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A07

검색결과 87건 처리시간 0.026초

흡입화상으로 유발된 만성 기관지염의 태음인 마황정천탕(麻黃定喘湯) 치험 1례 (A Case Report of Inhalation Injury Induced Chronic Bronchitis Treated with Taeeumin Mahwangjeongcheon-tang)

  • 오승윤;곽시라
    • 사상체질의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64-71
    • /
    • 2020
  • Objectives To report an improved case with Taeeumin Mahwangjeongcheon-tang on the patient with chronic bronchitis caused by an inhalation injury. Methods The patient had been suffered from cough, sputum, dyspnea, and chest discomfort for 15 years. He was diagnosed as Taeeumin Esophageal Cold Pattern and was given Mahwangjeongcheon-tang according to Sasang constitutional medical theory. The clinical asthma measurement scale in oriental medicine(CAMSOM-V),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QLQAKA), and Spirometry were performed to evaluate the improvement of his symptoms. Results The clinical asthma measurement scale in oriental medicine(CAMSOM-V) improved from 16 to 14 points and the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 for adult Korean asthmatics(QLQAKA) improved from 55 to 67 points. In spirometry, forced vital capacity improved from 3.07 to 3.59, and forced expiratory volume in 1sec improved from 2.59 to 2.84 after 4 weeks. Conclusion This report suggests that Mahwangjeongcheon-tang is effective for chronic bronchitis.

Elementary school students' awareness of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hatbots i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in South Korea: a descriptive study

  • Kang, Kyung-Ah;Kim, Shin-Jeong;Kang, So Ra
    • Child Health Nursing Research
    • /
    • 제28권4호
    • /
    • pp.291-298
    • /
    • 2022
  • Purpose: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students' awareness of the use of a chatbot (A-uC), a type of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for violence prevention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Methods: The participants comprised 215 students in the fourth to sixth grades in Chuncheon, South Korea, and data were collected via a self-reported questionnaire. Results: The mean A-uC score was 3.43±0.83 out of 5 points. The mean scores for the 4 sub-dimensions of the A-uC tool were 3.48±0.80 for perceived value, 3.44±0.98 for perceived usefulness, 3.63±0.92 for perceived ease of use, and 3.15±1.07 for intention to use.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observed in A-uC scores (F=59.26, p<.001) according to the need for the use of chatbots i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The relationships between intention to use and the other A-uC sub-dimension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perceived value (r=.85, p<.001), perceived usefulness (r=.76, p<.001), and perceived ease of use (r=.64, p<.001).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chatbots can be used in violence preven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산지별 고려엉겅퀴의 Pectolinarin 함량 및 항산화 활성 (Analysis of Pectolinarin Content and Antioxidant activity in Cirsium setidens Nakai by Cultivars)

  • 조봉연;이진하;라문진;김선영;강일준;한경찬;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3호
    • /
    • pp.210-215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고려엉겅퀴를 건강기능식품 소재로 활용시 기초자료 제공하고자 주요 산지별 pectolinarin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라디칼 소거능 및 ORAC 지수 등을 분석하였다. 산지별 고려엉겅퀴의 pectolinarin 함량은 $3.95{\pm}0.05{\sim}7.29{\pm}0.07mg/g$로 강원도 D농장(GW-D)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산지별로 $40.42{\pm}0.91{\sim}76.70{\pm}2.24mg\;PNE/g$ 수준으로 전라남도 A농장(JN-A)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강원도 A농장(GW-A) 추출물에서($40.42{\pm}0.91mg\;PNE/g$)로 가장 낮은 함량을 보였다. DPPH 라디칼 소거능의 경우, 산지별로 31.25% ~ 81.93%의 활성을 보였고, ORAC 지수는 산지별로 $179.62{\sim}514.49{\mu}M\;TE/g$로 강원도 D농장(GW-D)과 강원도 E농장(GW-E)에서 각각 514.49, $501.73{\mu}M\;TE/g$ 으로 가장 높은 ORAC 수치를 나타내었다. 결론적으로 고려엉겅퀴 추출물은 pectolinarin과 유용성분을 함유하고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ORAC 활성 등의 항산화활성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명란젓갈 및 부재료의 미생물 오염도 및 감마선 조사를 이용한 유통안정성 향상 (Microbiological Quality of Myungran Jeotkal and Its Ingredients and Improvement of Shelf-stability by Gamma Irradiation)

