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9

검색결과 12,835건 처리시간 0.039초

덜꿩나무(Viburnum erosum)줄기로부터 이차대사산물의 분리 및 동정 (Identification of Secondary Metabolites from the Stems of Viburnum erosum)

  • 인서지;서경화;송나영;송명종;백남인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7권2호
    • /
    • pp.165-170
    • /
    • 2014
  • 덜꿩나무(Viburnum erosum) 줄기를 실온에서 80% MeOH 수용액으로 추출하고 농축하였다. 이 추출물을 EtOAC, n-BuOH, 및 $H_2O$ 분획으로 나누었다. 이 중 EtOAc및 n-BuOH 분획에 대하여 $SiO_2$, ODS 및 Sephadex LH-20 column chromatography를 반복 수행하여 4종의 화합물을 분리, 정제하였다. 분리한 화합물의 구조는 NMR, IR, 및 MS data를 해석하여, betulinic aldehyde (1), koaburside (2), (6R,7E,9R)-9-hydroxymegastigma-4,7-dien-3-one-9-O-${\beta}$-D-glucopyranoside (3), 그리고 byzantionoside B (4)로 구조를 결정하였다. 분리된 화합물 모두 덜꿩나무에서는 처음으로 분리되었다.

돼지 액상정액의 정자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 (Effect on Fertilizing Capacity According to Sperm Concentration of Liquid Boar Semen)

  • 김인철;이장희;김현종;최동윤;손동수;박창식
    • 한국가축번식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333-335
    • /
    • 1999
  • 본 연구는 돼지 액상정액의 주입농도가 번식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1회 주입 정자수를 80$m\ell$ 병당 3.0$\times$$10^{9}$ , 2.5$\times$$10^{9}$ 2.0$\times$$10^{9}$$1.5\times$$10^{9}$ 으로 구분하여 인공 수정한 결과 주입 정자 농도가 $1.5\times$$10^{9}$ 일 경우 분만율 82.2%, 총산자수 10.9두로 나타났으며 처리별 농도간에 통계적인 유의차가 없었다. 또한 1회 적정 주입 정자농도를 추정한 결과 2.0~2.3$\times$$10^{9}$ 으로 나타났다.

  • PDF

옥수수 R-mb 유전자의 유전분석과 그의 구조 (Genetic and molecular analysis of the R-mb gene from maize)

  • 윤필용;유삼규;송원용;윤충효;임용표
    • 식물조직배양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61-165
    • /
    • 1997
  • 옥수수의 색소합성을 조절하는 pattern allele의 하나인 R-mb유전자의 구조와 유전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R-mb 유전자의 유전분석을 수행한 결과를 검토하여 볼 때 후대로 진행됨에 따라 색소 발현빈도_의 감소경향을 보이고 있었다. 또한 R-mb 유전자가 몇 개의 R subcomplex로 존재하는가를 알기 위해서는 우선 R specific probe인 pR-nj:1를 이용하여 Southern blot hybridization을 실시한 결과 약 3.9kb 및 약 7.75kb영역에서 2개의 band가 관찰되었다. R-mb 유전자를 클로닝하기 위하여 λFIXIIvector를 이용하여 library를 만들고 이로부터 mb-II, III, V, Ⅵ, Ⅶ 등 5개의 clone을 3차의 screen을 거쳐 확보하고 이중 mb-II 및 mb-Ⅵ를 중심으로 제한효소지도를 작성하였으며, 이 유전자의 구조와 기타 R locus관련 유전자들과 비교하였으며, 이러한 두 개의 R 요소가 어떻게 색소발현에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에 검토하였다.

  • PDF

장티푸스의 혈청학적 진단을 위한 Vi-수동혈구응집법, SD$^{(R)}$ Kit 및 Widal 시험에 대한 효용성 평가 (Evaluation of Vi-Passive Hemagglutination, SD$^{(R)}$ Kit, and Widal Test for Serological Diagnosis of Typhoid Fever)

  • 김성훈;김석호;이덕용;이에스더;박미선;이복권
    • 미생물학회지
    • /
    • 제46권2호
    • /
    • pp.219-222
    • /
    • 2010
  • 본 연구는 장티푸스 환자에 대한 혈청학적 시험법인 Vi-PHA, $SD^{(R)}$ kit, Widal 시험(O & H)에 대하여 평가를 위해 수행하였다. 2005년부터 2006년까지 수집된 36건의 혈청검체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9건은 배양검사를 통하여 장티푸스균이 검출된 확진환자의(Typhoid fever) 검체이며, 27건은 비장티푸스성 열성환자의(Non-typhoid fever) 검체이다. 시험결과 Vi-PHA는 환자 혈청 9건 중 양성 8건으로 민감도 88.9% (P<0.001; Fisher's exact test), 비장티푸스성 열성환자 27건 중 1건이 양성을 보여 특이도 96.3%로 나타났다. $SD^{(R)}$ kit는 민감도 100% (P<0.001), 특이도 92.6%로 나타났다. Widal (O & H) 시험의 민감도는 각각 88.9% (P=0.001), 100% (P<0.001), 특이도는 77.8%, 70.4%로 나타났다. 민감도는 $SD^{(R)}$ kit와 Widal H 검사법이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특이도는 Vi-PHA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장티푸스의 효과적인 혈청학적 진단을 위하여 급성 또는 유행지역에서는 특이도가 높은 Vi-PHA로 검사를 수행하고, 장티푸스 비 유행지역과 고위험군에 대하여는 민감도가 높은 Widal H와 $SD^{(R)}$ kit를 적용하는 것이 진단의 유의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Ultrastructure of the flagellar apparatus in Rhodomonas salina (Cryptophyceae, Cryptophyta)

