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eduction

검색결과 10건 처리시간 0.022초

심폐소생술교육의 대국민 인식에 따른 개선 홍보 방안 연구 - 경기도소방서 1권역을 중심으로 - (New research of CPR education Public Relations for general public - starting with first area from kyunggi fire stations -)

  • 기은영
    • 한국응급구조학회지
    • /
    • 제10권3호
    • /
    • pp.33-47
    • /
    • 2006
  • This research is devoted to increase resuscitation rate of emergency patients, expanding CPR to a pan-national campaigning, revaluating popularity and suitability of the education about the existing CPR(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education expansion of 119 EMS. Questionnaire was carried from seven hundred fifty eight residental and students in kyuggi fist area(Southern suwon, Middle suwon, Osan, Young-in) from July 20 to July 30, 2006. The institutional support for CPR education and special eduction institution are not prepared, 52.44% of those have CPR education, according to questionnaire. 39.9% of the educated is from 119 EMS and it is big outcome, 119 EMS efforts in the vortex of poor surroundings. But, 69.76% of the uneducated said they had not chance of CPR education and 19.63% said that the reason is no special eduction institution and information for CPR education. They say that CPR education was carried for only applicants in 119 EMS, without systematic and institutional support, special eduction institution. So, we have to expand the infrastructure, institute CPR education for systematic propagation of CPR education. And we need to make plan constructive public relations, intensify maintaining of CPR educated.

  • PDF

AHP를 이용한 농촌주민 삶의 질 지표의 중요도 설정 (Establishing Weights among Indicators of Rural Residents' Quality of Life Using AHP)

  • 노석호;이한성;정원호
    • 농촌계획
    • /
    • 제28권1호
    • /
    • pp.27-35
    • /
    • 2022
  •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the indicator system of the quality of life of rural residents and to estimate the weights among criteria or sub-criteria that constitute the indicator system of the quality of life using AHP(Analytic Hierarchy Process) method. Indicator system consists of four criteria, that is, health care, eduction & culture, living environment, and income and jobs. Each criterion include three sub-criteria that make up corresponding criterion. The results show that income and jobs was most highly evaluated among the four criteria. It was followed by health care, living environment, and eduction & culture. Among the total 12 sub-criteria, annual income was most highly evaluated, followed by medical service level, job satisfaction, and public transportation environment in terms of global weight which was deduced from expert questionnaire survey. This study implies that rural development policy needs to focus on increasing rural residents' income by creating good quality occupations and increasing the level of medical services, and expanding public transportation services in rural areas. This study has failed to collect local residents' opinions regarding their quality of life in spite of the efforts to reflect the opinions from various expert groups, which is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비과학 전공 대학생들의 인식 (The Perceptions of Non-scientific College Students about the Future Global Environment)

  • 정철;김윤지
    •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
    • 제14권1호
    • /
    • pp.21-32
    • /
    • 2021
  • 본 연구는 우리 사회를 구성하는 일반 시민으로 성장할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미래의 지구 환경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다.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들은 자연물과 인공물의 복합적 공간으로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매우 낮았다. 또한 현재에서 미래로 지구 환경의 변화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비율이 높았다. 대학생들이 상상하는 미래의 지구 환경의 이미지에서 자연과 함께 생존하는 인간이 그려질 수 있도록 환경 인식이 달라져야 한다. 인간이 자연과 공존할 수 있는 방향으로 더불어 공존하는 방법을 찾아 실천하는 환경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비과학 전공의 대학생들은 미래의 지구 환경을 인간이 수정하는 공간으로 내면화 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인간 행동에 의해 지구 환경이 수정될 수 있다는 관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해석되며 대학에서 제공해야 하는 환경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환경에 대한 교육이나 환경으로부터의 교육이 아닌 환경을 위한 교육으로 대학의 환경 교육 방향이 전환되어야 한다. 대학 교육과정에서 전공 여부에 차별 없이 모든 대학생들에게 지구 환경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우리의 아들딸들이 지구에서 지속적으로 살아가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지구 환경 교육이 절실하게 필요하다.

