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tean career

검색결과 17건 처리시간 0.022초

코칭리더십과 경력만족 간의 관계에서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 of Protean Career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oaching Leadership and Career Satisfaction)

  • 윤덕수;김보영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12호
    • /
    • pp.70-79
    • /
    • 2021
  • 본 연구 목적은 첫째,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선행 요인으로서 상사의 코칭리더십의 효과를 고찰하고, 둘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인 경력만족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며, 셋째,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코칭리더십과 경력만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제약업체 종사자 329명의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코칭리더십이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유의하였으며,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경력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력이 유의하였다. 또한 상사의 코칭리더십과 경력만족간의 관계를 매개하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의 매개효과가 유의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최근 들어 조직 중심적 관점에서 개인 중심적 관점으로 변화된 경력개발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리더십 차원에서 이를 촉진할 수 있는 요인을 고찰함으로써 인적자원개발 분야의 이론적·실무적 함의를 제공한다.

보육교사의 프로틴 경력태도와 무경계 경력태도가 직무만족과 경력몰입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rotean Career Attitude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Daycare Teachers)

  • 이신주
    • 한국보육지원학회지
    • /
    • 제16권4호
    • /
    • pp.51-71
    • /
    • 2020
  •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in daycare teach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69 inservice daycare teachers who worked in childcare centers in the metropolitan cities of Busan and Daegu. Methods: As for data collection, a survey was conducted for approximately four weeks from January 3 through 31, 2020, and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lculat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in order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Result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f the daycare teachers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Second, whether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f the daycare teachers affected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was analyzed. The self-directedness and value orientation of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of the daycare teachers and their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exercised an influence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Conclusion/Implications: The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the protean career attitudes and boundaryless career attitudes of daycare teachers are crucial factors that have an impact on job satisfaction and career commitment.

The Meaningful Connection between Job Crafting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 Seong-Gon KIM;Seung-Hyun HONG
    • 동아시아경상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35
    • /
    • 2023
  • Purpose - The present study bridges a significant gap in the literature by investigating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job crafting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job crafting, which entails the proactive redesign of work roles, responsibilities, and relationships, empowers employees, and elevates. Research design, data, and methodology - This study employed a tailored search approach with specific terms linked to job crafting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to ensure a thorough and focused analysis. The keywords include "Job crafting," "protean career attitudes," "career development," and related terms. This strategy uses an organized method to identify, screen, and choose appropriate studies. Result: This study synthesizes prior studies and identifies four critical links between the development of jobs and protean career attitudes. To begin with, task crafting, which entails job requirements and scope modifications, leads to protean career attitudes as employees match their roles to their skills and passions. Second, rational crafting, which is adjusting interactions with coworkers and superiors encourages flexible career attitudes. Conclusion - This study insists that organizations must consider the essential practical ramifications. Employers may improve employee growth, engagement, and talent retention by encouraging job customization, recognizing protean workers, cultivating a protean culture, investing in ongoing learning.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Perception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in Clinical Dental Hygienists

  • Park, Soo-Auk;Cho, Young-Sik
    • 치위생과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8-37
    • /
    • 2021
  • Background: Career success is the psychological achievement associated with an individual's work.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is the behavior of managing individual careers in order to achieve individual career goal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rify the career success of dental hygienists as perceiv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and to compare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success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Methods: Nationwide convenience samples of clinical dental hygienists were obtained; 354 people were surveyed online, and the data of 350 people were finally analyzed. The perception of career success of dental hygienists was assessed using a multiple response method. T-test, ANOVA, and χ2 tests were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and relationships between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career succes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Results: Career success was recogniz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as "income", "work proficiency", "patient consultation", "self-satisfaction", and "recognition by superiors" in ord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p<0.05). Higher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common in those higher in age, in married participants, in those with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 those with a higher career, better position, and more job change experience (p<0.05). Among the variables of career success perceived by clinical dental hygienists, "work proficien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reer management behavior" (p<0.05). "Work proficiency" and "recognition by superiors" were significant in "protean technological development behavior," and they also influenced actual behavior (p<0.05). Conclusion: The relationship between dental hygienists' career success and protean career management behavior was clarified. Dental hygienists performed career management behaviors to develop work ability and skills. In additi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management behavior and long-term employment was confirmed.

대학생의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Impact of Career Maturity on the Protean Career Attitude and the Subjective Career Success of College Students)

  • 조형래;박용호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7권9호
    • /
    • pp.212-224
    • /
    • 2017
  •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이 진로계획, 진로준비로 한정되어 취업 이후의 경력관리 문제에 대해서 다루지 않고 있어 진로지도의 한계성이라는 문제제기로 시작되었다. 따라서 대학생 대상으로 주로 연구되는 진로성숙도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했다. 이에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프로티언 경력태도가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에 기초한 연구 모형을 설계하고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273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연구모형에 기초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학생들의 진로성숙도는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진로성숙도 중 계획성과 독립성은 프로티언 경력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진로성숙 태도 중 일에 대한 태도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대학생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계획성, 독립성, 일에 대한 태도, 프로티언 경력태도, 주관적 경력성공 사이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여 대학생의 경력과 관련된 행동 및 인식 사이의 관계를 밝히고자 하였다. 도출된 연구결과에 입각하여 대학생의 진로지도 프로그램에 경력관리 이론이 새롭게 도입되어야 함을 주장하였다.

