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uestion generating

검색결과 50건 처리시간 0.022초

GENERATING PAIRS FOR THE HELD GROUP He

  • Ashrafi, Ali-Reza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0권1_2호
    • /
    • pp.167-174
    • /
    • 2002
  • A group G is said to be (l, n, n)-generated if it is a quotient group of the triangle group T(p,q,r)=(x,y,z|x$\^$p/=y$\^$q/=z$\^$r/=xyz=1). In [15], the question of finding all triples (l, m, n) such that non-abelian finite simple groups are (l , m, n)-generated was posed. In this paper we partially answer this question for the sporadic group He. We continue the study of (p, q, r) -generations of the sporadic simple groups, where p, q, r are distinct primes. The problem is resolved for the Held group He.

GENERATING PAIRS FOR THE SPORADIC GROUP Ru

  • Darafsheh, M.R.;Ashrafi, A.R.
    • Journal of applied mathematics & informatics
    • /
    • 제12권1_2호
    • /
    • pp.143-154
    • /
    • 2003
  • A finite group G is called (l, m, n)-generated, if it is a quotient group of the triangle group T(l, m, n) = 〈$\chi$, y, z│$\chi$$\^$l/ = y$\^$m/ = z$^n$ = $\chi$yz = 1〉. In [19], the question of finding all triples (l, m, n) such that non-abelian finite simple group are (l, m, n)-generated was posed. In this paper we partially answer this question for the sporadic group Ru. In fact, we prove that if p, q and r are prime divisors of │Ru│, where p < q < r and$.$(p, q) $\neq$ (2, 3), then Ru is (p, q, r)-generated.

문제 생성 전략과 피드백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Question Generating Strategy and Feedback on Science Achievement, Self-efficiency and Perception of the Class in Middle School)

  • 문성배;김미혜;이지화;김윤석
    • 대한화학회지
    • /
    • 제56권5호
    • /
    • pp.648-657
    • /
    • 2012
  • 본 연구는 문제 생성 전략과 피드백 방법이 중학생들의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대도시에 소재한 중학교 1학년 3개 반을 대상으로 비교 집단은 전통적인 수업과 교사가 배부한 학습지의 문제를 풀도록 하였고, 실험 집단 1, 2는 전통적인 수업을 받은 후 문제를 생성하고 동료에 의한 피드백과 교사에 의한 피드백을 각각 받도록 하였다. 수업 전 자기 효능감 검사가 실시되었으며 수업 후에는 과학 성취도, 자기 효능감 및 수업에 대한 인식 검사가 이루어졌다. 결과 분석을 위하여 공분산분석, 다변량 공분산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 성취도에 있어서 비교 집단과 실험 집단들 간에는 큰 차이가 있었으나(p<.01), 실험 집단 간에는 차이가 없었다(p>.05). 둘째, 실험 집단은 비교 집단에 비해 자기 효능감에서 우수한 효과를 나타냈으며(p<.01), 실험 집단 1은 자기 효능감의 하위 영역 중 자기조절 부분에서(p<.01), 실험 집단 2는 과제 난이도 선호 부분에서(p<.01)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문제를 생성한 후 교사에 의한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2가 동료에 의해 피드백을 받은 실험 집단 1에 비해 수업에 대한 인식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제안 활동을 통한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에 기여하는 모델 개발 및 과학 교수에서 그 활용 (The Development of a Model for the Enhancement of Creative and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Hypotheses generating Activities and It's Applications on Teaching Science)

