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Private Convergence

검색결과 254건 처리시간 0.02초

민간경비 이념에 관한 연구 (Study on Private Security Ideology)

  • 서진석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3권5호
    • /
    • pp.207-213
    • /
    • 2013
  • 민간경비가 치안의 한 축으로써 사회질서유지라는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전(全)사회가 동의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하고, 그렇게 되기 위해서는 민간경비가 근거하는 철학적 가치와 이념적 기반이 조성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민간경비가 지켜야 할 가치 또는 방향, 규범이 민간경비이념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에서는 민간경비가 추구하는 진정한 규범적 당위론적 이념을 정립하는데 목적이 있다. 민간경비의 이념으로는 공공성, 공익, 능률성, 합법성, 대응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념들 간에는 가치충돌이 발생하기도 하지만, 상호 보완적인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

융복합 시대 대학생의 사적/공적 자의식이 진로정체감에 미치는 영향: 학업효능감의 매개효과검증 (The Influence of Private and Public Self-Consciousness of College Students on Vocational Identity in Convergence era: Testing the Mediating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 윤준현;손영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8권7호
    • /
    • pp.339-346
    • /
    • 2020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에 따른 학업효능감 및 진로정체감과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년제 대학 263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2.0과 AMOS 22.0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은 모두 진로정체감과 학업효능감에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사적 자의식과 공적 자의식이 학업효능감을 거쳐 진로정체감(진로탐색, 진로몰입, 진로재고)로 이어지는 경로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사적 자의식은 진로정체감 하위요인 중 진로재고 요인에 대해 직접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공적 자의식은 학업효능감을 부분 매개하여 진로탐색에, 학업효능감을 완전 매개하여 진로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융·복합시대의 진로 교육 및 상담에 대하여 논하였으며, 향후 연구에 대해 제언하였다.

융합미디어와 사적(私的)·공적(公的) 영역의 변형 : 새로운 중간영역의 부상(浮上)과 그 구조에 대한 탐색적 연구 (The Structural Transformation of the Private and Public Spheres : An Exploratory Study on the Emergence of a New Middle Region and its Structure in the Convergence Age)

  • 강재원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125-143
    • /
    • 2013
  • This paper intends to explore the social and cultural implications of convergence media, based on Goffman's situational approach. The situational segregation of regions makes us to re-interpret the current private and public spheres and helps us to reveal the principle and structure hidden in the new middle region. An environment of convergence media is nullifying the separation of private and public spheres, while letting a new middle region appear.

동등한 권한을 가진 대표노드를 위한 비공개 블록 암호화 기법 (Fair Private Block Encryption Protocol for Delegated Node of Public Blockchain)

  • 정승욱;이후기
    • 융합보안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11-18
    • /
    • 2019
  • 현재의 퍼블릭 블록체인은 누구나 원장의 내용을 볼 수 있도록 설계가 되어있다. 하지만 응용에 따라서 비밀 정보를 블록체인에 저장해야 하는 경우도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다. 본 논문에서는 DPoS(Delegated Proof of Stack) 합의 방식을 사용하는 블록체인을 대상으로 공개 블록과 비공개 블록의 두 개층으로 이루어진 블록체인을 제안하고 비공개 블록의 암호화를 위한 요구사항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암호화 요구사항을 만족하는 dealer없는 t-of-n threshold 암호화를 제안하였다. 제안된 기법이 대표노드간의 공평성과 동일한 신뢰성을 만족하는 특징을 가진다.

농촌지역의 분포되어있는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융복합 연구 -65세이상 노인계층을 중심으로- (Convergence Study on the Reliability of Public and Private Medical Institutions in Rural Areas -Mainly 65 years old and older-)

  • 문용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2호
    • /
    • pp.154-159
    • /
    • 2020
  • 본 연구에서는 농촌지역의 거주하는 노인들을 대상으로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신뢰가 의료기관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고 이에 연관성을 파악함으로서 의료기관 신뢰도를 높여 농촌지역에 거주하는 노인들의 공공의료기관 이용율을 높이기 위한 방법을 도출하기 위하여 시행되었다. 이를 위해 S읍외 4곳에 30년이상 거주하며, 병원이용율이 높은 만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공공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을 사전 설명후 의료서비스 신뢰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첫째, 농촌에 거주하는 노인들은 민간 의료기관이용을 더 선호하였고. 둘째, 공공 의료기관과 민간의료기관의 신뢰도와 의료기관 선택 간에 연관성이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조사 대상자들의 공공 및 민간의료기관에 대한 신뢰도가 의료기관의 선택에 영향을 미친다고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 향후 공공의료기관은 의료서비스의 신뢰도를 제고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민간의료기관과 같이 공공의료기관도 자체적인 경영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를 위한 민·관 융합형 지원시스템 방안 (Globalization Development Plans of the Convergence Systems and Policies for Domestic Fire Industry)

