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FLP

검색결과 987건 처리시간 0.034초

Effects of Heart Fatty Acid-binding Protein Genotype on Intramuscular Fat Content in Duroc Pigs Selected for Meat Production and Meat Quality Traits

  • Uemoto, Yoshinobu;Suzuki, Keiichi;Kobayashi, Eiji;Sato, Syushi;Shibata, Tomoya;Kadowaki, Hiroshi;Nishida, Akira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0권5호
    • /
    • pp.622-626
    • /
    • 2007
  • Using multi-trait animal model BLUP, selection was conducted over seven generations for growth rate (DG), real-time ultrasound loin-eye muscle area (LEA), backfat thickness (BF),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IMF) to develop a new line of purebred Duroc pigs with enhanced meat production and meat quality.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RFLP) of a heart fatty acid-binding protein (H-FABP) gene and intramuscular fat content (IMF) of this Duroc purebred population. The present experiment examined the RFLP of 499 slaughtered pigs. The DNA was separated from the blood or ear tissue of the pigs, which were slaughtered at 105 kg of body weight. Intramuscular fat content of the longissimus muscle was measured using chemical analysis.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detected in the breeding value of IMF among the H-FABP PCR RFLP genotypes. The AA genotype has a significantly larger positive effect on the IMF breeding value than do the Aa and aa genotypes for the MspI RFLP. In addition, the DD genotype has a significantly greater positive effect on IMF breeding value than the Dd and dd genotypes for the HaeIII RFLP. For the HinfI RFLP, the hh genotype has a significantly larger positive effect on IMF breeding value than the HH genotyp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IMF breeding values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the three H-FABP genotypes as independent variables. Results revealed that the contribution of the genotypes to variation in IMF breeding values was approximately 40%. These results demonstrated that H-FABP RFLPs affect IMF in this Duroc population.

RFLP Analysis of cry1 and cry2 Genes of Bacillus thuringiensis Isolates from India

  • Patel, Ketan D.;Ingle, Sanjay S.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2권6호
    • /
    • pp.729-735
    • /
    • 2012
  • The PCR-RFLP method has been useful for detection of known genes and identification of novel genes. In the present study, degenerate primers were designed from five groups of cry1 genes for PCR-RFLP analysis. Bacillus thuringiensis (Bt) isolates from different regions were evaluated for PCR amplification of various cry1 genes using newly designed primers and cry2 genes using reported primers. PCR analysis showed an abundance of cry1A genes and especially cry1Ac genes in isolates from all regions. RFLP analysis revealed the presence of multiple cry1A genes in isolates from central and southern regions. Unique digestion patterns of cry1A genes were observed in isolates from each region. Few of the isolates represented a digestion pattern of cry1A genes that did match to any of the known cry1A genes. RFLP analysis suggested an abundance of cry2Ab along with a novel cry2 gene in Bt isolates from different regions of India. Sequence analysis of the novel cry2 gene revealed 95% sequence identity to cry2Ab and cry2Ah genes. Phylogenetic analysis revealed that the novel cry2 gene could have diverged earlier than the other cry2 genes. Our results encourage finding of more diverse cry2 genes in Bt isolates. Rarefaction analysis was used to compare cry1A gene diversity in isolates from different soil types. It showed a higher degree of cry1A gene diversity in isolates from central region. In the present study, we propose the use of novel degenerate primers for cry1 genes and the PCR-RFLP method using a single enzyme to distinguish multiple cry1A and cry2 genes as well as identify novel genes.

RAPD, ISSR과 PCR-RFLP를 이용한 한국산 제비꽃속(Viola)의 종간 유연관계 (Interspecific relationships of Korean Viola based on RAPD, ISSR and PCR-RFLP analyses)