  • 강순희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8권5호
    • /
    • pp.482-49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창의적 사고력은 협의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제시하였고 그리고 비판적 사고력은 강한 의미의 측면으로 정의하여 제시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하여 현행 탐구 교수 전략을 수정 보완하는데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개발하였다. 이 모델은 교사가 물어보는 인과적 질문에 대하여 학생들로 하여금 발산적 사고력을 활용하면서 조별 토론에 의하여 잠정적 설명들을 적어도 세 가지로 응답들을 하게 한 후에, 이어서 조 별 토론하면서 보다 더 나은 하나의 설명(가설)을 선택하도록 하는 가설을 제안하는 과정이다. 발산적인 사고로 다양한 가설들을 만들어 내기 위해서도 조 별 협동학습 활동이 필수적이며, 또한 학생들로 하여금 강한 의미의 비판적 사고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서도 반드시 협동 학습에서 조 별 토론에 의하여 얻어진 사고의 결과들을 만들어 내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경험하면서 학생들은 창의적인 사고와 비판적인 수렴적 사고를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이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적용한 수업 전략에는 기존 수업 전략에 비하여 아주 조그마한 차이만을 보여주나, 이와 같은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을 활용한 탐구 교수 전략을 중학교 2학년 학생들과 대학교 1학년 학생들에게 적용한 결과에 의하면 비교반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하게 창의력이 신장되었다. 창의적 사고력과 비판적 사고력 신장 모델을 활용한 다양한 여덟 개의 실례들을 개발하였다. 이 여덟 개의 결과들은 기존의 탐구 교수 전략에 들어 있는 인과적 질문에 대하여 설명들(가설들)을 하고 있는 형태들을 갖추고 있다.

교실 게시판을 활용한 비동시적 논의에서의 탐구 문제 생성 관련 상호작용 분석 (Analysis of Students' Interaction for Generating Inquiry Problem in Asynchronous Discussion with the Class Bulletin Board)

  • 정주현;김선자;박종욱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지:초등과학교육
    • /
    • 제30권4호
    • /
    • pp.468-481
    • /
    • 2011
  • This research is to observe and analyze the student interactions when inquiry problems were generated along with the students by using asynchronous discussion methods with the class bulletin board. For this research, 10 students from a single class of 6th grade were selected. The subject students were divided into 2 groups by cognitive levels. After the students were submitted the 4 problem situations for 1 week each, the discussion process was analyze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the step by step interactive discussion showed that several students answered for the question from a single student while discussing first for the question and answer in a form of a question with many multiple answers without any connections with the previously asked questions. At the end of the discussion, one to two students answered to a question by taking turns and the type of discussion changed to one question - one answer type by answering to the person who spoke prior to the next. Second, the discussion took place with the students in the transitional stage speaking in time in order, to provide comments to the bottom of the linear form and students in the formal operational stage students speaking in temporal order, regardless of the number of comments in the direction of the radiation(mind map) forms. The individual comment speaking rates were similar in the two groups so the students were able to speak indiscriminately.

폐자동차 부품의 최적 분리순서 생성을 위한 방법론 (Method for Generating Optimal Disassembly Sequence of End-of-Life Car′s Parts)

  • 박홍석;최홍원;목학수;문광섭;성재현
    • 한국정밀공학회지
    • /
    • 제20권9호
    • /
    • pp.188-196
    • /
    • 2003
  • In order to increase competitiveness and to gain economic benefit, companies ask more and more how to recycle their products in a efficient way. So far, to answer this question, companies are not sufficiently supported by suitable methods specially in the area of disassembly process planning. For this reason, we develop in collaboration with an industrial partner a new method for generating an optimal disassembly sequence. In the presented paper this method will be described in detail by considering the exiting assembly information, disassembly method and disassembly depth. PLM (Profit-Loss Margin) curve that is used to determine disassembly depth consists of profit value, disassembly cost and disassembly effect. Using assessment parameters, generated alternative disassembly sequences are evaluated and optimal disassembly sequence is proposed. This method is applied to generate the optimal disassembly sequence of Door Trim as an example.

대학생의 질문수준,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 (The Relationship among Questions Level, Questions Process, and Hesitation Factor of Questions of University Students)

  • 우정희;유재용;박주영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5권12호
    • /
    • pp.336-346
    • /
    • 2015
  •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학습자 생성 질문수준, 질문과정 및 질문저해요인 간 관계를 파악하기 위함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5년 9월 9일부터 10일까지 D시에 소재하는 일개대학의 대학생을 편의추출 하였으며, 17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를 분석하였다. 대상자는 개인의 다양한 수준들을 통하여 질문을 생성하게 되면서도 인지적 혼란을 통한 질문생성은 실제질문과 관련함을 알 수 있다. 또한 질문저해요인의 내적요인은 실제질문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인다. 즉 대학생의 질문이 잘 표출되기 위해서는 학습자의 질문을 주저하는 외적요인 뿐만 아니라 내적요인을 감소하기 위하여 고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인지적 혼란-질문생성-실제질문의 연계성을 인식하여 교수 개인 차원의 효율적인 교과목 운영이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명화 하브루타 지원을 위한 딥러닝 기반 동양화 인물 분석 (Deep Learning-based Person Analysis in Oriental Painting for Supporting Famous Painting Habruta)