국민안전교육진흥법 제정의 당위성에 관한 고찰과 제언 (A Proposal in Enacting the National Safety Education Bill)

  • Choi, Sangok;Lee, Jeongho
    • 한국재난정보학회 논문집
    • /
    • 제12권1호
    • /
    • pp.116-121
    • /
    • 2016
  • 본 연구는 재난안전 교육 훈련 정책의 방향과 시행 기본원칙, 기본이념과 정의 등의 내용을 담은 국민안전교육진흥법 제정의 필요성을 검토한 논문이다. 이 법의 주요 목적은 국가와 지방자치단체 등이 국민들에게 안전교육 훈련을 정기적으로 시행하게 함으로써 국민들의 안전의식을 고양하고 재난 시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것이 주된 목적이 될 것이다. 이러한 국민안전교육진흥법의 제정은 재난안전 및 구호분야 교육 훈련과 정책수단 마련의 근거를 제시할 것이며 치명적인 자연재난과 사회재난 속에서 국가사회 전체의 안정적인 재난 대처능력을 제고하는 한편 국민의 안전문화적 삶의 질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스토리텔링(Story-telling)기법을 적용한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 수업모형 설계 (A Study on the Design of Instructional Model Based on Storytelling for User Education in Children's Libraries)

  • 정종기
    • 한국비블리아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255-271
    • /
    • 2016
  • 2000년 이후 공공도서관에 어린이서비스 시설의 확충과 담당인력이 배치되고 있으며 어린이 전용도서관이 증설되고 있다. 이 연구는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의 일환으로써 어린이들의 흥미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스토리를 소재로 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수업모형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다. 먼저, 어린이 도서관 이용교육 상황, 스토리텔링의 개념과 원리를 살펴보고, 스토리텔링기법이 도서관 이용교육에 적용될 수 있는가를 모색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국내 공공도서관의 어린이자료실, 그리고 어린이 전용도서관의 이용자들을 대상으로 스토리텔링기법을 적용한 도서관 이용교육의 수업모형을 개발하였으며 이 모형이 어린이도서관 현장에서 어린이들의 도서관 이용과 정보 활용, 그리고 독서흥미 유발에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 Survey of Prevention of Drowning Accidents in Korea

  • Brienen, Marten;Cho, Byungjun;Moon, Taeyoung;Kim, Jeehee;Kim, Jinwoo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15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9-10
    • /
    • 2015
  •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port the incidence of drowning accident in order to prevent and decrease the accidents of drowning. Methods : Data were obtained on all accidents of drowning accidents occurred were identified by using the Emergency Activity Daily Report Data from the Nation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NEMA). Results : The age, location, days, season of the drowning accident were examined. The Chi-square test was used to compare each group. All comparisons were made at the p<0.05 level of significance. The result show that the age of drowning accidents for victims aged 20-29 was 27.9%, and for victims aged 30-39 years, 18.7%. In reguard to the age group, drowning accidents was age 20-39; 51(44.8%). In reguard to the locations, the number of drowning accidents in a lake or reservoir was 62(53.4%). The number of drowning accidents in a lake or reservoir during etc was 51(58%). In reguard to the days, the number of drowning accidents on Saturday was 30(25.8%), on Sunday 32(27.6%). The weather of drowning accidents was sunny 60(51.8%), rainy 40(34.4%), cloudy 16(13.8%). The season of drowning accidents was summer 53(45.7%). In reguard to season, two groups are significantly different. Conclusion : Drowning is a leading cause of injury related accidents. Understanding the characteristics of drowning is the first step to developing prevention strategies that may be beneficial for people of all ages and under nearly all circumstances are increased swimming ability, lifeguard staffing, providing life jackets, and public education activities.

