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R&D Status

검색결과 836건 처리시간 0.024초

선도적 R&D 기획을 위한 기술로드맵 및 미래 유망기술 탐색 동향 (Trends in Technology Roadmap and Exploration of Emerging Technologies for Leading R&D Planning)

  • 최윤호;김기덕;정형석
    • 전자통신동향분석
    • /
    • 제39권2호
    • /
    • pp.93-102
    • /
    • 2024
  • As the scale of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creases, countries and companies are consistently establishing R&D directions to meet strategic goals and market demands as well as roadmaps to increase efficiency through concentration and selection. However, establishing an effective roadmap and discovering promising technologies are challenging under the current numerous technological possibilities and uncertainties. The importance of discovering promising technologies to secure future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is recognized worldwide, and Europe, the United States, and Japan are establishing processes to identify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and support related R&D. Methods for discovering promising future technologies can be classified into future social needs analysis, forecasting, surveys, use of expert opinions, and data analysis. We describe the types and limitations of technology roadmaps and investigate the status of domestic and foreign organizations using weak signal search through quantitative data analysis.

한.미.일 국가 R&D정보 구축현황 비교분석 (Comparative Analysis of R&D Information Status: Korea, US, and Japan)

  • 오한석
    •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
    • 제42권3호
    • /
    • pp.207-231
    • /
    • 2008
  • 과학기술분야의 국내외 전문정보 제공기관들은 최신의 다양한 과학기술정보, 연구동향정보 등의 수집과 분석,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개랄, 보유정보의 유효성 확대 및 이용자 중심의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 등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하여 지속적인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NTIS), 미국(NTIS), 일본(JST) 등 3개국의 대표적인 국가 R&D 정보시스템 구축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현재 운영중인 시스템을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개선사항을 도출 제시함으로써 국가 R&D 정보의 이상적인 구축체계 확립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국가 R&D 성과평가 및 예산 연계를 위한 프로세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ocess Improvement for Interoperability between National R&D Performance Evaluation and Budget Planning)

  • 이준;김재수;국윤규
    • 기술혁신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44-67
    • /
    • 2010
  • 국가 R&D사업은 적절한 예산 규모 산정이 어렵기 때문에 참고 가능한 해당 사업의 성과 및 평가정보가 적시에 지원될 경우 판단의 오류를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그러나 현실적으로는 국가 R&D사업에 대한 성과평가 결과가 의도한 대로 충분히 활용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인데, 그 이유로는 크게 두 가지 문제점을 들 수 있다. 첫째, 국가 R&D사업의 성과 및 평가 정보와 관련 예산정보가 적시에 연계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둘째, 이를 지원하는 시스템간의 연계가 구현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 R&D사업의 현황 분석을 신정부 출범 이전과 이후의 제도적, 시스템적 관점에서 고찰하였고 이를 통하여 국가 R&D성과평가와 예산 정보가 연계 가능하도록 개선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하였다.

  • PDF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융합적 연구 (A Converged Study about Influences of Job Stress, Job Security, Depression, Family Bond, Subjective Health Status,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Married Middle-Aged Male)

  • 김향수;김송순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8권3호
    • /
    • pp.101-114
    • /
    • 2017
  • 본 연구는 기혼 중년 남성의 직업 스트레스, 직업 안정성, 우울,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알아보고자 하는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대상자는 B광역시, D광역시, J시에 거주하는 40~59세 중년 남성 149명의 설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고 SPSS/WIN 18.0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삶의 질과 직업 스트레스(r=-.544, p<.001)과는 보통의 역 상관관계, 우울(r=-.748, p<.001)과는 높은 역 상관관계, 직업 안정성(r=.566, p<.001), 주관적 건강상태(r=.537, p<.001)과는 보통의 순 상관관계, 가족유대감(r=.712, p<.001), 사회적 지지(r=.739, p<.001)과는 높은 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우울, 사회적 지지, 가족유대감, 주관적 건강상태, 현 직종의 근무년수, 규칙적인 운동여부 순으로, 전체 설명력은 75.1%로 나타났다. 따라서, 질적인 중년기 삶을 영위하기 위해 우울은 낮추고 사회적 지지 체계의 확충 및 가족유대감과 주관적 건강상태 증진, 현 직종에서의 근무년수를 높이기 위한 방안이 필요하다.