  • 구재현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7권2호
    • /
    • pp.85-91
    • /
    • 2016
  • 본 연구는 국내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를 위한 민 관 융합형 지원시스템 방안에 대한 것으로, 화재피해자의 긴급복구활동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분석을 통하여 정부와 민간 협력기반의 통합적 지원시스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체적으로 국가는 시스템 운영의 관리 감독기관의 기능을 담당하고 민간에서 실질적 긴급복구 전담기관의 기능을 담당하는 시스템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화재피해 긴급복구 지원을 위한 법제도 정비, 지원사업의 민간위탁 시스템 구축, 소요재원의 안정적 조달 및 민 관 긴급복구의 융합기능 강화를 위한 지원시스템 방안을 도출하였다. 특히, 긴급복구 소요재원의 안정적 조달 방안은 긴급복구를 위한 기금의 신설 및 민간 수탁법인의 자체 재원 조성의 세부방안을 논의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소방안전복지와 사회안전망의 강화에 기여할 것이다.

특허 마이닝을 이용한 국방관련 국제특허분류 개선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Defense-related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 using Patent Mining)

  • 김경수;조남욱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50권1호
    • /
    • pp.21-33
    • /
    • 2022
  • Purpose: As most defense technologies are classified as confidential, the corresponding International Patent Classifications (IPCs) require special attention. Consequently, the list of defense-related IPCs has been managed by the government. This paper aims to evaluate the defense-related IPCs and propose a methodology to revalidate and improve the IPC classification scheme. Methods: The patents in military technology and their corresponding IPCs during 2009~2020 were utilized in this paper. Prior to the analysis, patents are divided into private and public sectors. Social network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nvergence structure and central defense technology, and association rule mining analysis was used to analyze the convergence pattern. Results: While the public sector was highly cohesive, the private sector was characterized by easy convergence between technologies. In addition, narrow convergence was observed in the public sector, and wide convergence was observed in the private sector.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e technologies of defense technology, defense-related IPC candidates were identified. Conclusion: This paper presents a comprehensive perspective on the structure of convergence of defense technology and the pattern of convergence. It is also significant because it proposed a method for revising defense-related IPC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used as guidelines for preparing amendments to the government's defense-related IPC.

민간투자형 소프트웨어 시장 활성화를 위한 민간주도 디지털 플랫폼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ivate Led Digital Platform for Activating the Private Investment Software Market)

  • 정윤모;박혜진;전규일
    • 한국산업융합학회 논문집
    • /
    • 제26권4_2호
    • /
    • pp.553-559
    • /
    • 2023
  • In the case of a government's digital platform, that is exploring public software for the first time through private investment, it's important to conduct a feasibility analysis and select appropriate methods before promoting digital projects. Looking ahead, it's crucial to provide direction for the private-invested public software market to enter the global software market.

Reference Architecture and Operation Model for PPP (Public-Private-Partnership) Cloud

  • Lee, Youngkon;Lee, Ukhyun
    • Journal of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 /
    • 제17권2호
    • /
    • pp.284-296
    • /
    • 2021
  • The cloud has already become the core infrastructure of information systems, and government institutions are rapidly migrating information systems to the cloud. Government institutions in several countries use private clouds in their closed networks. However, because of the advantages of public clouds over private clouds, the demand for public clouds is increasing, and government institutions are expected to gradually switch to public clouds. When all data from government institutions are managed in the public cloud, the biggest concern for government institutions is the leakage of confidential data. The public-private-partnership (PPP) cloud provides a solution to this problem. PPP cloud is a form participation in a public cloud infrastructure and the building of a closed network data center. The PPP cloud prevents confidential data leakage and leverages the benefits of the public cloud to build a cloud quickly and easily maintain the cloud. In this paper, based on the case of the PPP cloud applied to the Korean government, the concept, architecture, operation model, and contract method of the PPP cloud are presented.

보건복지전담 공무원과 민간 보건복지종사자의 교육요구 비교 (Comparative Study of Educational Needs between Public Officials and Private Employees for Health and Welfare)

  • 송윤희;엄미리;진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8권1호
    • /
    • pp.207-214
    • /
    • 2018
  • 본 연구의 목적은 보건복지 공무원과 민간종사자의 교육 요구사항을 비교해 봄으로써 향후 교육개선점 및 운영방안을 도출하는데 있다. 보건복지 공무원 2,290명과 민간종사자 1,991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으며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및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충분한 교육훈련정도와 집합교육 수강 횟수는 공무원보다 민간종사자가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참여 시 공무원과 민간종사자 모두 업무관련성과 교육내용을 고려하였다. 또한 교육지원에서는 상사의 업무배려, 동료 참가의지, 제도적 여건은 공무원보다 민간종사자가 높은 것으로 나타난 반면, 새로운 정책에 대한 정보공유 및 교육제공은 민간종사자보다 공무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개선 측면에서는 적정교육일수는 공무원은 3일, 2일을 선호하는 반면, 민간종사자는 1일, 2일을 선호하였다. 또한 공무원과 민간종사자 모두 효율적인 교육유형으로 집합교육과 혼합교육을 선호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보건복지교육의 활성화와 운영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