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Q 계통

검색결과 122건 처리시간 0.033초

누에 피브로인 유전자 다형성 마커 개발 (Development of polymorphism genetic marker for identification of the silkworm races)

  • 최광호;김성렬;강석우;박옥란;김성완;김기영
    • 한국잠사곤충학회지
    • /
    • 제53권2호
    • /
    • pp.124-129
    • /
    • 2015
  • 본 실험에서는 누에 피브로인 L-chain 유전자의 인트론 영역을 사용하여 우리나라에서 보존하고 있는 누에 계통중 원산지별 누에 계통 8개를 대상으로 계통 간 유전자다형성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실험에 사용한 누에 계통에 따라서 동일한 계통 내 모든 개체에서 FibL1과 FibL2의 유전자다형성 조합이 일정하게 유지되어 있었으며, 계통 간에는 FibL1과 FibL2의 유전자 다형성 패턴 조합이 다소 상이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프라이머 FibL1와 FibL2에 의한 피브로인 L-chain 유전자 다형성 염기서열 정보를 활용한다면 제한된 영역에서 누에 계통 구분을 위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원전적용을 위한 FPGA 기반 제어기의 정량적 신뢰도 평가 (A Quantitative Reliability Analysis of FPGA-based Controller for applying to Nuclear Instrumentation and Control System)

  • 이준구;정광일;박근옥;손광영
    • 한국전자통신학회논문지
    • /
    • 제9권10호
    • /
    • pp.1117-1123
    • /
    • 2014
  • 원자력 산업계는 최근 원전 계측제어계통 설비의 단종과 같은 예상치 못한 환경에 직면해오고 있으며, 이러한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IAEA, IEC, 등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FPGA는 단종이 예상되는 제어계통에의 대체수단으로 주목받고 있다. 단종의 영향을 받지 않은 특성을 갖더라도 FPGA가 원자력 플랜트의 PLC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대체하기 위해서는 높은 신뢰성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FPGA 기반 제어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MTBF (Mean Time Between Failures)를 포함한 신뢰도분석이 MIL-HDBK-217F에 따라 수행되었다. MTBF는 FPGA 기반 제어기와 COMMON-Q PLC의 신뢰도인 MTBF가 비교분석된다. 신뢰도분석결과 FPGA 기반 제어기는 원전적용 PLC 동등이상의 신뢰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벼의 낱알 특성에 관여하는 양적형질유전자좌 분석 (Genetic Mapping of QTLs that Control Grain Characteristics in Rice (Oryza sativa L.))

  • 홈레지나와세라;피카아유사피트리;이현숙;윤병욱;김경민
    • 생명과학회지
    • /
    • 제25권8호
    • /
    • pp.925-931
    • /
    • 2015
  • 미립 품질 향상을 위하여 미립 형태를 결정하는 특성을 위한 분자육종기술을 확립하기 위하여 미립과 관련된 양적형질 유전자좌를 탐색하고, 이들 환경요인과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디카 품종인 ‘청청’과 자포니카형인 ‘낙동’이 교배된 조합 F1의 약배양에 의해 양성된 120 계통(DH 집단)과 217개의 DNA 마커를 이용하여 전체 길이가 2,067cM이고, 마커간 평균거리가 9.5cM인 유전자 지도를 작성하였다. 미립형태 관련 유전자좌 분석에서 미립의 외형인 길이, 폭, 두께, 장폭비, 천립중과 관련하여 14개의 QTL이 탐색되었다. 현미의 미립길이 관련 3개의 QTL (qGL2, qGL5, qGL7), 미립 폭 관련 3개의 QTL (qGW2-1, qGW2-2, qGW2-3), 미립 두께 관련 1개의 QTL (qGT2), 장폭비 관련 6개의 QTL (qLWR2-1, qLWR2-2, qLWR2-3, qLWR2-4, qLWR7, qLWR12) 및 천립중 관련 1개의 QTL (qTGW8)이 선발되었다. 미립 장폭비 관련 4개의 QTL은 미립길이와 미립두께에서 동일한 염색체 상에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 구명된 QTL 마커들은 쌀 품종개량을 위하여 이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대용량 마이크로그리드 독립 운전 모드시 가상 인덕터를 활용한 인버터 병렬운전 제어 연구 (Droop Method For Parallel Inverters In High-Capacity Islanded Microgrid Using Virtual Inductance)

