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ublic Transit Accessibility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5초

수도권 대중교통체계 개편 전.후 지하철 이용자의 접근성 변화 모형구축 (Modeling Subway Accessibility in Seoul Public Transport System Reform)

  • 김찬성;성홍모;신성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23권8호
    • /
    • pp.101-111
    • /
    • 2005
  • 대중교통의 서비스 개선은 접근성이 개선되어 대중교통 이용자의 수요를 늘리는 중요한 역할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가 최근 2004년 7월 대대적으로 실시한 대중교통체계 개편 후 지하철이용자의 접근성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다. 첫번째 연구목적은 공간상호작용 개념을 포함하는 한센형 접근성 지표를 지하철-버스간 환승할인 전후의 자료로부터 추정하고 비교 설명한다. 두번째 연구목적은 개편 전 후의 접근성 지표가 단기의 교통과 토지이용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통행배분모형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해석하는 것이다. 분석에 사용한 비접촉식 카드승차권과 접촉식 승차권 자료는 2004년 5월의 하루 평균 지하철 기종점자료와 서비스 변화가 발생한 2004년 8-9월의 하루 평균 지하철 기종점자료이다. 결론적으로 비접촉식 카드 이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되어 대중교통개편의 수혜자가 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효과는 서울지역에 넓게 분포된 것으로 나타났다. 통행배분모형연구에서 접근성 지표의 역할은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존 모형에서 접근성 지표의 변수가 생략되면, 추정된 모형의 파라메터 들이 편기(bias)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리고, 접근성 지표의 생략으로 인한 통행배정모형의 예측력 저하 원인을 규명하는 노력이 시도되었다.

TOD 계획 요소의 통합적 접근을 통한 친보행 환경의 평가 방안 (An Empirical Evaluation Scheme for Pedestrian Environment by Integrated Approach to TOD Planning Elements)

  • 주용진;하은지;전철민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20권3호
    • /
    • pp.15-25
    • /
    • 2012
  • 최근 우리나라는 교통 혼잡, 대기오염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일으키는 자동차 중심의 교통 체계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중교통 수요를 증가시키는 대중교통중심 개발(Transit Oriented Development, TOD)과 에너지 절약적인 도시개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녹색 교통수단의 이용 활성화를 위한 보행 환경 및 시설에 관한 차별화된 평가 지표와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객관적평가 방안의 개발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TOD의 주요 계획요소(토지이용 밀도 및 다양성, 보행 친화적 도시설계, 대중교통시설 유형 및 공급수준 등)에 대한 효과 분석을 통해 다위계 보행 환경평가 지표 설계와 측정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TOD의 주요 계획요소를 GIS로 정량화 할 수 있는 지표를 반영하고 계층분석법(AHP: Analytic Hierarchy Process)을 활용하여 종로3가역과 한강진역에 보행 환경 평가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개별적인 TOD 계획 요소들의 보행 관련성을 종합하여 통행 패턴과의 영향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연구에서 제시된 보행 환경 평가 지표는 실제 물리적인 보행공간을 기반으로 한 역세권 및 환승센터 등에 적용되어 보행 접근성과 대중교통 편의성 복합토지이용 패턴의 가시화에 평가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인천광역시 공영주차장 이용실태 분석 기반 주차 회전율 영향요인 연구 (A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urnover of Public Parking Lots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 최영훈;김응철
    • 도시과학
    • /
    • 제6권2호
    • /
    • pp.29-34
    • /
    • 2017
  • Although the supply of public parking lots in major cities is steadily increasing, there is still a shortage of parking spaces that take into account the characteristics of actual available parking spaces. These parking problems are caused by conflicts between users, illegal occupation and privatization of roads, interference with traffic roads, and business stagnation in commercial areas and illegal parking problems. In addition, despite various parking demand management policies and continuous supply of public parking facilities, the solution to the parking problem is uneasy due to increased construction costs and changes in social condi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it was judged that it would be necessary to utilize the existing public parking lots efficiently. Therefore, we collect the variables expected to affect the turnover, and use multiple regression model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public parking lots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using utilization rate and turnover rate. Secondly, influencing factors are found including index of public transportation usage convenience, index of illegal parking, and land use characteristics in central commercial district. Thirdly, it was shown that there was little impact by the size of public parking lots, separation distance to subway distance, separation distance to bus stops, transfer zone, residential zone, and second-rated lots by parking costs. Finally, it is found that public parking lots can be improved by proving accessibility of public transit, enforcement of illegal parking, active approaches supporting public parking lots. It is also recommended that public parking cost rating system based mainly on land use characteristics should be remedied and rearranged.