프로테안 경력, 무경계 경력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경력개발 지원정책의 조절 효과 (The effects of protean career and boundaryless career on workers' positive career attitude and future learning readiness: Moderating effect of career development support policy)

  • 문한나;서요한;이찬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6권1호
    • /
    • pp.279-298
    • /
    • 2019
  • 기존 학술적으로 논의되던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에 대한 실증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그 개념도 명확해 지고 있다. 선행연구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주관적 경력성공에 대한 연구 등은 많았지만 두 독립 변인이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근로자의 프로테안 경력 지향성과 무경계 경력, 근로자의 긍정적 경력태도, 미래 학습 준비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를 탐색하였다. 경력관련 변인간 관계를 보면 프로테안 경력은 경력개발정책과 긍정적 경력태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고, 무경계 경력은 긍정적 경력태도와 미래 학습 준비도에 정적인 상관을 나타냈다.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 효과에서는 프로테안 경력과 무경계 경력의 미래 학습 준비도와의 관계에서 경력개발지원정책은 조절효과를 나타냈다. 이 연구에서 나타난 경력개발지원정책의 조절효과는 자기주도적 경력개발을 위한 의도와 학습의 관계에서 유의미한 결과로 볼 수 있다. 또한, 경력개발지원 정책을 주관하는 조직내 HRD/HRM 부서의 역할에 따라 근로자의 미래를 위한 학습의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 몰입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rotean Career Attitude, Career Commitment and Informal Learning Activity: Focusing on Workers in Cultural Contents Industry)

  • 이형우;김만수;김정원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7권3호
    • /
    • pp.425-432
    • /
    • 2021
  • 본 연구는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무형식 학습 활동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Briscoe, Hall과 DeMuth[21]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측정도구와 Choi[23]의 무형식 학습 활동 측정도구 및 Blau[33]의 경력 몰입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 된 총 295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한 8부를 제외하고 총 287부를 결과분석에 활용하였다(유효 자료율: 68.2%). 연구 결과, 첫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는 경력 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무형식 학습 활동은 프로티언 경력 태도와 경력 몰입의 관계에서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문화콘텐츠산업 인력의 프로티언 경력 태도, 무형식 학습 활동 및 경력몰입의 증대를 위한 이론적 논의 및 실천적 시사점을 제언하였다.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The Mediating Effects of Self-Leadership on Relationship between Protean Career Attitude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in Lifelong Learning Educators)

  • 유수란;배을규;이민영
    • 직업교육연구
    • /
    • 제37권6호
    • /
    • pp.85-104
    • /
    • 2018
  • 이 연구는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와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작용하는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알아보고, 이들 간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 및 실천적 제언을 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Briscoe, Hall과 Demuth(2006)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측정도구, Houghton과 Neck(2002)의 셀프리더십 측정도구와 Greenhaus 외(1990)의 경력만족, Mobley 외(1994)의 직무만족, Johnson(2001)의 고용가능성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인천지역 평생교육강사를 대상으로 총 450부를 배포하여 430부가 회수되었고, 회수된 430부 중 불성실한 응답이라 판단되는 4부를 제외한 426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유효 자료율: 95.6%). 수집된 자료는 측정도구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했고, 연구의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평생교육강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는 주관적 경력성공에 직접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고, 셀프리더십의 매개를 통해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사의 프로티언 경력태도, 셀프리더십과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 대한 이론적 시사점과 각 변인들의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몇가지 실천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프로티언경력지향성, 지속학습활동, 주관적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된 매개효과 (The Moderated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 Cultural unbalance on the relationship among the Protean Career Orientation, Continuous Learning Activity and Subjective Career Success)

  • 김나영;정승철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1권12호
    • /
    • pp.477-489
    • /
    • 2021
  • 본 연구는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해서 조직문화 불균형성이 조절변인으로서의 역할을 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대기업 경력 5년 이상의 사무직 근로자 27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SPSS 25와 Process Macro v3.5를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지속학습활동이 매개하는 것은 확인되었지만,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효과 및 조절된 매개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그러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의 하위변인인 '자기주도성'이 지속학습활동을 통해 주관적 경력성공 및 그 하위변인 '고용가능성', '경력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과정에 대한 조직문화 불균형성의 조절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에 제한점, 후속연구 제언을 논의하였다.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주관적 경력성공에 미치는 영향 : 직무몰입의 매개 효과 및 직무소진의 조절 효과 (The Effects of Hair Designer's Protean Career Orientation on Subjective Career Success : Mediating Effect of Job Commitment and Moderating Effect of Job Burnout )

  • 김종란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748-759
    • /
    • 2022
  • 본 연구는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경력성공의 관계에서 직무몰입의 매개효과와 직무소진에 있어서의 조절효과를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국내 대표적인 A브랜드 헤어살롱에서 근무하고 있는 163명의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통계패키지 SPSS 21.0과 매크로 프로그램인 SPSS PROCESS Macro의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은 자신의 직무와 관련된 모든 측면에 자신을 집중하는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고 결과적으로 자신의 경력에 만족하는 경력성공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효과를 확인하였고, 둘째, 프로티언 경력지향성과 직무소진의 상호작용을 통해서 직무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헤어디자이너의 프로티언 경력지향성이 경력성공에 있어서 직무몰입의 매개 및 직무소진의 조절 역할에 대한 실증적 구명을 통해 본 연구는, 아직까지 미비한 헤어디자이너 프로티언 경력지향성 및 폭 넓게는 헤어살롱 조직문화에 대한 이해를 다루어 봄으로써, 서비스분야에서 상대적으로 이직률이 높은 헤어살롱 종사자의 경력성공 방안을 제안하는 데 의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