  • 문혜영;김남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9호
    • /
    • pp.105-116
    • /
    • 2021
  • 하브루타 교육은 짝을 지어 대화하고 토론하고 논쟁하는 방식의 질문 중심 교육이며, 특히 명화 하브루타는 명화에 대한 질문과 답변을 통해 그림의 감상 능력을 증진하고 표현력을 풍부하게 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동양화를 대상으로 한 명화 하브루타를 지원하기 위해, 최신 딥러닝 기술을 활용하여 동양화 등장인물의 성별 관점에서 질문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안을 제시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사전학습모델인 VGG16을 바탕으로 동양화 인물 중심의 미세조정을 수행하여 동양화의 인물 분석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모델을 제안한다. 또한 질문의 유형을 명화 하브루타에서 사용되는 사실 질문, 상상 질문, 그리고 적용 질문의 3가지 유형으로 분류하고, 각 질문을 등장인물에 따라 세분화하여 총 9가지의 질문 패턴을 도출하였다. 제안 방법론의 활용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실제 동양화의 등장인물 300건을 분석한 실험을 수행하였으며, 실험 결과 제안 방법론에 따른 성별 분류 모델이 기존 모델에 비해 높은 정확도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새로운 파라메타인 부분방전 변화지수에 의한 발전기 고정자 권선의 절연상태 평가 (The Assessment on the Insulation Condition of Generator Stator Windings by a Novel Parameter PDI(Partial Discharge Index))

  • 황돈하;박도영;김용주;김진봉;주영호
    • 대한전기학회논문지:전기물성ㆍ응용부문C
    • /
    • 제48권11호
    • /
    • pp.735-741
    • /
    • 1999
  • The monitoring and assessment on the insulation condition of generator stator windings have been an important task of utility companies. The interest for the assessment of insulation condition has been increasing due to the need to keep old generating equipment reliable in order to extend the equipment life and to increase the generating capacity. Even though many developments and research activities for the condition assessment of generator insulation have been performed for decades, the assessment criterion in order to consistently predict the actual insulation condition is still in question. In this paper, the correlation between the parameters and the insulation condition is analyzed through the various non-destructive diagnostic tests in order to establish the assessment criterion on insulation deterioration of generator stator windings.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PDI(Partial Discharge Index) as a novel parameter for the assessment criterion on insulation diagnosis of stator winding is proposed and verified.

  • PDF

생명현상에 관한 과학적 의문 생성 과정에서 나타나는 생물학자의 두뇌 활성 양상 (The Biologists' Boon Activation Patterns during the Generation of Scientific Questions on Biological Phenomena)

  • 권용주;정진수;이준기;양일호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27권1호
    • /
    • pp.84-92
    • /
    • 2007
  • 이 연구는 생물학자들이 생물학 현상에서 과학적 의문을 생성할 때 나타나는 두뇌의 활성을 분석하고자했다. 이를 위해서 10개의 의문 생성 과제를 개발하여 8명의 생물학자들에 투입하였고, 의문 생성 과정에서 fMRl를 통해 생물학자들의 두뇌 활성을 측정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방추이랑, 전안구운동 영역, 소뇌, 좌측 전두엽, 좌우측 해마와 대상이랑, 복외측전 두피질부 등이 특징적으로 활성화되었다. 이것은 과학적 의문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생물학자들의 뇌는 주어진 생물학 현상을 상세히 분석하였고, 언어적 전략을 사용하였으며, 현재의 현상과 비교하기 위해서 과거의 경험상황과 선지식 등의 장기기억을 인출하고 표상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복외측전 두피질부의 활성은 의문 생성 과정에서 뇌가 인지적 갈등 및 부조화 단계를 거쳤음을 보여주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