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planning process

검색결과 180건 처리시간 0.031초

신규 R&D 기획 프로세스에 관한 주체별 비교연구 (A Comparative Study by Subject on the New R&D Planning Process)

  • 배준희;박정규
    • 자원환경지질
    • /
    • 제52권3호
    • /
    • pp.243-250
    • /
    • 2019
  • 본 연구는 정부의 R&D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한국지질자원연구원에서 수립된 KIGAM R&D 기획 프로세스의 한계점으로 지적된 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시작하였다. 기존 연구 문헌을 통해서 다양한 R&D 기획 프로세스에 대해 알아보았고, 인터뷰를 통해 각 기관별 특성 및 신규 R&D 기획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그 결과 환경분석, 수요발굴방법, 과제 구성 및 선정방법 세 가지 측면에서 결론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환경분석의 경우 전체적인 Mega Trend 분석을 하면서 기술 시장 별 Trend 분석을 강화해야 하고, 수요발굴방법의 경우 도전적이고 구체적인 목표 설정을 통해 수요를 찾아내야 한다. 또한 과제 구성 및 선정의 경우 융합연구과제, 중소기업지원, 자원분석, 장기과제 선정 등 여러 가지 시사점을 도출 할 수 있었다. 도출 된 시사점은 향후 한국지질자원연구원의 신규 R&D 기획 프로세스에 사용될 것이다.

연구개발(R&D)과제 기획에서의 산업·기술정보 활용방안 (A Study on a Method to Use Industrial and Technical Information in Process of R&D Project Planning)

  • 김용;한희정;이균형;이윤석;안승권
    • 정보관리연구
    • /
    • 제43권4호
    • /
    • pp.69-96
    • /
    • 2012
  • 특허와 같은 지적재산권, 과학데이터와 같은 1차 정보 등의 산업기술정보에 대한 동향 및 발전방향에 대한 명확한 분석을 기반으로 실질적인 R&D 과제기획에서 산업기술정보의 활용은 R&D 과제에 투여되는 예산 및 기회비용의 절감을 위한 중요한 기반이 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연구개발기획과정에서 산업기술정보의 수집 및 분석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고 이를 활용하는 방안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획의 정의 및 필요성을 알아보고, 연구과제 기획을 위한 산업기술정보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다음으로 연구개발 기획과정에서 이러한 산업기술정보 활용의 중요성에 대해 분석하고, 이를 이용해 성공한 국내외 사례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마지막으로 연구기획을 위해 활용되는 산업기술정보 분석기법을 분석하고, 연구기획을 위해 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에 대해 제안하고자 한다.

국가 R&D 사업의 계획단계 강화를 위한 분석 및 제언 (Suggestions on How to Improving Planning Process for Governmental R&D Projects)

  • 박승욱;홍진원;김미화
    • 벤처창업연구
    • /
    • 제5권3호
    • /
    • pp.1-25
    • /
    • 2010
  • 최근 국가 R&D에 투입되는 예산이 증가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국가 또는 산업 전반에 큰 파급력을 가지는 괄목할만한 성과의 창출은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그 이유 중 하나는 국가 R&D 프로젝트의 계획단계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대규모 R&D 사업단의 사례 연구, 해외 국가 R&D 관리 동향과 주요 R&D 관리 기법들에 대한 분석을 통해 국가 R&D 기획을 강화시키기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가 R&D 계획 체계를 개선하는 데 있어 중요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PDF

전략적 유연성을 고려한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성 평가: 이론 및 사례 분석 (Economic Valuation of R&D Programs with Strategic Flexibility)

  • 황석원;정종욱
    • 기술혁신연구
    • /
    • 제14권3호
    • /
    • pp.237-261
    • /
    • 2006
  • Under circumstances with increasing uncertainty, strategic flexibility has become an essential point on which my R&D management system should be based. Unfortunately the present R&D management system for government sponsored R&D programs cannot be said to be so flexible to adapt appropriately to various threatens such as technological failure, a severe change in competition environment, and so on. In this paper a new scheme for R&D planning and economic assessment with strategic flexibility is suggested and applied to a real R&D program. In the newly suggested R&D management system, economic valuation based on real option theory is performed for various alternative scenarios which have different strategic scheme for R&D process each and the result of the assessment is fed back to R&D planning to choose more superior strategic scheme. Introducing strategic flexibility into R&D planning and economic assessment, the value of R&D project could be remarkably enhanced.

