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unus Persica

검색결과 163건 처리시간 0.029초

도화 및 도화악 추출물의 미백활성 비교 (Comparison of Melanogenesis-Inhibiting Activity by Extracts of Prunus persica Flower and Calyx)

  • 손형우;이숙희;김민아;박희준;이상한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9권6호
    • /
    • pp.946-950
    • /
    • 2012
  • 복숭아꽃(도화)과 꽃받침(도화악)의 DW 및 에탄올 추출물로부터 미백활성을 측정하였다. ORAC assay에서 공통적으로 복숭아꽃 추출물이 꽃받침에 비해 높은 활성을, 에탄올 추출물이 DW 추출물 보다 상대적으로 활성이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Tyrosinase에 의한 미백활성을 비교하여 본 결과 10 mg/mL 농도를 기준으로 복숭아꽃 DW 추출물: 40%, 에탄올 추출물: 32%, 복숭아꽃받침 DW 추출물: 53%, 에탄올 추출물: 43%의 저해율로 복숭아꽃받침 DW 추출물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B16F10 세포에서 melanin 생합성 억제를 측정한 결과, 복숭아 꽃 에탄올 추출물의 $10{\mu}g/mL$에서 57%, $100{\mu}g/mL$에서 76%의 억제 효과를, 복숭아 꽃받침 에탄올 추출물의 $10{\mu}g/mL$에서 63%의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복숭아꽃 및 꽃받침의 물 또는 에탄올 추출물은 다른 천연성분과 적절히 혼합 사용 시 우수한 시너지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소재임을 확인하였다.

Isol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a New Alkaloid from the Seed of Prunus persica L. and Its Anti-inflammatory Activity

  • Rho, Jung-Rae;Jun, Chang-Soo;Ha, Young-Ae;Yoo, Myung-Ja;Cui, Ming-Xun;Baek, Hwa-Seung;Lim, Jin-A;Lee, Young-Haeng;Chai, Kyu-Yun
    • Bulletin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 /
    • 제28권8호
    • /
    • pp.1289-1293
    • /
    • 2007
  • Persicaside has been isolated as a new alkaloid natural compound from a methanol (EtOA)-soluble extract of Prunus persica seed. It was purified by a combination of chromatographic techniques and recrystallization. The structure of Persicaside was determined by extensive NMR experiments and mass ppectroscopic data. It inhibited nitric oxide (NO) and prostaglandin E2 (PGE2) production via suppression of 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 (iNOS) and cyclooxygenase-2 (COX-2 expression in rat osteoblast sarcoma cells (ROS 17/2.8) in concentration-dependent manner whereas it spares the COX-1 enzyme activity.