R&D 생산성 제고와 기술 혁신 생태계 활성화를 위한 연구 서비스산업 혁신 방안 (R&D Service Industry Innovation Plan to Improve R&D Productivity and Vitalize Technology Innovation Ecosystem)

  • 장병열
    • 서비스연구
    • /
    • 제13권1호
    • /
    • pp.144-158
    • /
    • 2023
  • 기업과 정부의 연구개발(R&D: Research and Development) 투자는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1년 공공과 민간의 전체 연구개발비는 102조 1,352억 원으로 100조원을 돌파하였고, GDP 대비 R&D 투자 비중이 4.96%로 이스라엘에 이어 전 세계 2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100조원을 돌파한 국내 연구개발 투자의 R&D 생산성 제고 측면에서 국내 연구 서비스산업 현황과 연구개발(R&D) 혁신 생태계를 통계청의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하고 글로벌 연구 서비스산업과 기업 현황과 연구(R&D) 서비스 산업 지원을 위한 정부 정책을 조사 및 분석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기업활동조사 데이터를 바탕으로 업종별 연구개발(R&D) 서비스 외부 위탁에 대한 분석과 연도별 연구개발(R&D) 서비스 외부 위탁에 대한 조사를 통해 국내 연구(R&D) 서비스산업 현황에 대해 조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업종별 국내 연구(R&D) 서비스 산업 수요에 대한 주요 변화 추이를 제조업과 서비스업 관점에서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 국내 R&D 생태계는 전통적인 제조기업의 R&D 아웃소싱 수요가 정체된 것에 비해 서비스기업의 R&D 아웃소싱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국외 위탁기업이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반면에 국내 연구개발 위탁 기업은 비중이 감소 추세를 보이고 있는 상태이다. 또한 서비스 업종별로 차별적인 특징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에서는 글로벌 연구 서비스 기업에 대한 조사와 연구(R&D) 서비스산업 지원 정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이러한 변화하는 기술 혁신과 연구(R&D) 서비스 수요에 대응하기 위해 제조기업과 서비스기업 R&D 아웃소싱 균형지원, 국내 연구개발 외부위탁 확대, 서비스업종 특화 R&D 아웃소싱 전략수립, 개방형 R&D 생태계 구축, 소재·부품·장비 전략과의 연계 혁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공계 대학 연구과제 특성 별 운영 형태 현황 (An analysis of operation statu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R&D projects in Sciences and Engineering universities)

  • 이상숙;유인혁;김진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4호
    • /
    • pp.93-100
    • /
    • 2022
  • 본 연구는 이공계 대학 연구과제 특성(단계 및 성격)별 R&D 운영 현황을 파악하여 향후 대학 R&D 지원 체계와 연구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21년 10월 4일부터 약 5주간 국내 이공계 대학 R&D 수령인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한 후, Apriori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445명의 유효데이터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기초(원천)단계 연구 10개(일반적인 연구 6개, 도전적인 연구 4개), 응용단계 연구 6개(일반적인 연구 5개, 도전적인 연구 1개) 등 총 16개의 연관규칙이 도출되었다. 또한, 이공계 대학 R&D는 연구과제의 특성과 무관하게 정부(발주처) 혹은 공공기관(연구비결정권) 등의 주도로 운영되는 공통점이 나타났으며, 특히 응용연구의 특징(단계 및 성격)과 높은 연관성이 있었다. 기초(원천)단계연구의 경우, 연구자에게 연구주제에 대한 자율성을 제공하였으나 3년 차라는 짧은 연구 기간과 3년 이상의 단위로 연구가 평가되는 특징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이공계 대학 연구과제 특성에 따른 운영 형태를 다양한 변인 간의 연관성을 드러내는 실증적 근거로써 활용될 수 있다. 아울러, 본 연구는 향후 이공계 대학 R&D 운영 지원을 위한 정책적·재정적·운영적 지원의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CGE모형 추정결과를 이용한 국가 R&D 투자 우선순위 설정 (Prioritization of National R&D Investment Using Estimation Results by CGE Model)