  • 김빛나;장애라;송현파;김윤지;고병호;조철훈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606-611
    • /
    • 2008
  • 명란젓갈은 한국 전통 발효 식품중 하나로, 본 연구에서는 명란젓갈의 유통기한 연장방안으로 감마선 조사를 적용하여 미생물학적, 관능적 품질 실험을 행하였다. 명란젓갈과 고춧가루, 생강, 마늘, 복합시즈닝 믹스 등의 부재료에 각각 0, 0.5, 1.0, 2.0 및 5.0 kGy의 선량으로 감마선 조사를 하여 $4^{\circ}C$에서 4주간 저장하며 관찰하였고, 이들의 수분활성도는 각각 0.89, 0.56, 0.98, 0.99 및 0.07 이었다. 명란젓갈의 초기 호기성 세균, 효모 및 곰팡이, 대장균군의 수는 각각 6.7, 4.3, 3.6 log CFU/g 이였으며, 2 kGy 의 감마선 조사 직후 호기성 세균은 4 log cycle,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3 log cycle의 유의적인 감소 경향을 보였다(P<0.05). 5 kGy 감마선 조사시 효모 및 곰팡이와 대장균군은 검출한계($10^1$ CFU/g) 이하 수준으로 감소하였다. 부재료 중 고춧가루에서 5 kGy 감마선 조사 후 일반 호기성 미생물의 경우 5 log cycle 정도 감소하였다. 관능적 품질의 경우 감마선 조사 후에도 종합적 기호도에 있어서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감마선 조사는 명란젓갈의 미생물 제어에 효과적이고 관능적 품질을 유지하며 유통 안정성을 개선시킬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

토양내 제초제의 흡착·탈착 특성 (The Adsorption and Desorption of Herbicides in Soils)

  • 라덕관;박상숙;정재성;김영규;오태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22권6호
    • /
    • pp.1045-1053
    • /
    • 2000
  • 제초제로 사용되는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의 토양내 흡착 탈착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진탕시간, 유기물함량, pH, 온도 등을 변화시키면서 실험을 수행하였다. Sandy loam, silty clay, loam 토양에 대하여 napropamide 및 pendimethalin이 흡착 탈착 평형에 도달되기 위한 진탕시간은 각각 12시간 및 6시간으로 나타났다. 평형흡착 탈착에 도달되었을 때 각 토양에 대한 napropamide의 흡착율 및 탈착율은 각각 23.35%, 31.57%, 25.95% 및 18.42%, 13.42%, 15.89%, pendimethalin은 각각 59.61%, 77.26%, 64.02% 및 3.23%, 2.93%, 3.07%이었다. 등온흡착은 Langmuir식보다는 Freundlich식에 적합하였다. 유기물함량이 2.0% 이상에서의 흡착은 유기물의 영향을 받고, 그 이하에서는 점토의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유기물함량 0.95~7.45(%)의 범위에서 흡착계수($K_{fa}$) 및 탈착 계수($K_{fd}$)는 napropamide의 경우 1.17~2.50 및 5.33~34.06, pendimethalin은 4.74~16.08 및 24.25~134.00로 나타났다. 따라서 유기물은 농약과 흡착친화력이 높기 때문에 유기물함량이 증가하면 흡착율은 증가하고, 탈착율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Napropamide와 pendimethalin은 비이온성 농약이기 때문에 pH 변화로 인한 흡착 탈착경향은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제초제의 흡착율은 온도가 낮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며, 탈착율은 온도가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이것은 실험에 사용된 제초제가 낮은 온도에서는 용해도가 낮지만, 높은 온도에서 용해도가 높기 때문이다.