  • PDF

여가 수중활동과 관련된 익사사고의 역학 분석 연구 (A Study on Epidemiology of Drowning Accidents associated with Recreational Aquatic Activity)

  • 손재영;고의석;조병준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1호
    • /
    • pp.5060-5065
    • /
    • 2012
  • 이 연구의 목적은 익사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익사사고 발생율을 조사하고자 한다. 익사 사고의 역학 조사데이터는 중앙응급의료기관에서 2007년 1월부터 12월까지 발생 한 익사 사고 일일 보고서 자료를 수집했다. 나이, 날씨, 시간, 위치, 익사 사고 사례 조사를 했으며, 자료처리는 수중 활동 집단과 기타활동 간 비교를 위해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유의도 검증은 p<0.05 수준이다. 연령은 20-29세 27.9%이며, 30-39세는 18.7%로 나타났다. 여가 수중활동 중 익사자의 연령은 20-39세 51(44.8%)에서 가장 높았다. 장소에 따른 비교를 한 결과, 여가 수중활동 중 호수나 저수지에서 익사 사고의 수는 62명(53.4%)이다. 반면에 호수나 저수지에서 기타활동 중 익사 사고의 경우는 51(58%)명이었다. 여가 수중 활동 중 익사 사고가 토요일에 30(25.8%), 일요일에 32(27.6%)로 나타났다. 날씨가 화창한 날에 여가 수중 활동 중 익사한 경우가 60(51.8%)로 많았다. 비오는 날은 40(34.4%), 흐린 날은 16(13.8%)였다. 여가 수중활동 중 익사한 경우 여름이 53(45.7%)였다. 계절에 의하면 여가 수중활동과 기타활동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다. 익사는 상해의 주요 원인이며, 한국에서 익사의 특성을 이해하는 것은 익사사고예방 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이다. 예방 전략은 모든 연령대의 사람들을 위해 도움이 될 수 있다. 사고현장의 모든 상황에서 lifeguard 인력, 라이프재킷, 수영능력 그리고 공공 교육 활동을 제공해야한다.

비점오염원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국민의식연구 (A Study of People's Consciousness for Efficient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Source)

  • 오형은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9권5호
    • /
    • pp.803-813
    • /
    • 2015
  • 본 연구는 수질오염 및 비점오염에 대한 일반인들의 의식을 알아보고,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과 참여의사 등을 파악함으로써 비점오염 예방과 관리에 있어 일반인들의 참여를 이끌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Onpanel에 가입된 전국 20대 이상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의 구성은 수질오염 인식현황, 비점오염 예방활동, 비점오염 예방을 위한 대책마련, 비점오염원 저감을 위한 국민교육 필요성, 홍보 및 캠페인 참여의식, 비점오염 저감을 위한 조직 활성화 방안 등으로 구성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들의 수질오염에 대한 관심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비점오염 관심도는 연령, 학력, 소득이 높을수록 더욱 높은 관심도를 보여 비점오염원에 대한 홍보 교육의 실효성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비점오염에 대한 관심도, 정보, 교육, 저감활동 관련 경험이 많을수록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하였으며, 비점오염 저감교육의 효과를 긍정적으로 인식할수록 교육 참여의사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비점오염의 관리를 위해서는 국민의 공감대 형성이 반드시 필요하며, 비점오염 관련 정보, 교육, 저감활동에 대한 참여경험을 높이는 시민 활동 프로그램의 공급과 쉽고 전달력 강한 홍보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교육환경과 주택가격 간 관계와 사회공간적 격차에 대한 함의 -서울시의 사례연구- (The Relationship Between Educational Environment and Housing Prices And Its Implication For Socio-spatial Inequality: The Case of Seoul, Korea)

