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NA degradation

검색결과 423건 처리시간 0.027초

폐수처리장의 바이오 필터로부터 분리된 Comamonas sp. NLF-7-7 균주의 유전체 염기서열 해독 (Complete genome sequence of Comamonas sp. NLF-7-7 isolated from biofilter of wastewater treatment plant)

  • 김동현;한국일;권해준;김미경;김영국;최두호;이근철;서민국;김한솔;이정숙;김종국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309-312
    • /
    • 2019
  • 본 연구에서는 폐수처리장의 바이오필터로부터 Comamonas sp. NLF-7-7 균주를 분리하고 유전체서열을 PacBio RS II와 Illumina HiSeqXten 플랫폼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염색체의 크기는 3,333,437 bp로 G + C 구성 비율은 68.04%, 총 유전자수는 3,197개, rRNA는 9개 및 tRNA는 49개로 구성되었다. 본 유전체는 오염물질분해와 플록형성에 관여하는 황산화 경로 유전자(SoxY, SoxZ, SoxA 및 SoxB)와 플록형성 경로 유전자(EpsG, EpsE, EpsF, EpsG, EpsL 및 glycosyltransferase)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Comamonas sp. NLF-7-7 균주는 폐수를 정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Raw264.7 세포에서 황기와 산초 1:1 혼합물의 면역 증진 효과 (Immune stimulating effects of Astragalus membranaceus and Zanthoxylum schinifolium 1:1 mixture in Raw264.7 cells)

  • 조일제;유영은;이상민;김은옥;박준흠;구세광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6권
    • /
    • pp.519-526
    • /
    • 2023
  • 본 연구는 마우스 대식세포 유래 Raw264.7 세포주에서 황기와 산초 1:1 혼합물(AZM-1:1)의 면역 증진 효능을 탐색하였다. Raw264.7 세포에 100-400 ㎍/mL의 A ZM-1:1 처치는 세포 생존율의 변화 없이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mRNA의 발현 증가와 함께 nitric oxide의 생성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더불어 A ZM-1:1은 처치 농도 의존적으로 cyclooxygenase-2 mRNA의 유도와 함께 세포 배양액 중 prostaglandin E2의 함량을 증가시켰다. 또한, AZM-1:1은 tumor necrosis factor-α, interleukin-1β, interleukin-6 및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의 전사를 촉진하였다. Immunoblot 분석을 통하여 AZM-1:1은 mitogen-activated protein kinase의 인산화를 증가시키고, inhibitory-κBα의 인산화를 매개한 분해를 촉진하며, p65의 인산화를 증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ZM-1:1의 처치는 녹색 형광으로 표지된 대장균 파편의 탐식작용을 촉진하였다. 따라서, 이상의 결과는 A ZM-1:1가 대식세포를 포함한 내재면역을 증진시키는 기능성 식의약 소재가 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저온.담수토양에서 벼종자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호분층 인접 배유의 전분분해 양상 (Expression of $\beta$-amylase Gene and Degradation of Starch Granules of Germinating Rice Seed under Low Temperature and Submerged Soil Condition)

  • 윤병성;강원희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47권6호
    • /
    • pp.413-417
    • /
    • 2002
  • 온대 수도작에 있어서 발아시의 조건에 가까운 저온.담수 토양조건에서의 출아에 관련된다고 생각되어지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 발현과 발현 양상이 실제로 호분층 인접 부분의 전분 분해에 영향을 미치는지 in situ hybridization과 현미화학적방법으로 검토하였다. 1.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했던 장향도 품종은 호분층에서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였다. 2.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출아하지 못했던 수원 287호는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이 보이지 않았다. 3. $\beta$-아밀라제 활성의 유무에 의해 배반세포에 인접한 배유부분의 전분분해량에 변화를 보여 $\beta$-아밀라제 활성이 높은 장향도, 은방주(Ginbozu), Fortana I-133가 $18^{\circ}C$의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는 $\beta$-아밀라제 활성을 나타내지 않는 수원 287호와 시험한 모든 조건하에서 $\beta$-아밀라제의 활성이 보이지 않았던 농림(Norin) 6호, 고시히까리(Koshihikari) 보다 배반상피세포 및 배반상피세포에 인접한 호분층 근접 배유부분의 전분립 감소가 컸다. 이상의 결과 저온.담수토양조건하에서 벼 종자의 출아에 $\beta$-아밀라제 유전자의 발현과 전분 분해의 연관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일회성 및 만성적 유산소운동이 초파리의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영향 (Differential Effects of Acute and Chronic Exercise on Autophagy-related Gene Expression in Drosophila melanogaster)