야생 돌복숭아 씨와 과육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in the Seed and Pulpy Substance of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 김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25-131
    • /
    • 2007
  • 우리나라 전역에서 자생하는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씨와 과육 중의 각종 생리활성 물질을 규명하여 바이오헬스 기능성 소재 등의 자원으로서 이용 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한 자료로, 돌복숭아 씨와 과육 중의 일반성분, 구성 총 아미노산, 유리 아미노산 및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돌복숭아 씨 및 과육 중의 일반성분 함량은 탄수화물이 63.92% 와 75.11%로 대부분을 차지하였으며, 조단백질 27.85%, 12.77%, 수분 3.61%, 4.69%, 조지 방이 1.21%, 4.80% 그리고 조회분이 3.41%와 2.63%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돌복숭아 씨 중의 구성 총 아미노산의 함량은 3,444.35 mg%로 이 중 aspartic acid가 681.10 mg%, glutamic acid 495.48 mg%, alanine 283.66 mg%, serine 251.36 mg%, proline 229.80 mg%, lysine 192.31 mg% 및 leucine이 191.34 mg%의 순으로 조성되어 있었으며, 특히 aspartic acid 및 glutamic acid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돌복숭아 과육의 단백질 구성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1,064.02 mg%로, aspartic acid 250.15 mg%, glutamic acid는 129.63 mg%로 과육의 주요 총 아미노산이었고 lysine, proline, leucine, alanine, serine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돌복숭아 씨 중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215.34 mg%로, 이 중 glutamic acid가 827.25 mg%로 가장 많았으며, threonine, valine, $\beta-aminobutyric$ acid 등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과육 중의 유리 아미노산 조성의 총 함량은 683.82 mg%로, glutamic acid(339.49 mg%)가 대부분 이었으며, serine, proline, alanine, $\gamma-amino-n-butyric$ acid의 순으로 함유되어 있었다. 지질 구성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2.49%, 단불포화지방산 13.1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74.36%의 함유비율을 보였으며, 필수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야생 돌복숭아 과육 중의 지방산 조성은 포화지방산이 16.74%, 단불포화지방산 17.51% 및 다불포화지방산이 65.73%의 함유 비율을 보였는데, 이 중 다불포화지방산인 n-6계 linoleic acid$(C_{18:2})$와 n-3계 linolenic acid$(C_{18:3})$가 지질 구성 총 지방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함유 비율을 나타내었다.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추출액이 선천성 고혈압 흰쥐의 지질성분 및 혈압 저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the Feral Peach (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 Extract on the Lipid Compositions and Blood Pressure Level in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 김한수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7호
    • /
    • pp.1071-1079
    • /
    • 2006
  • 야생 돌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var. davidiana Max.)의 생리활성 추출물질이 선천성 고혈압 흰쥐(SHR)의 지질대사 이상 및 고혈압 예방과 개선효과 등에 생리생화학적 효능이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Wistar 계 수컷 SHR을 사용하여, 기본식이와 물만을 급여한 대조군인 Control군과 SHR에 돌복숭아 5.0g% 추출액을 급여한 군(5g% Ex.군) 및 SHR에 돌복숭아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킨 10g% Ex.군을 33일간 실험 사육하여 혈청 지질성분 및 혈압 저하 효과를 생리적 측면에서 검토하기 위하여 본 실험을 수행하였다. 혈청 중의 총 콜레스테롤 농도, 중성지방, LDL-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및 동맥경화지수 등에서 돌복숭아 생리활성물질 5.0g%,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킴으로서 유의적인 농도 등의 감소 효과를 보였으며, HDL-콜레스테롤 농도 및 총 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비는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간장 및 뇌 중의 총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농도는 돌복숭아 5.0g%,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킨 군에서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혈청 apolipoprotein(Apo) A-I, Apo A-II 농도 등은 돌복숭아 5.0g%,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킨 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Apo C-II, Apo C-III, Apo E 및 Apo A-I에 대한 Apo B의 농도 비는 감소되었으며, 혈압의 변화는 SHR에 돌복숭아 5.0g% 및 10.0g% 추출액을 섭취시킴으로서 혈압이 저하됨을 관찰할 수가 있었다. 돌복숭아 5.0g% 농도(5g% Ex.군)와 10.0g% 농도(10g% Ex.군)의 추출액 섭취에 따른 두 군간에 각종 지질성분과 apolipoprotein 분획 농도 및 혈압 변화의 비교는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따라서 야생 돌복숭아 중의 생리활성물질 추출액 섭취가 선천성 고혈압 흰쥐에 대한 혈청 지질개선 및 심장순환기계 질환,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국내 복숭아에서 분리한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의 특성 (Characterization of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Isolate from Peach in Korea)