  • Nam, Seung Won;Jo, Bok Yeon;Shin, Woongghi
    • 환경생물
    • /
    • 제38권2호
    • /
    • pp.278-288
    • /
    • 2020
  • Rhodomonas salina is a phototrophic marine flagellate. We examined the ultrastructure of R. salina with particular attention to the flagellar apparatus by transmission electron microscopy and compared it with that of other cryptomonads reported previously. The major components of the flagellar apparatus in R. salina were a keeled rhizostyle (Rhs), a striated fibrous root(SR), a SR-associated microtubular root (SRm), a mitochondrion-associated lamella (ML), and three types of microtubular roots (9r, 4r, and 2r). The keeled Rhs originated near the proximal end of the dorsal basal body, passed near the nucleus and dissociated at the posterior end of the cell. The SR and SRm originated between two basal bodies and laterally extended to the right side of the cell. The ML originated between two basal bodies and extended to the left side of the cell. The 9r originated between the ventral basal body and the Rhs and extended toward the anterior dorsal lobe of the cell. The 4r originated near the 9r and extended toward the dorsal lobe with the 2r, which originated between two basal bodies. Here, the flagellar apparatus in R. salina is described, and the ultrastructure of the flagellar apparatus is compared among cryptomonad species.

Phytochemical Constituents of the Leaves of Hosta longipes

  • Kim, Chung Sub;Kim, Ki Hyun;Lee, Kang Ro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20권2호
    • /
    • pp.86-90
    • /
    • 2014
  • Phytochemical investigation of the 80% MeOH extract from the leaves of Hosta longipes resulted in the isolation of sixteen compounds (1 - 16). The structures of the compounds were elucidated by spectroscopic methods to be methyl 10,10-dimethoxydecanoate (1), methyl 10-hydroxy-8E,12Z-octadecadienoate (2), methyl coriolate (3), trans-phytol (4), phytene-1,2-diol (5), phyton (6), (3S,5R,6S,7E,9R)-7-megastigmene-3,6,9-triol (7), (3S,5R,6S,9R)-3,6,9-trihydroxymegastigman-7-ene (8), shikimic acid (9), p-coumaramide (10), trans-N-p-coumaroyltyramine (11), cis-N-coumaroyltyramine (12), tryptophan (13), thymidine (14), adenosine (15), and deoxyadenosine (16). Compound 1 was synthesized, but not yet isolated from natural source, and compounds 2-16 were isolated for the first time from this plant source.

수평관내 R-290과 R-600a의 증발 열전달 특성 (Evaporation kent transfer characteristics of R-290 and R-600a in the horizontal tubes)

  • 손창효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9권2호
    • /
    • pp.264-269
    • /
    • 2008
  • 본 논문은 수평 이중관식 열교환기 내 프레온계 냉매의 대체냉매인 탄화수소계 냉매(R-290과 R-600a)의 증발 열전달 계수에 대한 실험적 결과를 나타내었다. 증발기의 내관 내경은 각각 10.07 mm와 6.54 mm의 2가지를 사용하였다. 증발실험은 질량유속 $35.5{\sim}210.4\;kg/m^2s$이고, 냉각용량 $0.95{\sim}10.1\;kW$인 조건에서 수행하였다. 실험결과를 요약하면, 탄화수소계 냉매 R-290과 R-600a의 증발 열전달 계수가 프레온계 냉매 R-22보다 높았다. 즉, R-22의 증발 열전달 계수에 비해, R-290와 R600a는 각각 $56.7{\sim}70.1%$$46.9{\sim}59.7%$ 정도 높았다. 실험데이터와 종래의 상관식을 비교한 결과, 모든 냉매와 관경에 대해서 Kandlikar상관식이 가장 좋은 일치를 보였다.

Analysis of Process Parameters to Improve On-Chip Linewidth Variation

  • Jang, Yun-Kyeong;Lee, Doo-Youl;Lee, Sung-Woo;Lee, Eun-Mi;Choi, Soo-Han;Kang, Yool;Yeo, Gi-Sung;Woo, Sang-Gyun;Cho, Han-Ku;Park, Jong-Rak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4권2호
    • /
    • pp.100-105
    • /
    • 2004
  •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OPC (optical proximity correction) results are quantitatively analyzed using OPCed L/S patterns. ${\sigma}$ values of proximity variations are measured to be 9.3 nm and 15.2 nm for PR-A and PR-B, respectively. The effect of post exposure bake condition is assessed. 16.2 nm and 13.8 nm of variations are observed. Proximity variations of 11.6 nm and 15.2 nm are measured by changing the illumination condition. In order not to seriously deteriorate the OPC, these factors should be fixed after the OPC rules are extracted. Proximity variations of 11.4, 13.9, and 15.2 nm are observed for the mask mean-to-targets of 0, 2 and 4 nm, respectively. The decrease the OPC grid size from 1 nm to 0.5 nm enhances the correction resolution and the OCV is reduced from 14.6 nm to 11.4 nm. The enhancement amount of proximity variations are 9.2 nm corresponding to 39% improvement. The critical dimension (CD) uniformity improvement for adopting the small grid size is confirmed by measuring the CD uniformity on real SRAM pattern. CD uniformities are measured 9.9 nm and 8.7 nm for grid size of 1 nm and 0.5 nm, respectively. 22% improvement of the CD uniformity is achieved. The decrease of OPC grid size is shown to improve not only the proximity correction, but also the uniform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