  • 유기억;이우철;권오근
    • 식물분류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43-61
    • /
    • 2004
  • 한국산 제비꽃속 32분류군과 일본산 2집단 등 총 34집단에 대한 유연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RAPD(randomly amplified polymorphic DNA), ISSR(inter simple sequence repeat) 및 PCR-RFLP(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실시하였다. RAPD 분석에서는 40개의 primer 중 6개가 분류군 전체에서 반응을 보였고 이로부터 총 70개(98.6%)의 다형화 밴드를 얻었으며, ISSR 분석에서는 4개의 primer로 부터 28개(96.6%)의 다형화밴드를 얻었다. 엽록체 DNA의 non-coding부분을 이용한 PCR-RFLP 분석에서는 반응이 일어난 4지역에서 증폭된 약 6.78 kb의 DNA 각각에 대하여 15가지 제한효소를 처리한 결과 총 80개의 restriction site를 얻었으며 그중 16 site는 polymorphic하게 나타나 20%의 다형화를 보였다. 본 연구에서 다룬 3가지 형질에 의한 유집분석 결과 각각의 형질에 의해서는 서로 일치하지 않는 유집형태를 보였지만 3가지 형질을 통합한 결과는 진정제비꽃절(sect. Nomimium)내 아절과 계열간 구분이 명확하게 나타났으며 무경종과 유경종도 구별이 가능하여 외부형태형질에 의한 기존의 분류체계와 일치하였다. 그러나 노랑제비꽃절(sect. Chamaemelanium)은 진정제비꽃절과 독립적인 군을 형성하지 않고 진정제비꽃절 내 무경종그룹인 Patellares아절과 Vaginatae아절 사이에 위치하여 나타났다. 형태적인 변이가 매우 심한 분류군으로 알려진 태백제비꽃군(V. albida complex)은 Patellares아절 내에서 하나의 군으로 유집되어 Pinnatae계열로 처리하는 것이 타당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가지 형질 중 RAPD 분석방법은 ISSR과 PCR-RFLP 분석보다 제비꽃속의 종간 유연관계를 밝히는데 더 유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제주도에서 채집한 해양 해면, Asteropus simplex의 공생세균에 관한 계통학적 분석 (Phylogenetic Analysis of Bacterial Diversity in the Marine Sponge, Asteropus simplex, Collected from Jeju Island)

  • 정인혜;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8권4호
    • /
    • pp.275-283
    • /
    • 2012
  • 해양 해면 Asteropus simplex를 제주도에서 채집하여 배양에 의한 RFLP와 비배양에 의한 DGGE 분석 방법에 의해 세균군집 구조를 조사하였다. 16S rDNA-RFLP 분석을 위해 변형된 Zobell 배지와 MA를 이용하여 120균주를 선별하고 제한효소, HaeIII와 MspI을 사용하여 각각의 다른 RFLP 패턴으로 구분하였다. RFLP 패턴으로부터 유래한 16S rDNA 염기서열 분석결과, 알려진 세균 종과 94%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Bacteroidetes, Firmicutes, 5개의 문이 관찰되었다. 그 중 Gammaproteobacteria가 우점하였다. 같은 해면, A. simplex의 DGGE 분석을 위해 total genomic DNA로부터 16S rDNA를 증폭하여 DGGE fingerprinting을 수행한 결과 12개의 서로 다른 밴드가 관찰되었다. 각 밴드의 16S rDNA 염기서열은 알려진 세균의 염기서열과 90% 이상의 유사성을 나타내었으며 대부분의 염기서열은 uncultured bacteria에 속하였다. DGGE 분석으로부터 미생물의 군집은 Alphaproteobacteria, Bet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Delt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Chloroflexi, Nitrospira, 7개의 문으로 나타났다. RFLP와 DGGE 방법에 의해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가 공통적으로 발견되었으나 전체적인 공생세균의 군집구조는 분석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배양에 의한 방법보다 비배양 방법에서 더 다양한 세균군집구조를 나타내었다.

16S rDNA-RFLP에 의한 Spirastrella abata와 Spirastrella panis 해면에 서식하는 배양가능한 공생세균 군집의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ommunity of Culturable Bacteria Associated with Sponges, Spirastrella abata and Spirastrella panis by 16S rDNA-RFLP)

  • 조현희;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5권2호
    • /
    • pp.155-162
    • /
    • 2009
  • 계통적으로 근연하며 지리적 분포가 유사한 두 종의 Spirastrella 속의 해양 해면, S. panis와 S. abata의 배양 가능한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16S rDNA-RFLP 방법에 의해 분석하였다. 공생세균의 배양은 해면추출물 3%를 포함하는 MA 배지를 사용하였다. 증폭된 16S rDNA의 RFLP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분석을 위한 제한효소로 HaeIII와 MspI을 이용하였으며, 그 결과 24개의 RFLP type을 구별할 수 있었다. 각 패턴별로 1~5개의 분리균주를 선별하여 부분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세균 종과 98.4%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2종의 Spirastrella 해면으로부터 분리된 세균들은 모두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Firmicutes, Actinobacteria 4개의 강(class)에 포함되었다. Alph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 39.3%, S. panis에서 47.6%가 관찰되어 두 해면에서 우점하는 세균 군집이었다. Gammaproteobacteria의 경우 S. abata에서 38.5%로 관찰된 반면 S. panis에서 1.6%의 아주 적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또한 Bacillus (phylum Firmicutes) 종은 S. abata에서 9.7%를 나타낸 반면, S. panis에서는 44.3%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Planococcus maritimus (8.1%, phylum Firmicutes)와 Psychrobacter nivimaris (28.9%, phylum Gammaproteobacteria)는 S. abata에서만 관찰되어 이들은 S. abata에 특이적인 세균 종임을 알 수 있었다. 같은 장소에 서식하는 계통적으로 근연한 두 종의 해면에서 공생세균의 군집 구조는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RFLP와 DGGE에 따른 해면 Spirastrella abata 공생세균의 다양성 비교 (A Comparison of Bacterial Diversity Associated with the Sponge Spirastrella abata Depending on RFLP and DGGE)