  • 정교선;김동환;최재호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4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논문집
    • /
    • pp.459-460
    • /
    • 2014
  • 여러 가지 분산 발전 시스템들은 마이크로그리드의 형태를 지니고 있다. 하나의 분산 발전 시스템과 비교하여 마이크로 그리드는 더 좋은 시스템 신뢰성과 제어 적응성을 가지고 있다. 이 마이크로그리드는 계통연계모드에서 부하의 수요를 담당하게 되고, 계통 사고가 발생할 시 단독운전모드로 동작을 해야 한다. 드룹제어방식은 이 때 각각의 분산발전시스템에서의 유효전력과 무효전력 부하 sharing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력을 공급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룹제어를 활용한 100KW급 대용량 인버터 병렬 운전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P-Q decoupling을 위한 가상 인덕터를 이용하여 개선된 전력 sharing에 대해 연구하고 PSIM을 통해 이를 검증하였다.

  • PDF

벼 중생 다수성 중간모본 '화원6호' (A New High-yielding Rice Variety developed from an Interspecific cross, 'Hwaweon 6')

  • 강주원;김동민;윤여태;이현숙;박인규;안상낙
    • 한국육종학회지
    • /
    • 제49권3호
    • /
    • pp.280-284
    • /
    • 2017
  • 화성벼의 유전적 배경에 O. minuta의 유용유전자가 이입된 근동질계통을 육성하기 위해 화성벼와 O. minuta를 교배하고, 계속적인 여교배와 MAS를 병행 실시하여 유망계통 CR1135-64-2를 선발하였다. CR1135-64-2는 생산력검정 시험 결과 조사된 형질 중 수당립수를 제외한 기타 형질은 화성벼와 유사한 근동질계통으로, 품종보호 출원 조건에 부합하여 '화원6호'로 명명하고 품종보호원을 출원하였다. '화원6호'는 출수기가 보통기재배에서 8월 12일로 화성벼와 유사한 중생종 품종이다. 현미천립중은 21.9g으로 화성벼보다 무거웠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화원6호'는 줄무늬잎마름병을 제외한 다른 병해충에는 약한 반응을 보였으며, 완전미율은 화성벼에 비해 약간 낮았고, 아밀로스 함량은 화성벼와 유사하였으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화원6호'의 정조수량은 '09~'10년 2개년간 실시한 생산력 검정 시험에서 평균 6.57 MT/ha로 화성벼 대비 103% 수준이었다. '화원6호'는 화성벼에 비해 수당립수가 많았는데 이는 O. minuta에서 이입된 qSPP7 유전자의 영향으로 판단된다.(품종보호권 등록번호: 제 5133호)

정궤환을 이용한 무효전력 변동기반의 단독운전 방지 성능 검증 (Performance Verification of Anti-Islanding of Reactive Power Variation Method using Positive Feedback)

  • 조종민;안현성;박지호;차한주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8년도 전력전자학술대회
    • /
    • pp.141-143
    • /
    • 2018
  • 본 논문은 계통연계형 인버터의 단독운전 방지를 위해 정궤환을 이용한 무효전력 변동기법을 제안하였으며, 구현 및 실험을 통해 단독운전 방지 성능을 검증하였다. PCC 지점에는 양호도($Q_f$) 2.5의 특성을 갖는 3상 RLC 부하가 연결되며, 부하 공진주파수는 60Hz로 설정하였다. 무효전력 변동기법은 일정 크기로 주입되는 무효분과 주파수 편차를 이용한 정궤환으로부터 공급되는 무효분으로 구성된다. 계통연계 운전 시에는 일정한 무효전력 성분만이 공급되며 역률은 0.9975이다. 단독운전 발생 시, 일정 무효전력 때문에 변화된 PCC 주파수와 계통 정격주파수 간의 편차는 정궤환 성분을 활성화하고, 증가된 무효전력에 의한 PCC 주파수 변화를 검출하여 단독운전을 판단한다. 1.7kW 3레벨 T-타입 인버터를 통해 단독운전 방지 성능을 실험하였으며, 검출시간은 각각 53ms, 150ms로써 우수한 성능을 검증하였다.

