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R&D Project Planning Selection Evaluation Indicators based on CIPP model

CIPP모형을 활용한 R&D과제기획 선정평가 도구 개발 연구 : K연구원 중심으로

  • 민현구 (중부대학교 경영학전공 )
  • Received : 2023.04.18
  • Accepted : 2023.07.17
  • Published : 2023.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tool for selecting new projects for R&D project planning level of K Research Institute. For this purpose, items and questions for R&D project selection evaluation were developed based on the CIPP model and previous studies on selection evaluation and evaluation indicators for research project evaluation, and then two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was surveyed by 13 experts to verify contents validity ratio, convergence and consensus. The finally selected evaluation tool for R&D project planning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8 items, including 5 questions for context evaluation, 2 questions for input evaluation, 8 questions for process evaluation, and 6 questions for product evaluation. The evaluation tool developed will contribute to the solution of problems in the bottom-up planning process and to the improvement of the planning competence of the researchers. It will also contribute to improve the consistency and efficiency of evaluation during the selection process.

본 연구는 K연구원의 상향식 R&D과제기획 차원의 신규 연구기획과제 선정평가를 위한 평가도구 개발에 목적을 두고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CIPP모형과 연구기획평가를 위한 선정평가 및 평가지표에 관한 선행연구를 중심으로 R&D과제기획 선정평가 항목과 문항을 개발 한 후, 2회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개발된 평가도구는 13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내용타당도, 합의도 및 수렴도를 검증하였다. 최종 선정된 R&D과제기획 선정평가 도구는 8개 항목에 총 21개 문항으로, 상황평가 5 문항, 투입평가 2문항, 과정평가 8문항, 산출평가 6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개발된 평가 도구는 상향식 기획 과정상의 문제점을 해소하고 연구자들의 기획역량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것이다. 또한, 선정평가 시 평가에 대한 일관성과 효율성 제고에 기여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현규 (2016),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기획과 사전평가를 위한 논리모형의 활용」,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 공경수(2019), 「과학기술분야 출연(연)의 주요사업비 관리 효율화 방안 연구」,서울: 날리지웍스.
  3. 고용수 (2015), 「R&D의 혁신지향성 강화를 위한 새로운 평가방법 모색 : 발전적 평가(Development Evaluation)를 중심으로」,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4. 김갑수 (2002), 「연구기획시스템의 Best Practice 모형에 관한 연구」, 세종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5. 김다래.염시창 (2017), "CIPP 평가모형에 기반한 대학생 튜터링 프로그램 평가도구 개발", 「교육 연구」, 39권, 제2호, pp.63-84.
  6. 김동엽.이삼열. (2011). "프로그램논리모형의 개념과 유형화에 관한 소고" 「한국정책학회보」, 제20권, 제1호, pp.269-301.
  7. 김일권.이병철.김소연.손동희 (2020). 「국가R&D사업의 과제기획 선정평가 체계 분석」, 서울: 국회예산정책처.
  8. 김용.한희정.이균형.이윤석.안승권 (2012). "연구개발(R&D)과제 기획에서의 산업.기술정보 활용 방안". 정보관리연구, 제43권, 제4호, pp.69-96.
  9. 류동현 (2011), "국가 IT R&D 전략과제 선정을 위한 스마일 포트폴리오 모형", 국내박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대학원.
  10. 박노언.정미진 (2018), 「중소규모 정부R&D 신규 사업의 사전 검토 분석방법 고도화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1. 박상욱(2020), 「과기정통부 기관평가 제도 개편에 따른 평가 적용 방안 연구」, 서울:서울대학교.
  12. 박영순.천경희.송영명 (2017), "CIPP 평가 모형에 기반 한 대학의 생애단계별 교수개발 프로그램 평가 도구 개발", 「교육학연구」, 제55권, 제3호, pp.203-229.
  13. 박윤희. (2015). "논리모델에 근거한 중소기업 핵심직무능력향상 지원사업의 성과 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제47권, 제4호, pp.99-126.
  14. 배준희.박정규 (2019), "신규 R&D 기획 프로세스에 관한 주체별 비교연구", 「자원환경지질」, 제52권, 제3호, pp.243-250.
  15. 서지영.이민영.안형준.김지선 (2018), 「과학기술계 정부출연연구기관 기술정책 기능 강화 방안」,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16. 오철호 (2020). "프로그램논리모형(이론기반 평가) 제대로 읽기", 「정책분석평가학회보」, 제30권, 제3호, pp.1-15.
  17. 오하나.오세형.박양수.한상배 (2019). "정부 신약개발지원사업 선정 평가지표 적절성 분석연구", 「정책개발연구」, 제19권, 제2호, pp.41-73.
  18. 이도형 (2010), 「국가연구개발사업 유형별 성과평가 논리모형 개발에 관한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19. 이병민 (2011), "연구기획 및 연구우선순위 평가기법." 한국기술혁신학회 2011년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p.230-245.
  20. 이석민. (2011), "프로그램논리모형의 적용과 사용에 관한 연구"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18호, 제1호, pp.211-242.
  21. 이윤빈.윤지웅 (2014). "대형 R&D사업 사전평가에서의 위험요인에 대한 인식 분석", 「기술혁신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89-308.
  22. 이종성 (2001), 「연구방법 21 : 델파이 방법」, 서울 : 교육과학사
  23. 이종원 (2017). 정부출연연구기관 주요사업 연구기획 강화를 위한 예비타당성조사 사업 메타분석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445-453.
  24. 이창희.박경순 (2011), "논리모형을 통한 현장중심 직업교육 프로그램의 분석", 「재활복지」, 제15권, 제2호, pp.75-98.
  25. 임현.한민규 (2014), 「R&D사업 예비타당성조사 기반 강화를 위한 미국 R&D 프로그램 기획 사례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6. 장안서. (2022). "CIPP 모형에 기반한 장애인 평생교육사업 평가지표 개발 연구 -델파이 조사-", 「평생교육.HRD연구」, 제18권, 제4호, pp.23-45.
  27. 정근하 (2010), 「국가 과학기술적 목표의 효율적 달성을 위한 과학기술기획에 관한 연구」, 충북: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8. 정선정.이문수 (2019), "직업훈련 심사평가 변천과 사례 및 효과에 관한 연구", 「직업교육연구」, 제38권, 제6호, pp.137-187.
  29. 최광학.조근태 (2007), "기업의 연구개발과제 선정평가 모델에 관한 사례 연구", 「산업공학」 제20호, 제3권, pp.376-386.
  30. 최정민.이동명 (2017). "중소기업지원 국가연구개발사업 선정평가지표에 관한 연구 -해양중소벤 처지원사업을 중심으로-". 「해양정책연구」, 제32권, 제2호, pp.169-189.
  31. 홍사균 (1997),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기획체계 및 방법에 관한 조사연구」, 세종: 과학기술정책연구원. 
  32.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nel Psychology, Vol. 28, No. 4, pp. 563-575.
  33. Renger, R. and C. Hurley (2006), "From theory to practice: Lessons learned in the application of the ATM approach to developing logic models". American Journal of Evaluation, Vol. 29, No. 2, pp. 106-119.
  34. Stufflebeam, D. L. (1997), Educational evaluation and decision making. Ithaca, Illinois: Peacock.
  35. Stufflebeam, D. L. and A. J. Shinkfield (2007). Evaluation theory, models and applications, San Francisco: Jossey-Bass.
  36. WKKF(W. K. Kellogg Foundation) (2004), Logic Model Development Gui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