  • 김희연;김혜진;황지선;이원준
    • 생명과학회지
    • /
    • 제24권11호
    • /
    • pp.1180-1186
    • /
    • 2014
  • 자가포식은 자가포식소체에서 리소좀으로 이어지는 경로를 통해 세포내에서 일어나는 자가분해 시스템으로 다양한 질병과 관련된 운동의 효과를 설명하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보고된 대부분의 연구는 일회성 운동 혹은 저항성 운동에 의한 자가포식만을 조사한 것으로 일회성 운동과 만성적 운동을 함께 조사한 연구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일회성 및 만성적 유산소운동이 자가포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White-eyed mutant Drosophila melanogaster를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통제집단, 일회성 운동 집단, 일주일간 하루 2시간 또는 3시간씩 운동을 실시한 집단에 무선배정 하였고, 운동은 일회성 운동과 만성적 운동으로 구성하여 실시하였다. 정량 실시간 연쇄반응을 통해 Atg1, Atg6, Atg8a 유전자의 발현을 관찰한 결과 일회성 운동은 Atg8a mRNA 발현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그러나 Atg1, Atg6 mRNA 발현은 일회성 운동으로 유도되지 않았다. 또한 2시간의 만성적 운동에 의해서 Atg6 mRNA 발현이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나 Atg1, Atg8a mRNA 발현에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3시간의 만성적 운동을 실시한 결과 Atg1, Atg6, Atg8a mRNA 발현이 각각 57%, 37%, 71%로 모두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서 일회성의 운동은 선별된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를 모두 활성화시키지는 못하지만 선택적으로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고, 만성적 운동은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의 발현을 증가시킨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일회성 및 만성적 유산소운동이 자가포식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였으며, 자가포식 관련 유전자가 일회성 운동과 만성적 운동에 의해 차별적으로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향후 운동에 의한 자가포식 연구에 있어 운동 형태 및 지속시간 등을 고려한 보다 세부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을 것이라 사료되는 바이다.

전통 발효 청국장으로부터 분리한 Bacillus 균주들의 특성 및 기능 분석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analysis of Bacillus strains from the fermented soybean products, Cheonggukjang)

  • 문지영;권순우;홍승범;석순자;김정선;김수진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300-307
    • /
    • 2015
  • 좋은 청국장을 발효하는 균주를 선발하기 위하여 청국장 시료로부터 8개의 균주를 선발하였다. 이들 중 7균주는 Bacillus subtilis subsp. subtilis와 99.9% 이상의 가장 높은 16S rRNA 유사도를 보였고, 한 균주는 B. licheniformis와 높은 유사도를 보였다. 선발 균주의 효소 생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균주에서 amylase, cellulase, protease 그리고 lipase 활성을 보였고, 6균주에서 혈전용해능을 보였다. 또한 전통방법으로 제조한 청국장에서 분리한 균주들의 안전성을 확보하고자 분리균주와 계통학적으로 가까운 Bacillus cereus의 독소유전자 7종의 유무를 확인한 결과 모든 선발균주에서 독소유전자 7종을 가지고 있지 않았다. 선발 균주 중 8균주에서 histamine과 tyramine의 생성이 없거나 최소한의 생성을 보였고, HPLC를 이용한 바이오제닉 아민 분해능 분석 결과 대부분의 균주가 tyramine 분해능을 보였다. 선발된 균주로 발효한 청국장의 발효능, 관능, 휘발성염기질소 생성을 확인 하여 7균주가 좋은 품질의 청국장을 만드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들 선발된 균주로 만든 청국장의 metabolic profile을 분석하였다.

목질섭식곤충의 장내 세균 다양성 분석 및 섬유소 분해균 탐색 (Analysis of gut bacterial diversity and exploration of cellulose-degrading bacteria in xylophagous insects)