  • 정은지;임춘수;박진숙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4호
    • /
    • pp.366-374
    • /
    • 2010
  • 비배양에 근거한 16S rDNA-DGGE fingerprinting 방법을 적용하여 공생세균 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Zobell 배지와 천일염 배지를 사용하여 총 164균주를 선별하였다. 이들 균주로 부터 증폭한 16S rDNA를 제한효소 HaeIII와 MspI을 사용하여 절단한 후 각각의 다른 RFLP 패턴으로 구분하였다. RFLP패턴으로부터 유래한 16S rDNA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염기서열들과 95%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Firmicutes, Bacteroidetes의 4개의 문이 나타났으며 우점 군집은 Alphaproteobacteria였다. 해면에서 분리한 total gDNA로 부터 증폭한 16S rDNA의 DGGE 분석 결과 5개의 DGGE band가 확인 되었고, 각각의 band의 염기서열 분석 결과 알려진 염기서열들과 96% 이상의 유사도를 나타내었으며 band로부터 밝혀진 모든 서열들은 배양되지 않은 세균 클론들과 높은 상동성을 나타내었다. DGGE에 의한 공생세균 군집은 Proteobacteria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 Spirochetes, Chloroflexi로 4개의 문(phylum)으로 나타났다. Spirastrella abata의 공생세균 군집에 대한 RFLP와 DGGE 적용 결과, Alphaproteobacteria, Gammaproteobacteria, Actinobacteria의 공통 세균 그룹이 발견되었으나 전체적인 공생세균 군집구조는 분석 방법에 따른 차이를 나타내었다.

16S rDNA 클론들의 RFLP 비교분석에서 얻어진 Pentachlorophenol의 혐기성 분해에 따른 미생물군집의 변화 (Diversity of Uncultured Microorganisms Associated with the Anaerobic Pentachlorophenol Degradation Estimated by Comparative RELP Analysis of PCR-Amplified 16S rDNA Clones)

