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mping Capacitor

검색결과 16건 처리시간 0.023초

CMOS 이미지 센서를 위한 고효율 Charge Pump (High-Efficiency Charge Pump for CMOS Image Sensor)

  • 김주하;전영현;공배선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5권5호
    • /
    • pp.50-57
    • /
    • 2008
  • 본 논문에서는 CMOS image sensor(CIS)에서 사용될 수 있는 고 효율 charge pump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charge pump는 CIS의 동작 특성을 활용하여 switching loss 및 reversion loss를 최소화하여 고 효율 동작을 실현하였다. 즉, CIS 픽셀 동작 구간에 따라 local clock driver, 펌핑 커패시터, 그리고 charge 전달 switch의 크기를 역동적으로 조절함으로써 switching loss 를 최소화하였다. 또한, schmitt trigger를 채용한 tri-state local clock driver를 이용하여 non-overlapping 구간이 충분히 확보된 local clock을 공급할 수 있게 함으로써 reversion loss를 최소화하였다. 0.13-um CMOS 공정을 이용한 시뮬레이션 비교 결과, 제안된 charge pump는 구동 전류가 없는 조건에서 기존 구조에 비해 최대 49.1% 전력 소모를 개선하였으며, 구동 전류가 최대인 조건에서는 19.0% 전력 소모를 개선할 수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가변 펌핑 클록 주파수를 이용한 모바일 D램용 고효율 승압 전압 발생기 (An Energy Efficient $V_{pp}$ Generator using a Variable Pumping Clock Frequency for Mobile DRAM)

  • 김규영;이두찬;박종선;김수원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7권6호
    • /
    • pp.13-21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가변 펌핑 클록 주파수를 이용한 모바일 D랩용 고효율 승압 전압 발생기를 제안한다. 제안된 승압 전압 발생기는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3단 Cross-coupled 점하 펌프를 사용하였으며, 또한 최종 출력 전압의 승압 시간을 줄이기 위해 기존의 승압 전압 발생기에서 사용되는 고정된 펌핑 클록 주파수 대신 전압 제어 발생기를 사용하여 펌핑 클록 주파수을 가변하였다. 따라서 제안된 승압 전압 발생기는 1.2 V 전원 전압, 최대 2 mA의 부하 전류, 1 nF의 부하 캐퍼시터 조건에서 24.0-${\mu}s$안에 3.0 V의 최종 출력 전압을 승압할 수 있다. 실험 결과 제안된 승압 전압 발생기는 에너지 소비를 26% (1573 nJ $\rightarrow$ 1162 nJ), 승압 시간을 29% (33.7-${\mu}s$ $\rightarrow$ 24.0-${\mu}s$) 감소시켰다. 따라서 제안된 승압 전압 발생기를 사용함으로써, 높은 에너지 효율과 빠른 승압을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Prediction model of 4.5 K sorption cooler for integrating with adiabatic demagnetization refrigerator (ADR)

  • Kwon, Dohoon;Kim, Jinwook;Jeong, Sangkwon
    • 한국초전도ㆍ저온공학회논문지
    • /
    • 제24권1호
    • /
    • pp.23-28
    • /
    • 2022
  • A sorption cooler, which utilizes helium-4 as a working fluid, was previously developed and tested in KAIST. The cooler consists of a sorption pump and a thermosyphon. The developed sorption cooler aims to pre-cool a certain amount of the magnetic refrigerant of an adiabatic demagnetization refrigerator (ADR) from 4.5 K to 2.5 K. To simulate the high heat capacitance of the magnetic refrigerant, liquid helium was utilized not only as a refrigerant for the sorption cooling but also as a thermal capacitor. The previous experiment, however, showed that the lowest temperature of 2.7 K which was slightly higher than the target temperature (2.5 K) was achieved due to the radiation heat leak. This excessive heat leak would not occur when the sorption cooler is completely integrated with the ADR. Thus, based on the experimentally obtained pumping speed, the prediction model for the sorption cooler is developed in this study. The presented model in this paper assumes the sorption cooler is integrated with the ADR and the heat leak is negligible. The model predicts the amount of the liquid helium and the required time for the sorption cooling process. Furthermore, it is confirmed that the performance of the sorption cooler is enhanced by reducing the volume of the thermosiphon. The detailed results and discussions are summarized.

전자전달증대기를 이용한 고효율 태양전지 시스템에서 전자전달증대기 입력 교류 전압 변화에 따른 태양전지 효율 향상에 대한 연구 (Improvement of Solar Cell Efficiency according to AC Voltage Variation of Electron Relay Enhancer in High Efficient Solar Cell System using Electron Relay Enhancer)