  • PDF

경전철 산업 현황 (The State of Light Railway Industry)

  • 최용훈;윤세균;김경택;정경렬
    • 한국소음진동공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5년도 춘계학술대회논문집
    • /
    • pp.454-458
    • /
    • 2005
  • Light railway system has many characteristics of better accessibility, frequency service, low construction cost, reduced air pollution and medium capacity public transport etc. Light railway system as a urban transportation system has been glowing worldwide since the late 20th century. More than 300 cities around the world have light railway systems. Many medium-size cities in domestic site is planning the construction of light railway. This paper reviews the domestic and foreign light railway system.

  • PDF

TOD구현을 위한 주택유형별 거주자의 통행행태 비교 분석 및 시사점도출 (A Comparative Study on the Travel Behavior of Residents by Housing Types and Implication Deduction for TOD Implementation)

  • 이규진;박관휘;최기주
    • 대한교통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27-38
    • /
    • 2014
  • 최근 대중교통 중심의 도시 개발을 위한 통합 도시 교통 계획은 중요한 이슈인 바 효과적인 대중교통 중심 도시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주택지에서부터 거주민의 통행 특성을 근본적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010 가구통행실태조사' 자료에 기반하여 주택유형별로 거주자의 통행행태를 비교하였고, 특히 주택유형별로 지하철 통행빈도 추정 모형을 구축하여 지하철 통행의 영향 요인을 규명하고, 지하철 이용을 증대시키기 위한 요인 및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버스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단독주택(22.8%)이며, 지하철 분담률이 가장 높은 주택유형은 오피스텔(17.5%)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피스텔과 연립주택 거주민의 지하철역까지 평균 도보접근거리는 각 661m, 749m로 나타났다. 그리고 각 주택 거주민의 자동차와 자전거 보유대수가 많을수록 지하철 통행이 감소하며, 거주지의 인구밀도가 높으며 지하철 접근성이 양호하고 버스 접근성이 불량할수록 지하철 통행이 증가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대중교통의 계획적 요소는 주택 유형지에 따라 차별되어야 함을 통계적으로 규명하였다. 연구결과는 주택유형 거주자의 통행 특성을 고려하는 도시설계에 활용되어질 수 있고, 대중교통 이용의 증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의 한계와 향후 연구과제에 대해서도 기술하였다.

부산시 역세권 TOD계획요소의 공간특성과 지하철 이용객 수의 상관성에 관한 실증연구 (An Empirical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OD Planning Elements and Subway Ridership in Busan Metropolitan City)

  • 최돈정;서용철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147-159
    • /
    • 2014
  • 높은 수준의 TOD(대중교통 지향형 도시개발 : Transit Oriented Development)계획요소는 도시민의 대중교통 이용수요를 상승시키고 이는 지역의 보행환경을 개선하는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일반적으로 TOD 계획요소는 역세권 주변의 토지이용에 대한 다양성과 대중교통의 접근성, 그외 도시디자인 측면에서 평가되어 왔다. 특히 지하철역을 중심으로 하는 역세권 개발의 특성상 TOD 계획요소의 공간특성은 주변지역의 범위설정에 의존적일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물리적 TOD계획요소 이외에 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 또한 대중교통의 수요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TOD에 관한 연구 시 권역설정에 따른 계획요소의 공간특성 변화와 해당지역의 사회경제적 특성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지하철 역 주변을 대상으로 상이한 공간단위별로 도출된 TOD 계획 수준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또한 지하철 이용객 수와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효과적인 TOD계획요소의 분석 공간단위를 탐색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사회경제적 요소를 추가적으로 적용한 다중 회귀모형과의 비교분석을 수행하여 TOD계획지표 이외에 사회경제적 변수의 적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분석결과 공간단위의 설정에 따라 TOD계획지표의 공간분포에 변동성을 발견하였고 연구지역에서 효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특정 공간단위를 도출하였다. 또한 물리적 TOD계획요소 이외에 추가적으로 사회경제적 변수를 적용한 다중 회귀모형이 보다 개선된 추론결과를 도출하였다.

도시 철도개통에 따른 대중교통이용 편익측정을 위한 대안적 평가모델 : 지하철 9호선을 사례로 (An Alternative Evaluation Model for Benefit Measurement of Public Transportation by the Open of Urban Railway: Seoul Metro Line 9)