  • 성창수;권오섭;박영식
    • 미생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49-156
    • /
    • 1997
  • Pentachlorophenol(PCP)가 첨가된 혐기성 무기배지에 혐기성 소화조슬럿지와 쓰레기 매립장의 침출수를 각각 접종한 후, 활성을 보이기 전과 후의 각 시료 내에 존재하는 총유전물질로부터 16S rRNA 유전자를 PCR 증폭하여 이들에 대한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비교분석과 계통수분석을 실시하였다. 3차에 걸친 RFLP 분석 결과 Ala와 Bld로 명명된 두 가지의 FRLP 유형이 두 가지의 활성시료 모두에서 높은 빈도로 발견되었다. 이들 유형에 속하는 모든 클론들의 5'쪽에 해당되는 180개씩의 염기서열분석을 실시하여 계통수 분석을 실시한 결과, 각각의 유형에 속하는 클론들간에는 높은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Bld 유형에서는 78%에 해당되는 클론들이 동일한 염기서열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들 Ala와 Bld 유형에 속하는 클론들은 PCP에 대한 분해활성의 결과로서 증식된 유사종의 미생물 군집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된다. 이 두 가지 유형에 속하는 클론들 중 하나씩의 16S rDNA 전체으 염기서열을 분석한 결과 Ala의 클론은 Clostridium ultunae (Genbank No. Z69293)의 염기서열과 89%의 상동성을 보였으며, Bld의 클론은 Thermobacteroides proteolyticus (Genbank No. X69335)의 것과 97%의 상동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COI 기반 제한효소 절편 길이 다형성(RFLP)을 이용한 새우젓 분석 (Identification of Salted Opossum Shrimp Using COI-based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 박주현;문수영;강지혜;정명화;김상조;최희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66-72
    • /
    • 2021
  • 국내 유통되고 있는 새우젓은 다양한 작은 새우의 집합체로, 최근 어획량 감소로 인해 국내산 새우젓의 경우 수입산에 비해 두배 이상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에 중국 및 베트남 등으로부터 수입된 새우젓이 국내산으로 둔갑되어 판매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우젓 Acetes japonicus, A. chinensis (Korea, China), A. indicus (I, II), Palaemon gravieri 6종류에 대하여 PCR-RFLP 마커를 개발하였다. 새우젓에서 에탄올로 염을 제거한 후 gDNA를 추출하였고, 새우젓 COI 유전자의 특이 프라이머를 제작, PCR을 진행하여 519 bp의 증폭시켰다. 증폭된 PCR산물의 염기서열분석을 토대로 Acc I, Hinf I 두 가지의 제한효소를 마커로 선정하였고, 전기영동을 통해 결과를 확인하였다. Acc I을 처리한 결과, A. japonicus, A. chinensis (Korea), A. indicus (II)는 272, 247 bp로, P. gravieri는 271, 202, 46 bp, A. chinensis (China), A. indicus (I)는 519 bp로 band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Hinf I을 처리한 결과로는 A. chinensis (Korea, China), P. gravieri는 519 bp로 잘리지 않은 것을 확인한 반면, A. japonicus와 A. indicus (I)는 2 band, A. indicus (II)는 3 band를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위의 결과는 국내산과 수입산이 혼합되어있는 새우젓에 있어 보다 신속한 종판별을 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Species Identification of Five Penaeid Shrimps Using PCR-RFLP and SSCP Analyses of 16S Ribosomal DNA

  • Khamnamtong, Bavornlak;Klinbunga, Sirawut;Menasveta, Piamsak
    • BMB Reports
    • /
    • 제38권4호
    • /
    • pp.491-499
    • /
    • 2005
  • DNA-based molecular markers for differentiation of five penaeid shrimps (Penaeus monodon, P. semisulcatus, Feneropenaeus merguiensis, Litopenaeus vannamei and Marsupenaeus japonicus) were developed based on polymerase chain reaction-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PCR-RFLP) and single-stranded conformation polymorphism (SSCP) of 16S ribosomal (r) DNA. Differentiation of P. monodon, P. semisulcatus and L. vannamei can be unambiguously carried out by PCR-RFLP of 16S $rDNA_{560}$ whereas P. semisulcatus and M. japonicus shared a BABB mitotype. These shrimps were successfully discriminated by SSCP analysis of 16S $rDNA_{560}$. Nevertheless, the amplification success for L. vannamei and F. merguiensis was not consistent when tested against larger sample sizes. As a result, 16S $rDNA_{560}$ of an individual representing the most common mitotype of each species was cloned and sequenced. The new primer pair was designed and tested against the large sample sizes (312 bp product, N = 185). The amplification success was consistent across all species. PCR-RFLP of 16S $rDNA_{312}$ was as effective as that of 16S $rDNA_{560}$. Differentiation of all shrimp species were successfully carried out by SSCP analysis.

RFLP법을 이용한 사상체질의 유전적 분석 연구 (Genetic Analysis study of Sasang Constitution Classification by RFLP)

  • 조동욱;조황성
    • 제3의학
    • /
    • 제2권1호
    • /
    • pp.25-33
    • /
    • 1997
  • In Sasang medicine, humen are classified into four constitutions which are Taeyang, Soyang. Taeum and Soum. Depending on each different constitution, the clinical and pharmacological application for the same disease might be different. In this study, genomic DNA of different constitutions(Taeum, Soyang and Soum) were analyzed by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RFLP) to provide scientific and objective references for Sasang classification. The DNA polymorphism for each constitution detected as differences in the length of DNA fragments, after digestion with restriction enzyme Hae III, was investigated using YNH24 as DNA probe. The allele size of Taeum, Soyang and Soum group detected by YNH24 ranged from 1.3 to 3.8 kb, 1.5 to 3.9 kb and 1.3 to 4.6 kb, respectively. However, the allele size distribution of YNH24 loci of different constitutions was shown to be too variable to be classified as 3 different constitution groups investigated. For further study, it is suggested that the number of each constitution samples for RFLP analysis should be increased and statistical analysis of the allele size distribution should be carried ou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