  • 최민영;안재형;송재경;김성현;배진우;원항연
    • 미생물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09-220
    • /
    • 2015
  • 목질 섭식 곤충에 관한 장내 세균 군집의 연구를 이용한 lignocellulose의 분해는 생명 공학적 응용에 있어 큰 잠재력을 갖는다. 본 연구에서 목질 섭식 곤충의 장내 세균 군집은 16S rRNA 유전자를 기반으로 한 파이로시퀀싱 방법을 이용하여 분석되었다. 분석된 모든 곤충에서 중장보다 후장에서 OTU수, 종 풍부도, 다양성 지수가 높았다. 세균 문 또는 강 수준의 다양성을 분석한 결과, 흰개미를 제외한 곤충의 장내 군집에는 Firmicutes, Bacteroidetes, ${\gamma}-Proteobacteria$가 우점하였다. PCoA (principal coordinates analysis)를 이용하여 세균의 군집 구조를 분석한 결과, 서식지보다는 곤충의 과별로 클러스터링 되는 경향이었다. CMC 분해 활성이 가장 높은 두 균주는 Bacillus toyonensis $BCT-7112^T$와 Lactococcus lactis subsp. hordniae $NCDO\;2181^T$과 유연관계가 높았다. 장 적출물의 섬유소 분해활성 실험 결과, 하늘소 후장에서 ${\beta}-1,4-glucosidase$, ${\beta}-1,4-endoglucanase$, ${\beta}-1,4-xylanase$의 효소활성이 가장 높았다. 본 연구에서는 목질 섭식 곤충의 장내에 다양하고 풍부한 세균이 서식하며, 섬유소를 분해하는 세균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로부터 다양하고 유용한 섬유소 분해균을 분리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Inhibit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Expression by YS 49, a Synthetic Isoquinoline Alkaloid, in ROS 17/2.8 Cells Activated with $TNF-{\alpha},\;IFN-{\gamma}$ and LPS

  • Kang, Young-Jin;Kang, Sun-Young;Lee, Young-Soo;Park, Min-Kyu;Kim, Hye-Jung;Seo, Han-Geuk;Lee, Jae-Heun;YunChoi, Hye-Sook;Chang, Ki-Churl
    • The Korean Journal of Physiology and Pharmacology
    • /
    • 제8권5호
    • /
    • pp.273-280
    • /
    • 2004
  • Nitric oxide (NO) has been suggested to act as a mediator of cytokine-induced effects of turn over of bone. Activation of the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by inflammation has been related with apoptotic cell death in osteoblast. YS 49, a synthetic isoquinoline alkaloid, inhibits NO production in macrophages activated with cytokines. In the present study, we investigated the molecular mechanism of YS 49 to inhibit iNOS expression in ROS 17/2.8 cells, which were activated with combined treatment of inflammatory cytokines $(TNF-{\alpha},\;IFN-{\gamma})$ and lipopolysaccharide (LPS). Results indicated that YS 49 concentration-dependently reduced iNOS mRNA and protein expression, as evidenced by Northern and Western blot analysis, respectively. The underlying mechanism by which YS 49 suppressed iNOS expression was not to affect iNOS mRNA stability but to inhibit activation and translocation of $NF-_kB$ by preventing the degradation of its inhibitory protein $I_kB_{\alpha}$. As expected, YS 49 prevented NO-induced apoptotic cell death by sodium nitroprusside. Taken together, it is concluded that YS 49 inhibits iNOS expression by interfering with degradation of phosphorylated inhibitory $_kB_{\alpha}\;(p-I_kB_{\alpha})$. These actions may be beneficial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ion of the joint, such as rheumatoid arthritis.

난분해성 케라틴 단백질을 함유하는 닭 우모 분해세균의 분리 및 특성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Keratinolytic Protein Chicken Feather-Degrading Bacteria)

  • 김세종;조천휘;황경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1호
    • /
    • pp.86-92
    • /
    • 2010
  • 양계장 부산물 시료로부터 우모 분해세균 31균주를 분리하였다. 수집된 우모 분해세균에 대해 16S rRNA 염기서열을 해석하여 계통학적 특성을 검토한 결과, Firmicutes (21균주), ${\gamma}$-proteobacteria (4균주), Actinobacteria (4균주) 그리고 Bacteroidetes (2균주) 계통군에 속하는 다양한 세균이 확보되었다. 우모 분해세균 중 우모 분해율이 75-90% 이상인 우수균주 Chryseobacterium sp. FBF-7, Stenotrophomonas maltophilia FBS-4 그리고 Lysinibacillus sp. FBW-3를 최종 선발하였다. 이들 균주를 이용한 생물학적 분해법과 Ca(OH)2를 이용한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특성을 비교한 결과,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이 1661.6 ${\mu}mol$/ml로 선발 균주 중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해 추출된 총 아미노산 함량과 유사하였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생성된 필수 아미노산 함유량은 619.3 ${\mu}mol$/ml로 총 아미노산의 37%를 함유하였으며, 화학적 분해법에 의한 경우, 596.9 ${\mu}mol$/ml의 필수 아미노산을 생산하여 총 아미노산 함유량의 32%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Chryseobacterium sp. FBF-7에 의해 추출된 아미노산의 조성을 검토한 결과, valine, glutamic acid, aspartic acid, glycine 그리고 proline이 주요 아미노산이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threonine, serine, cysteine 그리고 tyrosine이 화학적 추출법보다 더 높게 추출되는 특징을 나타내었다.