  • PDF

불검출 영역 분석을 통한 주파수 이동 단독 운전 검출 기법의 설계 방법 (Design Method for Frequency Drift Anti-islanding Detection Method Based on Analysis of Non Detection Zone)

  • 김병헌;설승기
    • 전력전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전력전자학회 2012년도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0
    • /
    • 2012
  • AFD(Active Frequency Drift), SMS(Slip-Mode frequency Shift)를 비롯한 주파수 이동 단독 운전 검출 방법은 단독 운전 발생 후, 계통의 주파수를 정상 운전 범위 밖으로 이동시켜 OUF(Over/Under Frequency) 릴레이를 동작하게 만들어 단독 운전을 검출한다. 이 방법들의 불검출 영역은 알고리즘에 의한 전류 위상각 변화율과 부하 역률 각 변화율 사이의 관계, 그리고 단독 운전 후 정상 상태(steady state) 운전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본 논문에서는 불검출 영역에 영향을 미치는 부하 역률 각 변화율을 분석하고 그를 바탕으로, 설계한 Q(Quality)-factor보다 낮은 Q-factor를 갖는 부하 조건에서는 항상 단독 운전을 검출할 수 있는 설계 방법을 제시한다. 제안된 방법의 유효성은 모의실험 및 실험으로 검증되었다.

  • PDF

유이화서 식물군의 계통분류학적 연구 - 단백질의 정성분석적 접근 - (A Systematic Study on Selected Amentiferous Plant Taxa - By Qualitative Analysis of Proteins -)

  • 이유성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28권3호
    • /
    • pp.179-190
    • /
    • 1985
  • A review of taxonomic treatments of the amentiferous plant taxa reveals diverse classification. It appears to be necessary to investigate new characteristics and attempt to determine the significance of these characteristics in terms of amentiferous systematics. Serological techniques have been empolyed in a systematic investigation of selected taxa of the Amentiferae: Betulaceae, Fagaceae, Juglandaceae, Myricaceae, and Salicaceae. Data by qualitative analysis of pollen proteins, double immunodiffusion and conventional immunoelectrophoresis, have proved to be valuable in delimitation of taxa tested. When the antisera against Alnus hirsuta, Betula platyphylla var. japonica, Quercus aliena, Q. dentata, Q. glauca were tested; Alnus and Betula have the greatest protein similarity to one another; and next to the rest of betulaceous genera. Relatively strong protein similarity obtained with most representatives of Quercus and Fagus when reacted with antisera against Alnus and Betula is very much in contrast to the weak protein similarity obtained for the genera of Juglandaceae, Myricaceae, particularly of Salicaceae Tested with the same antisera. When Quercus antisera were used for various genera, the weakest protein similarity was obtained with Populus.

  • PDF

FACTS Pilot Plant 도입을 위한 기본 계통 해석 (System Study for FACTS Pilot Plant Application)

  • 김학만;전영환;전진홍;국경수;오태규;이학성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1년도 하계학술대회 논문집 A
    • /
    • pp.90-92
    • /
    • 2001
  • This Paper presents a part of system study results for UPFC Pilot Plant application in Korea. The system study includes short circuit rate of Kangjin S/S which is site of UPFC Pilot Plant, ${\Delta}V/{\Delta}Q$ characteristics in STATCOM mode, P and Q flow control boundary of UPFC Pilot Plant. The system study is simulated by PSS/E Ver. 26.

  • PDF

안전등급 PLC 기반 제어봉제어계통 제어함 설계 (Design of Control Cabinet Based on Safety PLC for Control Rod Control System)

  • 천종민;김춘경;김석주;이종무;권순만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7년도 심포지엄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291-292
    • /
    • 2007
  • This paper deals with the design of control cabinet based on safety PLC for Control Rod Control System(CRCS). The CRCS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RDMs(Control Rod Drive Mechanisms). The CRDM moves the control rods which regulate the reactor power. vertically in the reactor core. The Control Cabinet in CRCS makes and conveys control signals to the power cabinet which provides power to the CRDM. We designed the Control Cabinet, based on POSAFE-Q, safety PLC. The application programs working in PLC can be programmed by pSET(POSAFE-Q Software Engineering Tool), Identified Development Environment.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