  • 김학수;유영기;이혁;윤소영
    • 한국진공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68-173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상업용 태양전지에서 전자-정공 재결합을 최소화하여 태양전지의 효율을 향상시키는 부가장치인 전자전달증대기(Electron Relay Enhancer: ERE)를 소개한다. 전자전달증대기는 교류 전력 공급 장치와 연결된 두 개의 캐패시터와 전자의 흐름 방향을 제어하는 브릿지 다이오드 시스템으로 구성되어 있다. 두 개의 캐패시터는 브릿지 다이오드 시스템을 통하여 태양전지로부터 전자를 포집하고 포집된 전자를 로드저항이나 인버터쪽으로 펌핑하는 것을 반복한다. 양으로 대전된 한 개의 캐패시터가 전자를 포집하는 동안 음으로 대전된 다른 캐패시터는 전자를 펌핑한다. 태양전지에서 여기된 전자가 정공에 재결합되기 전에 양으로 대전된 캐패시터는 태양전지로부터 더 많은 여기된 전자를 끌어온다. 이러한 까닭에 ERE 시스템은 태양전지의 효율을 증대시킨다. 연구결과로 ERE 활성 시 태양전지의 증가된 전력은 각각의 실험조건에서 5.9 W에서 25.6 W사이였고, 가장 높은 태양전지전력증가율은 ERE 비활성 시 태양전지 전력의 30.8%였다.

1.5V 256kb eFlash 메모리 IP용 저면적 DC-DC Converter 설계 (Design of Low-Area DC-DC Converter for 1.5V 256kb eFlash Memory IPs)

  • 김영희;김홍주;하판봉
    •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논문지
    • /
    • 제15권2호
    • /
    • pp.144-151
    • /
    • 2022
  • 본 논문에서는 배터리 응용을 위해 저면적 DC-DC 변환기를 갖는 1.5V 256kb eFlash 메모리 IP를 설계하였다. 저면적 DC-DC 변환기 설계를 위해서 본 논문에서는 단위 전하펌프 회로에서 펌핑 노드의 전압을 VIN 전압으로 프리차징해주는 회로인 크로스-커플드 (cross-coupled) 5V NMOS 트랜지스터 대신 5V NMOS 프리차징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였고, 펌핑 노드의 부스팅된 전압을 VOUT 노드로 전달해주는 트랜지스터로 5V 크로스-커플드 P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였다. 한편 5V NMOS 프리차징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노드는 부스트-클록 발생기 회로를 이용하여 VIN 전압과 VIN+VDD 전압으로 스윙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펌핑 커패시터의 한쪽 노드인 클록 신호를 작은 링 발진 (ring oscillation) 주기 동안 full VDD로 스윙하기 위해 각 단위 전하펌프 회로마다 로컬 인버터 (local inverter)를 추가하였다. 그리고 지우기 모드 (erase mode)와 프로그램 모드 (program mode)에서 빠져나와 대기 (stand-by) 상태가 될 때 부스팅된 전압을 VDD 전압으로 프리차징해주는 회로를 사용하는 대신 HV (High-Voltage) NMOS 트랜지스터를 사용하여 VDD 전압으로 프리차징 하였다. 이와같이 제안된 회로를 DC-DC 변환기 회로에 적용하므로 256kb eFLASH IP의 레이아웃 면적은 기존 DC-DC 변환기 회로를 사용한 경우보다 6.5% 정도 줄였다.

System-On-Glass를 위한 Poly-Si TFT 소 면적 DC-DC 변환회로 (An Area-Efficient DC-DC Converter with Poly-Si TFT for System-On-Glass)

  • 이균렬;김대준;유창식
    • 대한전자공학회논문지SD
    • /
    • 제42권2호
    • /
    • pp.1-8
    • /
    • 2005
  • System-on-glass를 위해 poly-Si TFT로 면적이 작으면서도 리플전압을 최소화한 DC-DC 전압 변환회로를 개발하였다. 전압 변환회로는 전하 펌핑 회로, 문턱전압 변화를 보상한 비교기, 오실레이터, 버퍼, 다중 위상 클럭을 만들기 위한 지연 회로로 구성된다. 제안한 다중 위상 클럭킹을 적용함으로써 클럭 주파수 또는 필터링 캐패시터의 증가 없이도 낮은 출력 리플전압을 얻음으로써 DC-DC 변환기의 면적을 최소화 하였다. 제안한 DC-DC 변환회로를 제작하여 측정한 결과 $R_{out}=100k\Omega,\;C_{out}=100pF$, 그리고 $f_{clk}=1MHz$에서 Dickson 구조와 기존의 cross-coupled 구조에서의 리플전압은 각각 590mv와 215mv인 반면 4-위상 클럭킹을 적용한 구조에서는 123mV이다. 그리고 50mV의 리플전압을 가지기 위해 필요한 필터링 캐패시터의 크기는 $I_{out}=100uA$$f_{clk}=1MHz$에서 Dickson 구조와 기존의 cross-coupled 구조에서는 각각 1029pF와 575pF인 반면 4-위상과 6-위상 클럭킹을 적용한 구조에서는 단지 290pF와 157pF만이 각각 요구된다. 구조별 효율로는 Dickson 구조의 전하 펌프에서는 $59\%$, 기존의 cross-coupled 구조와 본 논문에서 제안한 4-위상을 적용한 cross-coupled 구조의 전하 펌프에서는 $65.7\%$$65.3\%$의 효율을 각각 가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