신규 Naxibacter sp. CY6에 의한 Chlorpyrifos (CP) 분해 및 토양에서 CP 분해능 (Biodegradation of Chlorpyrifos (CP) by a Newly Isolated Naxibacter sp. Strain CY6 and Its Ability to Degrade CP in Soil)

  • 김철호;최진상;장인석;조계만
    • 미생물학회지
    • /
    • 제49권1호
    • /
    • pp.83-89
    • /
    • 2013
  • 채소 재배 비닐하우스 토양으로부터 chlorpyrifos (CP) 분해능을 지니고 있는 CY6 균주를 분리하였다. 형태학적 특징 및 16S rRNA 염기서열의 계통발생학적 유사성을 기초로 CY6 균주는 Naxibacter sp.로 확인되었다. CP는 Naxibacter sp. CY6 의해 탄소 및 인의 단일원으로 이용되었다. 우리는 액체배양에서 Naxibacter sp. CY6의 다른 OP 살충제 분해 양상을 살펴 보았다. Naxibacter sp. CY6는 parathion 및 methyl parathion, diazinon, cadusafos, ethoprop를 분해할 수 있었으며, 이 때 이들은 탄소 및 인의 단일원으로 제공되었다. 또한, CP (100 mg/kg)가 함유된 토양에 Naxibacter sp. CY6 ($10^8$ CFU/g)를 접종한 것이 접종하지 않은 토양에서 보다 약 90%의 높은 분해 정도를 나타냈었다. Naxibacter sp. CY6는 살충제가 오염된 토양의 정화에 사용할 수 있는 잠재성을 지니고 있다.

The Effects of Dietary Lysine Deficiency on Muscle Protein Turnover in Postweanling Pigs

  • Chang, Yi-Ming;Wei, Hen-We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8권9호
    • /
    • pp.1326-1335
    • /
    • 2005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lysine deficiency on protein turnover of porcine muscles. There were 18 LYD three-breed-crossing postweanling barrows from six litters cannulated with gastric tubes through the esophagus at approximate 10 kg of body weight and allocated into three treatment groups. When their body weights reached over 12 kg, one group was sacrificed for determining the initial protein masses of m. masseter, m. longissimus dorsi, m. adductor and m. biceps femoris from the right body side. The others received a diet containing 100% or 61.4% (calculated values) of the lysine requirement (NRC, 1998) multiplied by 1.103 for a period of 17 days. Daily feed provision was computed for each pig according to body weight at the same day. All pigs were infused a flooding dose of $^2$H$_5$-phenylalanine to determine the fractional protein synthesis rates (FSR) of the aforementioned muscles in the end. Their four muscles from the right body side were also dissected for measuring the fractional rates of protein accretion (FAR). As for protein degradation, fractional rates (FDR) were calculated by differences between synthesis and accretion. Results showed that the lysine deficiency resulted in, significantly (p<0.05), lighter body weights, smaller muscles and a slower growth rate. The protein mass, accreted by the muscles, of the deficient group was only 54% averaged of the pigs fed adequately (p<0.05). The FAR of these muscles in the deficient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p<0.05) and only achieved 61.1% averaged of the contro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p>0.05), nevertheless, in the amino-acid composition of muscles between two groups. The lysine deficiency reduced significantly (p<0.05) the FSR of m. longissimus dorsi but did not influence its FDR. The m. biceps femoris also presented an inhibited FSR while its FDR reduced only exhibited a very high tendency (p = 0.055) compared to the adequately-fed pigs. As for the m. masseter and m. adductor, both of the FSR and FDR were depressed significantly (p<0.05) by the lysine deficiency, and changes in the FSR were severer than those in the FDR, so that their FAR were significantly slower (p<0.05)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lysine deficiency also inhibited the RNA translation activity of the muscles while the effects on RNA capacity were not significant (p>0.05). In conclusion, the FAR of muscle protein was changed by the current lysine deficiency through the alterations in the FSR and/or FD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