  • PDF

사례를 통한 지식서비스 R&D 관리개선 연구 : 마케팅인텔리전스솔루션 기술개발 R&D 사례를 통해서 (A Study on Knowledge Service R&D Management Process Innovation : Through Marketing Intelligence Solution Development Case)

  • 김현수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0권4호
    • /
    • pp.295-307
    • /
    • 2011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a better knowledge service R&D management process. There are four basic characteristics in service : intangibility, inseparability, inconsistency, and no inventory. These intrinsic characteristics require us to change the traditional manufacturing sector based R&D management proc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 effective knowledge service R&D management model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service industry and Korean economy. A model case knowledge service R&D has been performed to find a better R&D management model. The whole cycle of R&D process, such as planning, selection, performing, and evaluation has been reviewed by real experience. Several important aspects of R&D process are compared between manufacturing R&D and service R&D. A knowledge service R&D management framework has been suggested.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can be used for building a better service R&D management process.

정부기술개발사업 과제기획과정에 있어 산업분석의 역할과 의미 -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Industry Quantitative Analysis in the Process of National R&D Project Planning)

  • 김봉균;박송동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3호
    • /
    • pp.459-470
    • /
    • 2010
  • 본 연구는 에너지기술개발사업의 과제 기획 결과 자료를 활용하여 정부의 기술개발사업의 과제 기획 과정에서 산업분석이 지원 대상 기술 개발 과제 선정에 미치는 영향과 의미를 알아보고, 효과적인 산업분석 방안을 제안하였다. 실증 분석 결과, 기획 과제 선정에서는 R&D 효율성과 R&D 지원 필요성이 감안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어 기획 과제의 선정 과정에서 산업의 요구를 상당히 반영되고 있었다. 그러나 Supply Chain 공백 정도나 Supply Chain 완성 기여도, 그리고 대외수지 개선 기여도는 과제선정에 잘 반영되지 못하였다. 즉, 지속적인 대외 교역 수지 개선과 에너지 산업의 수입 의존적 발전의 개선 필요성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기획 과제의 선정 과정에서는 해당 기획 과제가 소속된 Supply Chain의 완성 상태에 대한 고려와 수입 대체 및 수출 산업화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였다. 따라서 정부 기술개발사업에서는 R&D 지원이 보다 효율화될 수 있도록 보다 세밀한 산업 분석을 통해 산업의 R&D 수요를 정확히 파악하고 그 R&D 수요를 잘 충족시킬 수 있도록 기술 개발 기획이 이루어질 필요가 있으며, 더욱 체계화된 Supply chain 분석과 활용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전략기획에 대한 사례 연구 -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기획의 관점에서 (A Case Study on Strategic Planning in NASA In the Perspective of Strategic Planning in Publicly funded R&D Organizations)