  • PDF

닥나무 추출물이 함유된 Cosmeceuticals의 제조: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최적화 (Preparation of Cosmeceuticals Containing Broussonetia kazinoki Extracts: Optimization Using Central Composite Design Method)

  • 홍세흠;박보라;이승범
    • 공업화학
    • /
    • 제29권6호
    • /
    • pp.682-689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사용하여 닥나무 추출물을 함유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안정성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을 이용한 유화 최적화 조건으로 계량인자는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로, 반응치는 ESI와 PDI로 설정하였으며 ESI의 목표값은 60% 이상, PDI의 목표값은 최소값으로 하였다. 유화 최적화 결과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는 각각 3.73, 3.07 wt%이었으며, 이때 예상 반응치 ESI는 60%, PDI는 0.585로 산출되었다. 유화제와 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제조한 유화액의 안정성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두 가지의 계량인자 중 ESI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유화제였으며, PDI에 대한 두 인자의 영향은 유사하게 나타났다. 중심합성계획모델의 실험조건으로 제조한 cosmeceuticals 유화액의 ESI는 적어도 약 45% 이상의 안정성을 보였으나 제조 후 4주 뒤에는 모두 분리되었다. 유화제의 농도가 3.72 wt% 이상일 때 ESI의 값은 60% 이상으로 나타났으며, 유화안정제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층 분리 속도는 감소하였다.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을 통한 역량 수준 분석 (Competence Level Analysis Through Maker Program Education)

  • 장현철;노미라;전병덕
    • 한국방사선학회논문지
    • /
    • 제16권6호
    • /
    • pp.807-813
    • /
    • 2022
  •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대학에서는 지식 중심 교육에서 역량 중심의 교육으로 변화되고 있는 가운데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새로운 교육 방법으로 관심을 받고 있다.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을 통해 융합, 창의, 배려, 소통 역량에 대한 수준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구시 소재 S 대학교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방사선과 및 스포츠레저과 재학생 2, 3학년을 대상으로 2022년 5월 2일부터 5월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융합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35 ± 0.78점, 교육 후 4.37 ± 0.61점, 창의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28 ± 0.78점, 교육 후 4.07 ± 0.69점, 배려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71 ± 0.80점, 교육 후 4.25 ± 0.64점, 소통 역량은 메이커 프로그램 교육 전 3.61 ± 0.70점, 교육 후 4.16 ± 0.63점으로 나타났다. 4개 역량 모두 교육 전과 비교 하였을 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 차이가 있었으며, 교육 후 수준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p < 0.05).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융합, 창의, 배려, 소통 역량 함양의 효과를 볼 수 있었다.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은 4차 산업혁명 시대 창의융합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많은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메이커 교육 프로그램이 운영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Randomized clinical trial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wo types of sandblasted with large-grit and acid-etched surface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 Jeon, Jun-Hyung;Kim, Min-Joong;Yun, Pil-Young;Jo, Deuk-Won;Kim, Young-Kyun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Oral and Maxillofacial Surgeons
    • /
    • 제48권4호
    • /
    • pp.225-231
    • /
    • 2022
  •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efficacy and safety of two types of sandblasted with large-grit and acid-etched (SLA) surface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Patients and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based on a clinical record review of 55 patients (mean age, 53.00 years). A total of 80 SLA surface implants was placed. Among the 80 implants, 38 implants placed in 29 subjects had surface roughness (Ra) of 3.09 ㎛ (test group, TG), while the other 42 implants placed in 31 subjects had a surface roughness (Ra) of 2.50 ㎛ (control group, CG). A comparison was made of implant primary/secondary stability; success and survival rates; marginal bone loss; and soft tissue assessment including probing pocket depth (PPD), plaque index (PI), gingival index (GI), and bleeding on probing (BOP) between the groups at 1 year after implant placement. Results: Among the implants that were initially registered, 1 from the TG and 4 from the CG dropped out, leaving 37 implants in the TG and 38 implants in the CG to be traced and analyzed. Although 1 TG case showed unstable primary stability, all cases showed stable secondary stability. Success and survival rates at 1 year after implant placement were 100% in both groups. Marginal bone loss was 0.07 mm and 0.00 mm for the TG and CG, respectively, but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Among the several parameters for evaluation of soft tissue, the TG showed lower PI at 1 year after implant placement (TG=0.00, CG=0.29; P=0.0004), while the remaining categories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shows that the two types of SLA implants with different surface roughness have no difference in efficacy or safety. Therefore, both of the implants can be used safely and with promising outcomes.