  • 임병인;안승구
    • 기술혁신연구
    • /
    • 제19권3호
    • /
    • pp.57-83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CGE(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모형을 이용하여 28개 산업별 R&D투자액의 GDP 파급효과를 추정한 뒤, 그 결과로써 GDP의 R&D투자탄력성을 계산하여 산업별 R&D 투자 우선순위를 제시하였다. 우선순위는 28개 대분류 산업 중 전체 연구 개발투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 미만인 16개 산업을 제외한 12개 산업에 대해서만 적용해 보았다. 먼저 GDP의 R&D투자 탄력성에 근거한 우선순위는 제1차 금속제품, 화학제품, 음식료품, 전기 및 전자기기, 수송장비, 금속제품, 정밀기기, 전력 가스 및 수도, 일반기계, 통신 및 방송, 건설, 사회 및 기타 서비스, 부동산 및 사업 서비스 순이었다. GDP의 R&D투자탄력성에 근거한 순위설정은 비교적 우리나라 산업들의 현황을 잘 보여주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보조 지표인 2030년 기준 균형 대비 GDP 증가율에 근거한 우선순위 역시 판정기준으로 유사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결국 두 개의 우선순위 기준은 국가과학기술위원회의 R&D예산투자방향 및 기준 설정과 주요 사업별 예산배분 방향에 좋은 판정기준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 PDF

지역산업종합정보망 구축현황 분석 (An Analysis of Region Industry Total Information System)

  • 오한석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231-246
    • /
    • 2011
  • 국가 R&D 과제관리 분야 관련기관들은 최근 다양한 산업기술정보, 연구동향정보의 수집과 분석, 새로운 정보시스템의 개발을 필요로 한다. 또한, 보유정보의 유효성 확대와 수요자 중심의 다양한 정보서비스 개발 등 효율적인 정보제공을 위하여 지속적인 투자 및 발전을 도모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지역의 균형발전을 위하여 추진 중인 지역 R&D를 통합 관리하고자 추진 중인 지역산업정보망 구축현황을 분석하고 지역산업 사업관리(개발지원 및 성과관리) 방법을 제시하고 실행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인 정보관리체계를 운영할 수 있도록 기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MRAM Technology for High Density Memory Application

  • Kim, Chang-Shuk;Jang, In-Woo;Lee, Kye-Nam;Lee, Seaung-Suk;Park, Sung-Hyung;Park, Gun-Sook;Ban, Geun-Do;Park, Young-Jin
    • JSTS:Journal of Semiconductor Technology and Science
    • /
    • 제2권3호
    • /
    • pp.185-196
    • /
    • 2002
  • MRAM(magnetic random access memory)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a universal memory with non-volatile, fast operation speed and low power consumption. The simplest architecture of MRAM cell is a combination of MTJ(magnetic tunnel junction) as a data storage part and MOS transistor as a data selection part. This article will review the general development status of MRAM and discuss the issues. The key issues of MRAM technology as a future memory candidate are resistance control and low current operation for small enough device size. Switching issues are controllable with a choice of appropriate shape and fine patterning process. The control of fabrication is rather important to realize an actual memory device for MRAM technology.

Analysis of the Present Status and Future Prospects for Smart Agriculture Technologies in South Korea Using National R&D Project Data

  • Lee, Sujin;Park, Jun-Hwan;Kim, EunSun;Jang, Wooseok
    •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 /
    • 제10권spc호
    • /
    • pp.112-122
    • /
    • 2022
  • Food security and its sovereignty have become among the most important key issues due to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ituation. Regarding these issues, many countries now give attention to smart agriculture, which would increase production efficiency through a data-based system. The Korean government also has attempted to promote smart agriculture by 1) implementing the agri-food IC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policy, and 2) increasing the R&D budget by more than double in recent years. However, its endeavors only centered on large-scale farms which a number of domestic farmers rarely utilized in their farming. To promote smart agriculture more effectively, we diagnosed the government R&D trends of smart agriculture based on NTIS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Information Service) data. We identified the research trends for each R&D period by analyzing three pieces of information: the regional information, research actor, and topic. Based on these findings, we could suggest systematic R&D directions and implication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