  • 하영주;이원호
    • 한국경제지리학회지
    • /
    • 제16권1호
    • /
    • pp.86-98
    • /
    • 2013
  • 본 연구는 교육환경이 형성하는 주택가격에 관한 문제를 사회공간적 격차(양극화)의 문제와 연관된다는 점에 주목한다. 즉 본 연구는 공적인 특성과 기능을 가진 교육환경이 주택가격 결정요인으로 작용하면서 주택가치의 사유화되는 과정 속에서 사회적인 격차를 초래한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서울시 사례를 통하여 교육환경으로 인한 부동산 가치의 결정, 그에 따른 소득(자산)의 공간적 격차 심화가 일어나는 현상을 거시적으로 확인하였다. 더불어 본 연구의 핵심주제인 교육환경으로 인한 주택 가격의 결정과 그에 영향을 미치는 세부 요인들을 양천구를 사례로 실증분석 하였다. 결과적으로 공간적 스케일에 따라 모두 교육환경, 주택가격 및 사회적 격차는 상관관계를 가진 분포패턴을 분명히 보이고 있으며, 아울러 세부 실증분석에서도 교육환경이 주택상품 그 자체의 물리적 특성에 못지않게 가격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결국 교육환경과 교육성과 및 소득격차 간 연계성을 사회적으로만 다루는 것이 아니라 공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게 된다. 아울러 기존 주택부문 연구에서도 단지 주택가격 결정이 기술적인 연구가 아니라 사회공간적 격차와 관련된 사회과학적 이슈로도 다루어져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보여주고 있다. 본 연구는 연구내용 자체의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그러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는 시론적이며 기초적인 연구로서 향후 더 많은 관련 연구의 출발점으로서 의의가 있다고 본다.

  • PDF

경남지역 일부 산업간호사의 보건관리 업무 및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Health Care Activities of Some Industrial Nurses and their Related Factors in Kyungnam Area)

  • 김영숙
    • 한국직업건강간호학회지
    • /
    • 제4권호
    • /
    • pp.48-57
    • /
    • 1995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erformance of the role and function of some industrial nurses and to characterize the factors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their activities. Thus the results could be used to suggest the direction in the performance of industrials nurses' activities effectively. During a period from January 10 to March 31, 1994,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87 industrial nurses, who were working as health managers in the plants, in Ulsan city and the vicinity in Kyungnam province,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results were as follows : 1.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industrial nurses in this study were 82.8% being 30 years old or less, 60.9%, being not married, and 93.1% having eduction levels above junior college. 2. With respect to general work conditions, 94.3% were working in a separate room provided for health care division, 40.2% working under the safety and health department, and 98.9% working as common-level staffs. And 60.9% were working less than 44 hours a week, 70.1% had work experiences less than 5 years, and 50.6% had annual incomes ranging 10 to 14 million wons. 3. As work conditions related to health care activities, 49.4% performed the activities not related to health care as always or occasionally, and 87.4% answered that occupational physicians were appointed in their plant and among them, however, only 6.9% worked on full-time basis and 52.8% perform little activities as occupational physicians. For a decision related to health care activity, 69.0% discussed the problems with the supervisors, and 19.5% made decisions by themselves. 4. As for attitude and perception to their activities as health managers, 66.7% moderatel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health manager in the workplace, with 63.2% being satisfied their wages and treatment from the company, 57.5% being satisfied with their job positions and 51.7% having positive attitudes as being health managers. 5. The degree of performance at least in one of health related activities were very high in activities such as general medical care(100%), general health examination(98.0%) and specific health examination(100%), and relatively high in health education(72%), new employee health examination(60.9%), document handling(79.3%) and activity for work environment(70.1%). However, the performance rate was very low in preparing protective equipment (20.8%). 6. The levels of activities related to health care were significantly high when making decisions by themselves, when occupational physicians not being full-time, and when satisfying their job positions, and, on the other hand, significantly decreased as work hours increased. 7. In addition to some kinds of periodic education asked by all of the nurses, 89.7% wanted a specialized licensing system for industrial nurse, and 97.4% wanted to apply for the license test. As a conclusion, it is suggested that industrial nurses should be given more authority and placed in more self-controlled system to perform health care and other activities more efficiently, and the role and function of the occupational physician should be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at of the industrial nurse as a health manager to avoid an unnecessary overlapp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