  • 권기석;이규현
    • 과학기술학연구
    • /
    • 제4권2호
    • /
    • pp.103-127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미 항공우주국 (NASA)의 전략기획을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기획이란 관점에 의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전략경영과 전략기획에 대한 일반적인 논의, 공공부문에서의 적용, 연구개발조직의 특성 등을 고려하여 공공 연구개발 조직의 전략경영 및 전략기획의 분석틀을 제시해 보았다. 그리고 구성된 틀에 의하여 미항공우주국과 산하 연구소인 고다드 우주비행 센터의 전략기획 과정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이에 의하면 공공연구개발 조직에서 전략기획을 수행함에 있어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첫째, 민간부문의 전략기획 과정과 공공부문의 전략기획 과정의 차이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둘째, 전략의 수립과정에 있어 기관과 외부의 이해관계자와의 관계에 대한 논의가 있어야 한다. 셋째, 연구개발의 사회경제적 효과의 확인과 측정, 그것의 기관 목표설정으로의 환류방안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전략기획이 조직 내에서 실질적인 효과를 가지려면 경영목표, 예산, 기관평가 등 기존의 기관 운영시스템과 긴밀하게 연결되어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점들이 잘 고려되어 도입에 성공한다면, 연구개발기관의 고유 임무 특성에 맞는 운영과 평가가 가능해 질 것이다. 향후 보다 적실성 있는 연구결과를 위해서는 실제 공공연구개발기관의 전략경영 과정에 대한 심도 있는 연구와 성과지표 등에 대한 유형별 분석이 필요하다. 이러한 과정에서 실제 관련 실행 사례의 현황과 문제점에 대한 분석을 축적함으로써 다양한 시사점들이 종합되어야 할 것이다.

  • PDF

CIPP모형을 활용한 R&D과제기획 선정평가 도구 개발 연구 : K연구원 중심으로 (A Study on R&D Project Planning Selection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CIPP model)

  • 민현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31권3호
    • /
    • pp.171-199
    • /
    • 2023
  • 본 연구는 K연구원의 상향식 R&D과제기획 차원의 신규 연구기획과제 선정평가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CIPP모형과 연구기획평가를 위한 선정평가 및 평가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R&D과제기획 선정평가 항목과 문항을 개발 한 후,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는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타당도, 합의도 및 수렴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선정된 R&D과제기획 선정평가 도구는 8개 항목에 총 21개 문항으로, 상황평가 5 문항, 투입평가 2문항, 과정평가 8문항, 산출평가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평가 도구는 상향식 기획 과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연구자들의 기획역량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선정평가 시 평가에 대한 일관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연구개발(R&D) 프로젝트의 효과적 관리를 위한 과정모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ject Process Management System (PPMS)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R&D projects)

  • 김홍범
    • 경영과학
    • /
    • 제12권3호
    • /
    • pp.45-60
    • /
    • 1995
  • This study examines a normative model of project management systems, PPMS, to provide information for directing R&D activity in order to increase R&D productivity. The PPMS (Project Process Management System) is a disciplined and systematic framework to manage R&D projects effectively and efficiently under the assumption of a strategic decision making and long-range planning. The purpose of PPMS is to provide for the management of research organization at different levels an effective management tool; first, for the planning system which deals with rational selection and authorization of R&D projects, second, for the control system which concerns monitoring and controlling the execution of R&D projects, and finally, for the evaluation system which attains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results of R&D projects and determination of the necessary follow-up. A view for the future development of project management within the context of a project-performing organization is also elaborated to exhibit the progress and phase description of the project management system.

  • PDF

효율적 국가 R&D 기획을 위한 e-TRM 시스템 구축 (Building an e-TRM System to Increase the Efficiency of National R&D Planning)

  • 김갑수;박의석;이성주;임병혁
    • 산업공학
    • /
    • 제23권4호
    • /
    • pp.264-274
    • /
    • 2010
  • The potential of roadmapping systems in updating, maintaining and sharing technology roadmaps has been argued in many articles but the systems have not been dealt with as a research topic. Therefore, this research purposes to develop an online roadmapping system, which is called an e-TRM system,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roadmapping at the national level in Korea. For the purpose, the roadmapping process for national R&D planning and its main activities were analyzed, based on which system requirements and main functions were identified. After the functions were successfully implemented in the TRM system, the system was applied to the 2009 national roadmapping process to verify its feasibility and utility. The system will enable to digitalize R&D planning in Korea and share the planning results nationwide. Also, the research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useful guidelines for those who are in charge of developing TRM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