  • 주용진
    • Spatial Information Research
    • /
    • 제19권4호
    • /
    • pp.11-20
    • /
    • 2011
  • 저탄소 녹색성장 패러다임에 맞춰 지하철은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도시 교통의 핵심 운송 수단이다. 지하철은 대량 수송 교통체증완화 교통사고 감소 등의 역할 뿐 아니라 노선 확장에 따라 도시 공간과 네트워크상의 승객 수요의 변화를 촉진시킨다. 현재 수요예측을 주축으로 노선계획이 이루어지고 있어, 지하철 노선 변화에 따른 교통 접근성과 승객 수요 변화를 위한 실증적인 연구가 미비하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공간구문론을 이용한 사전사후 분석을 통해 지하철 개통에 따른 대중교통 영향성을 네트워크의 연결성, 승객 이동성 측면에서 정량적으로 예측 할 수 있는 대안적 평가 방법론을 제시하는 것이다. 우선 2009년 개통된 서울시 지하철 9호 선을 중심으로 도시 철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공간 구문 모델을 통해 9호선이 개통됨에 따른 네트워크의 위상적 변화 패턴을 분석하였다. 또한, 모델 측정 결과를 검증하기위해, 서울시 교통 카드시스템의 역간 지하철 승차 인원수와 버스 노선별 승차 인원수 자료를 이용하여, 경쟁 노선을 대상으로 버스 이용객의 수단 전환과 주요 환승역에서 승객 수요 변화를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방법론을 통해 지하철 노선 계획에 있어 승객수요변화를 가시화하고 노선 추가에 따른 전후 시공간적 변화 분석이 가능하였으며 향후 주변 대중교통의 영향성과 실제 대중교통 이용자의 이동패턴에 대한 효과적인 공간적 변화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

교통카드 빅 데이터를 활용한 철도역의 대중교통 연계영향권 설정을 위한 GIS 분석 기법 연구 (A Study on the GIS Analysis Techniques for Finding an Catchment Area by Public Transport at Railway Stations Using Transport Cards Big Data)

  • 진상규;김황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6권6호
    • /
    • pp.1093-1099
    • /
    • 2016
  • 현재 우리나라의 수도권 전철역이 499개가 있지만 철도역과 연계수단간의 연계영향권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다. 대부분 진행된 연구들은 연계영향권보다는 접근영향권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또한 연계영향권의 연구들은 설문조사와 기초통계자료를 이용하여 연계영향권의 설정에 대한 이론적기반과 분석기법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새로운 연계영향권을 설정 방법론을 정립하고 이를 빅데이터인 교통카드 이용자들의 철도역 이용 공간자료와 GIS 기반 연계영향권 분석 기법을 접목하여 수단별 네트워크 통행시간기반 연계영향권 설정 연구를 수행 하였다. 연구결과 마을버스 15분이내, 지선버스 20분이내, 간선버스 25분 이상 등의 연계영향권이 네트워크 접근시간의 차이에 따라 명확히 구분됨을 확인하였다.

바이모달 트램 차량용 차체 및 실내의장의 설계사양 (Design Specifications of Car body and Interiors for Bimodal Tram Vehicle)

  • 김연수;임송규;목재균;박태영;조세현
    • 한국철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철도학회 2008년도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 /
    • pp.975-979
    • /
    • 2008
  • Since tram has the advantages to reduce construction cost of infrastructure, to improve accessibility of passengers, and to offer visual pleasures, nowadays, it is one of light rails attracting public attention. Tram can be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e is a conventional steel-wheeled type, and the other is a rubber-tired type (bi-modal tram). The bi-modal tram propelled by the serial CNG hybrid propulsion unit has been developing since 2003 in Korea, which can realize both scheduled operation of railway and route flexibility of bus. Because the bimodal will be operated on both railway mode and bus mode, however, specific criteria and regulations for its design, certification, construction, operation and maintenance have not been determined definitely yet. In consideration of mobility enhancement for the old and the handicapped, motor vehicle safety standard and urban transit (railway vehicle) safety standard, several design specifications were proposed for car body and interiors of the bimodal tram vehicle. The design specifications proposed in this paper can be expected to promote passengers' comfort and safety, operation efficiency of the bimodal tram.

  • PDF

The Impact of Supertall Density on City Systems

  • Price, Bill;Bickerdyke, Andrew;Borchers, Meike;Gabbitas, Tim;Hailey, Lee
    • 국제초고층학회논문집
    • /
    • 제6권4호
    • /
    • pp.327-332
    • /
    • 2017
  •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topics associated with the densification caused by supertall buildings and their impact on city systems. The paper covers five key areas where a supertall tower creates a concentration of needs and effects. First, the paper comments on population shifts towards the city and how they affect carbon footprint, utilities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The effect of single- and mixed-use towers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population density. The second section brings the issues of transit, accessibility and master planning into focus. The use and criticality of public transport, cycling and walking is described. Servicing and deliveries using freight consolidation and shared systems is also discussed along with their contribution to the culture of sustainable travel. In the third section the paper reflects on supertall buildings' below-ground utilities and drainage provision, particularly the challenges faced in established city infrastructures. The utilities issues associated with supertall concentration (in land-use terms) compared to equivalent low-rise distribution is also commented on in the context of surface water runoff. In the fourth section, the topic of supertall sustainability is discussed and how city systems need to respond to create desirable and affordable space for occupiers. The changing need for vertical communities, 'stacked neighbourhoods' and the notion of a micro-city is described. Finally, the paper considers the energy consumption and resilience of supertall buildings in the context of basic geometry, façade design, climate and mixed-use benefits as they impact city syste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