우사깔짚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 배출량 산정: 모의 실험결과 (Emission Rate of Greenhouse Gases from Bedding Materials of Cowshed Floor: Lab-scale simulation study)

  • 조원실;이진의;박규현;김정대;라창식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55권1호
    • /
    • pp.67-74
    • /
    • 2013
  • 우사바닥깔짚으로부터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산정하기 위해 깔짚으로의 분뇨부하량을 정확히 조절할 수 있는 모의우사바닥에서의 깔짚두께별 $CH_4$$N_2O$ 가스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톱밥이 10, 15cm 높이로 깔린 $0.2583m^2$(L 0.63 m${\times}$W 0.41 m) 크기의 우사바닥으로의 한우와 젖소의 분뇨부하는 친환경 축사표준모델의 축사면적과 축종별 일일 분뇨배설량 자료를 기준으로 한우는 $1.586kg/m^2/d$, 젖소는 $3.588kg/m^2/d$로 정하고 24시간 주기로 분뇨를 투입/혼합하면서 깔짚으로부터 발생하는 온실가스 발생량을 조사하였다. 총 12개의 모의우사바닥을 이용하여 모든 실험은 3반복으로 3회에 걸쳐 수행되었다(5~7월, 9~11월, 2~4월). 그 결과 단위면적당 $CH_4$ 발생량은 한우, 젖소 모두에서 깔짚이 두꺼운 경우 적게 발생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p<0.05), $N_2O$ 발생량의 경우에도 깔짚두께에 따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우와 젖소를 비교할 때 단위면적당 온실가스 발생량은 젖소가 $CH_4$는 약 7.5배, $N_2O$는 약 1.2배 많았으며 연간 배출되는 $CH_4$는 한우 7.4 g/head/year, 젖소 130.4 g/head/year로 젖소가 한우에 비해 21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N_2O$는 한우 3,267 g/head/year, 젖소 14,719 g/head/year로 젖소가 약 4.5 배 많았으나 배설된 N 대비 $N_2O$-N은 한우 0.2148 kg $N_2O$-N/kg N, 젖소 0.1632 kg $N_2O$-N/kg N으로 오히려 한우가 높았으며 IPCC 2006 GL값 0.07 kg $N_2O$-N/kg N과 비교시 한우는 약 3.07배, 젖소는 약 2.33배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복숭아 꽃과 가지 첨가 유무에 따른 도화주의 품질 특성 비교 (Comparison of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hwaju Fermented with or without Peach Flowers and Branches)

  • 박지혜;여수환;정석태;김소라;최한석;강지은;최지호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2권5호
    • /
    • pp.649-656
    • /
    • 2012
  • We investigate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dohwaju (fermented with peach flowers and branches, a Korean traditional alcoholic beverage) containing different sub-ingredients. During fermentation, the inner temperatures of the added sub-ingredient treatments were higher compared to non-treatment, and only peach branches treatment. showed the highest inner temperature.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hysicochemical results among the treatments. pH decreased from the first mashing day to the second and then increased slightly until fermentation was terminated. Total acidities showed opposite patterns as compared to pH level. Amino acid contents, soluble solids, and alcohol contents increased steadily until the end of fermentation, whereas reducing sugar contents showed the opposite trend. In a preference survey, DB (only peach branches)-treated dowhaju showed the highest evaluation in terms of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with walues of $5.07{\pm}1.38$ and $5.57{\pm}1.16$, resp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oncluded that only peach branches treatment is optimal for the manufacture of dowhaju. We expect that the quality of dowhaju can be improved by providing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its manufa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