  • 김현란;이신호;신일섭;김정희;조강희;허성;김정수;최용문
    • 식물병연구
    • /
    • 제15권3호
    • /
    • pp.170-174
    • /
    • 2009
  • 국내의 복숭아 과수원 중에 충북 음성지역의 유명 품종에서 약한 모자이크증상 잎으로부터 Prunus necrotic ringspot virus (PNRSV)를 분리 동정하였다. 지표식물을 이용한 생물검정에서 Cucumis sativus의 접종 자엽에 원형모양의 반점이 관찰되었으며 상엽으로 전이되어 모자이크와 잎기형 증상을 나타내다가 고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접종한 Chenopodium quinoa 접종엽과 상엽에도 모틀증상을 나타내었다. 목본 지표식물 Prunus persica GF305를 활용한 검정에서는 바이러스 감염된 줄기의 눈을 인위적으로 접종한 지 3개월 후에 잎에 라인 패턴의 모자이크 증상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인위접종한 Cucumis sativus 잎조직의 세포 검경에서 parenchyma cells과 plasmodesmata 내에 존재하는 구형 바이러스 입자가 관찰되었다. PNRSV의 외피단백질 유전자 분석을 위해 RT-PCR 진단 프라이머와 조건을 설정하고 분석한 결과 675bp 위치에서 특이적으로 증폭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증폭산물을 회수하여 염기서열 분석한 결과 기 보고된 4개의 PNRSV isolate와 93.9~94.7%의 유전적 상동성을 보였다. 결론적으로 복숭아 과수원에서 분리한 바이러스주의 생물적 특성과 유전자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Ilarvirus에 속하는 PNRSV인 것으로 최종 동정하였다.

Antitumor Activities of Several Phytopolysaccharides

  • Moon, Chang-Kiu;Park, Kwang-Sik;Lee, Soo-Hwan;Yoon, Yeo-Pyo
    • Archives of Pharmacal Research
    • /
    • 제8권1호
    • /
    • pp.42-44
    • /
    • 1985
  • Polysaccharides were isolated with alkaline extraction method from twelve pharmaceutical plants, which have been used against the various tumors in the oriental herb medicine, and examined for their antitumor activities. When the polysaccharides were administered i. p. at the dose of 10mg/kg/day for ten consecutive days to the male ICR mice, which had been implanted with $1{\times}10^{6}$ cells of sarcoma 180 twentyfour hours before the first injection of polysaccharides, those from Forsythia Corea, Curcuma, Zedoaria, Albizzia Julibrissin, Prunuts Persica, Foeniculum Vlugare and Daphne Pseudogenkwa showed inhibition ratios of 88.0%, 61.1%m 73.0%, 72.8% 55.1% and 71.7%. The significant prolongation of life span was observed only in the case of Forsythia Corea (18.1%). Other six polysaccharide fractions from Olibanum, Lonicera Japonica, Rheum Coreanum, Scirpus Maritimus, Gleditchia Officinalis and Brassica Juncea showed negligible inhibition ratios.

  • PDF

1-MCP 및 수확 후 처리가 복숭아(Prunus persica Batsch) '장호원황도' 저장 유통 중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1-MCP and Storage Condition on Shelf Life and Quality of 'Janghowon Hwangdo' Peach (Prunus persica Batsch))

