검토하여 빙사선량율이 1 mSv/hr 이상이면서 인체 특정부위 간의 선량율이 30% 이상차이가 나고 단일 작업에서 2mSv 이상피폭을 받을 것으로 예상될 때 지급하는 것으로 결정하였다.

How Effective Are Radiation Reducing Gloves in C-arm Fluoroscopy-guided Pain Interventions?

  • Kim, Ah Na;Chang, Young Jae;Cheon, Bo Kyung;Kim, Jae Hun
    • The Korean Journal of Pain
    • /
    • 제27권2호
    • /
    • pp.145-151
    • /
    • 2014
  • Background: The physician's hands are close to the X-ray field in C-arm fluoroscopy-guided pain interventions. We prospectively investigated the radiation attenuation of Proguard RR-2 gloves. Methods: In 100 cases, the effective doses (EDs) of two dosimeters without a radiation-reducing glove were collected. EDs from the two dosimeters-one dosimeter wrapped with a glove and the other dosimeter without a glove-were also measured at the side of the table (Group 1, 140 cases) and at a location 20 cm away from the side of the table (Group 2, 120 cases). Mean differences such as age, height, weight, radiation absorbed dose (RAD), exposure time, ED, and ratio of EDs were analyzed. Results: In the EDs of two dosimeters without glove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39.0{\pm}36.3{\mu}Sv$ vs. $38.8{\pm}36.4{\mu}Sv$) (P = 0.578). The RAD ($192.0{\pm}182.0radcm^2$) in Group 2 was higher than that ($132.3{\pm}103.5radcm^2$) in Group 1 (P = 0.002). The ED ($33.3{\pm}30.9{\mu}Sv$) of the dosimeter without a glove in Group 1 was higher than that ($12.3{\pm}8.8{\mu}Sv$) in Group 2 (P < 0.001). The ED ($24.4{\pm}22.4{\mu}Sv$) of the dosimeter wrapped with a glove in Group 1 was higher than that ($9.2{\pm}6.8{\mu}Sv$) in Group 2 (P < 0.001).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noted in the ratio of EDs ($73.5{\pm}6.7%$ vs. $74.2{\pm}9.3%$, P = 0.469) between Group 1 and Group 2. Conclusions: Proguard RR-2 gloves have a radiation attenuation effect of 25.8-26.5%. The radiation attenuation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y intensity of scatter radiation or the different RADs of C-arm fluoroscopy.

피부선량 측정을 위한 Lead-Monoxide 기반의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 개발 및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Silicon Passive Layer Dosimeter Based Lead-Monoxide for Measuring Skin Dose)

  • 양승우;한무재;정재훈;배상일;문영민;박성광;김진영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6호
    • /
    • pp.781-788
    • /
    • 2021
  • 피부는 방사선에 대한 민감도가 높기 때문에 방사선치료 시에 피부에 조사되는 선량을 정확하게 측정하여 과도한 피폭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 임상에서는 film, OSLD, TLD, glass 선량계등과 같은 선량계를 사용하여 피부선량을 측정하고 있지만, 이러한 선량계들은 피부곡면에서의 정확한 선량측정이 힘든 문제점이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인체 굴곡에 따라서 부착이 가능한 피부선량계를 개발하고 그 반응 특성을 평가하였다. 선량계 제작에는 높은 원자번호(ZPb: 82, ZO: 8)와 밀도(9.53 g/cm3)로 방사선검출 측점에서 우수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 Lead oxide(PbO)와 인체 굴곡에 따라 휘어질 수 있는 silicon 바인더를 사용하여 재조하였다. 한편 PbO 물질로 제작된 선량계의 경우 산화로 인한 성능 저하가 존재하기 때문에 parylene 등을 사용하여 성능저하를 방지해오고 있었지만, 기존에 사용된 parylene은 bending에 대한 영향을 받기 때문에 silicon을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passive layer를 제작하여 피부선량계에 적용하였다. 피부선량계의 특성평가는 SEM, 재현성, 선형성을 분석하여 평가하였다. SEM 분석을 통하여 bending에 영향을 받는지 평가하였으며, 6 MeV 에너지에서의 재현성, 선형성을 평가하여 피부선량계로 적용이 가능한지 평가하였다. SEM 분석을 통하여 선량계 표면을 관찰한 결과, parylene으로 passive layer가 올라간 parylene passive layer PbO 선량계는 구부러 졌을때, 표면에 crack이 발생하였다. 그에 반해 silicon passive layer가 올라간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에서는 crack 이 관찰되지 않았다. 재현성 측정 결과에서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의 RSD는 1.47%로 평가기준 RSD 1.5%를 만족하였으며, 선형성 평가 결과에서는 R2값이 0.9998로 나타나 평가기준 R2 0.9990을 만족하였다. silicon passive layer PbO 선량계는 bending에 따른 crack이 발생하지 않으며, 재현성, 선형성에서 높은 신호안정성과 정밀성, 정확성을 보여주어 피부선량계로의 적용이 가능한 것으로 평가되었다.

방사선 근접치료 디지털 선량계의 성능 개선을 위한 Passive Layer의 효과 (Effect of Passive Layer to Improve Performance of Digital Dosimeter in Brachytherapy)

  • 한무재;양승우;박성광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5권5호
    • /
    • pp.715-721
    • /
    • 2021
  • 방사선 근접치료에서 잘못된 선원의 위치는 정상조직에 과도한 선량을 유발할 수 있다. 그러므로 아날로그 검출방식을 대체하기 위해 디지털 선량계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선량계 성능 개선을 위한 기초연구로써 passive layer (PL)를 적용한 lead (II) oxide (PbO) 선량계를 제작하였다. 이후 Ir-192 선원의 조사조건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기 위해 재현성, 선형성, 거리의존성을 평가하였다. 재현성은 PL-PbO 선량계에서 상대표준편차가 0.40%로 평가 기준 1.5% 이내를 만족하였고, PbO 선량계보다 개선된 결과를 보였다. 선형성은 선형함수 R2이 0.9995로 우수한 결과를 보였고, 선형함수의 회귀분석을 통한 기울기 분석은 PL-PbO에서 우수하였다. 거리 의존성은 거듭제곱함수의 회귀분석을 통해 얻은 기울기를 inverse square value와 비교하였을 때, PL-PbO 선량계는 PbO에 비해 +0.599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고체선량계의 계측 구성에 따른 효과와 측정 변수를 제시하고 있고, 다양한 방사선 검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