  • 천종필;서정석;김명선;임병선;안영직;황용수
    • 원예과학기술지
    • /
    • 제28권4호
    • /
    • pp.585-592
    • /
    • 2010
  • 복숭아 '장호원황도'에 있어 저장, 유통 중 품질 향상을 위한 1-MCP 처리 및 에틸렌제거제 처리효과를 검토하였다. 1-MCP를 $1.0{\mu}L{\cdot}L^{-1}$ 농도로 처리하였던 경우 8일간의 상온 유통 중 경도유지 및 착색지연에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완숙과에 비하여 성숙과에서 1-MCP 처리 효과가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1-MCP를 $0.5{\mu}L{\cdot}L^{-1}$ 농도로 처리하였던 경우에는 품질유지 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1-MCP를 0.5 및 $1.0{\mu}L{\cdot}L^{-1}$로 처리하였던 경우 과실의 에틸렌 발생을 억제하였는데 호흡률 저하는 $1.0{\mu}L{\cdot}L^{-1}$ 처리구에서만 유의하게 나타났다. 저온저장 중 1-MCP 처리와 에틸렌제거 처리 효과를 비교한 결과, 처리 효과가 저장 5일 후까지만 1-MCP를 처리한 과실의 경도가 높게 유지되었고 에틸렌 제거제 처리의 경우 성숙과의 경우에만 단기적 경도 유지효과를 보여주었다. 저온저장 중 에틸렌제거를 실시하였던 경우 성숙과에서 저장 초기에 경도 감소를 지연하는 효과를 보였으나 완숙과에서는 효과가 떨어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1-MCP 처리 과실에 대한 박스 내 에틸렌제거제 복합처리는 과실의 경도유지효과를 나타내어 상온유통 5일 후 성숙과의 경우 1-MCP 처리구는 무처리구에 비하여 약 2배 경도가 높아 실용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아미노산, Polyamine 및 flavonoid 첨가가 복숭아 화분의 저온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mino Acid, Polyamine, and Flavonoid on the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under Low Temperature Conditions)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11-715
    • /
    • 2006
  • 복숭아는 다른 과수에 비하여 개화기가 빨라 저온으로 인한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저온에서 복숭아의 화분 발아를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고자 화분발아 배지에 아미노산, polyamine, flavonoid 등을 첨가하여 일련을 실험을 수행하였다. 저온에서 배지내 첨가물질로써 asparagine, glutamine, spermine, putrescine, kaemferol이 유효하였으며, 이들의 적정농도는 asparagine과 glutamine는 10 mM, spermine 100 mM, putrescine 1000 uM, kaemferol은 1.0 uM 이였다. 저온에서 발아율이 높았던 처리는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혼용조합이었고, 다음이 $100\;mg{\cdot}L^{-1}\;H_3BO_3+10\;mM$ glutamine 혼용조합, $100\;mg{\cdot}L^{-1}\;H_3BO_3+200\;{\mu}M$ spermine 혼용조합 순이었다. 기본배지에 치상된 ‘장택백봉’의 화분 발아율은 25.4%, '수봉' 13.9% 불과하였으나, $100\;mg{\cdot}L^{-1}\;H_3BO_3+10\;mM$ asparagine 첨가된 배지는 두 품종 모두 대조구보다 화분 발아율이 $18{\sim}19%$ 증진되었다. 아미노산과 폴리아민 첨가에 의한 화분발아율 증진 효과는 '장택백봉' 보다는 '수봉'에서 더욱 현저하였다.

Sucrose, 칼슘, 붕소 첨가가 복숭아 화분 발아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ucrose, Calcium and Boron Added in the Medium on Pollen Germination of Peach(Prunus persica SIEB))

  • 천병덕;최인수;강점순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61-565
    • /
    • 2006
  • 우리나라 과수 중 개화기가 빠른 복숭아는 저온에 의하여 화분발아 장해로 결실율이 저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저온에서 화분 발아율을 증진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하기 위한 기초연구로서 화분 발아조건과 배지내에 sucrose, $CaCl_2$$H_3BO_3$ 첨가농도를 구명하고자 일련의 실험을 실시하였다. 복숭아 화분은 배지에 치상한 후 30분부터 발아가 시작되어 3시간 30분까지 지속되었으나, 그 이후는 더 이상 발아되지 않았다. 따라서 복숭아의 화분발아 판정을 위한 적정 시간은 치상 후 4시간이 좋았다. 복숭아 화분의 적정발아 온도는 $20^{\circ}C$였고, 이보다 저온이거나 고온에서는 화분발아율이 감소하였다. Sucrose는 화분발아를 촉진하였고 최적농도는 10%였다. 무기염류 중 $H_3BO_3$ 첨가는 '장택백봉'과 '수봉' 품종에서 화분 발아율을 무처리에 비해 $20{\sim}30%$ 증진시켰으며, 그 효과는 저온인 $10^{\circ}C$에서 현저하였다. 최적처리 농도는 $100\;mg\;{\cdot}\;L^{-1}$ 처리였다. 반면 $CaCl_2$ 첨가하면 화분발아율이 감소하였다. $10^{\circ}C$의 저온에서 화분발아율은 품종간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으며, '장택백봉', '백봉', '월미', '백도', '대구보', '유명', '수봉', '백미조생'의 순으로 화분발아율이 낮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