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ors in engineering

검색결과 162건 처리시간 0.027초

공학교육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실행을 위한 사례연구 (A Case Study for Implementing Problem Based Learning on Engineering Education)

  • 장경원
    • 공학교육연구
    • /
    • 제12권2호
    • /
    • pp.96-106
    • /
    • 2009
  • 본 논문은 공학교육에서 PBL을 실천하기 위한 문제개발 전략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문제개발 경험이 없는 교수들에게 'PBL의 실천과 문제개발을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실제적 문제를 개발하는 경험을 갖게 한 후 이들의 문제개발 과정과 개발된 문제의 특성에 대한 분석 결과를 공학 분야의 실제 업무 과정 및 각 과정의 성과물과 비교하여 문제 개발 시 고려해야 할 사항을 추출하였다. 연구결과, 개발된 문제는 PBL 문제의 주요 특성 중 '실제성'이 부족하였다. 따라서 문제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제 맥락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의 단계와 각 단계에서 산출되는 산출물이 문제에 충분히 반영되어야 하고, 학년의 구분없이 모든 교과목에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공학교육의 목적에 부합한 PBL 문제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교수들에게 그들의 요구처럼 전공별로 다양한 실제적 문제 사례를 경험해 불 수 있도록 하는 지원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전문대학 식품영양과의 교수실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ctual Status of Professors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t Junior College)

  • 소명환;윤성식;남궁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32-44
    • /
    • 1989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propose the way to give substantial education for the students of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 Questionnaires were gathered from the professors of the Departments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ould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professors and assistant teachers appointed in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in Junior Colleges were insufficient in number showing the sufficiency proportion of 35.8% and 61% respectively. 2. Part time lecturers took charge of lectures on major subject up to 27%. 3. The academic backgrounds of all professors were above a master's degree, and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were In the doctor's course and who had got doctor's degree amounted to 31.5% and 27.9% respectively. 4. The number of professors who had majored in the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at university or at graduate school was the most and that of Food Engineering ranked the next. 5. The number of professors having careers in the fields of food and nutrition before the appointment to professor amounted to 32%. 6. The number of professors having domestic training managed by the Education Ministry amounted to 67.8%, but those having foreign training amounted to only 8.3%. 7. The number of domestic scientific journals subscribed by one professor was on an average 2.8, but that of foreign was only 0.8. 8. Each professor associated on an average 2.7 kinds of academic society, and published 3.6 pieces of thesis in the last three years. 9. The professors were comparatively satisfied with their present occupations, but they were dissatisfied with such points as deficiency of educational postulates, insufficient income, low level in intellectual faculties of their students and lack of social understanding.

  • PDF

공학·과학·미학·인문학 및 사회과학 분야간 지식융합을 위한 수렴영역 분석 (Analysis on the Convergence for Knowledge Fusion in the Fiel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 박성미
    • 수산해양교육연구
    • /
    • 제25권5호
    • /
    • pp.1031-1045
    • /
    • 2013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on the convergence for knowledge fusion in the file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For the study, the related literatures were reviewed focusing on the convergence in the basis of the inter-disciplinary. In addition, interviews with 5 professors in the field of the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were analyzed. The keys of analysis were perspective of academic disciplin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most of professors recognized the inter-disciplinary of engineering, science, aesthetics,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But, there were some barriers engineering of professors in inter-disciplinary.

물리학습에서의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과 교수자의 기대 비교 (Comparison Engineering Students' Beliefs with Professors' Expectations about the Cognitive Beliefs and the Motivational Beliefs in Learning Physics)

  • 강유진;김지나
    • 공학교육연구
    • /
    • 제16권2호
    • /
    • pp.50-57
    • /
    • 2013
  • 공학 교육에서 물리학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과 관련된 연구는 비교적 적은 편이다. 물리학습의 수행과 관련된 선행연구 결과에 의하면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은 물리학습에 강하게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에 대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 비교를 통해서, 교육적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물리학습에 대한 인지적 신념과 동기 신념의 5가지 하위 차원 중에서, 교수자의 기대와 공과대학 학생의 인식에서 가장 큰 차이를 보인 차원은 기대 차원이었다. 교수자들은 공과대학 학생들이 물리학습에 대해서 자신감을 가지기를 바라는데 비해서, 학생들의 자신감과 기대는 낮은 수준이다. 공과대학 학생에게 물리학을 가르치는 교수자는 이러한 차이를 인식하고, 신념적 측면의 정의적 영역에 관심을 가지고 지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과대학 학생의 물리학습 수행에서의 과제 수행 능력에 대한 신념, 물리학에 대한 목적, 중요성, 흥미 등을 이끌 수 있는 교수 학습 전략을 고안할 필요가 있다.

The Impact of Government Support of Graduate Schools o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Professors and Students

  • KIM, JIN-YEONG
    • KDI Journal of Economic Policy
    • /
    • 제38권2호
    • /
    • pp.63-85
    • /
    • 2016
  • This paper examines the effects of major funding projects for graduate education in Korea, specifically the BK21 and the WCU programs, o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professors and young researchers. We apply the standard DID method, which compares the increase in research outputs as measured by papers per year between groups before and during the project period. The DID estimates show that the effects are quite different for different fields, but they mostly indicate that the BK21 project is more effective in terms of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the participating professors, especially those who study science and engineering areas. With regard to the productivity of graduate students, the results show that there was an increase in the research productivity of locally educated Korean doctoral degree holders after the graduate funding programs, mainly in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s.

  • PDF

이공계열 대학교수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PCK 측면에서의 사례 연구 (A Case Study on Professor's Teaching Professionalism in College of Science-Engineering Based on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 송나윤;홍주연;노태희;한재영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9권3호
    • /
    • pp.405-414
    • /
    • 2019
  • 이 연구는 이공계열 대학교수의 수업 전문성에 대한 사례 연구로서, 그들의 수업 전문성을 PCK 구성 요소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충청북도 소재 대학교에 재직 중인 이공계열 교수 2명이 연구에 참여하였다. 교수의 강의 계획서를 수집하고, 수업을 관찰하였으며, 수업 전후에 반구조화된 면담을 실시하였다. 강의 계획서, 수업 동영상, 관찰노트, 면담 전사본 등을 분석한 결과, 두 교수는 전공 지식을 배우는 것뿐만 아니라 실무 역량이나 의사소통 능력을 함양하는 것에 대한 교수 지향을 나타냈으며 이는 교육적인 상황에 따라 변형되기도 하였다. 두 교수는 최종적인 학습 목표를 설정한 후 학습 주제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주차별 수업을 계획하였으나 학생이 달성해야 할 목표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였다. 또한, 학생의 사전 지식수준을 실제적으로 파악하거나 학생이 해당 주제의 어떤 측면에 어려움을 겪는지 구체적으로 이해하는 과정은 부족하였다. 또한, 두 교수는 예시, 질의응답, 문제풀이 등의 다양한 교수전략을 적용했으나 교수 실행 과정에서 학생의 참여가 유의미하게 발현되는 정도는 부족하였다. 평가 측면에서는 학생의 성취도를 확인하는 과정이나 피드백이 미비한 모습을 보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공계열 대학교수의 수업 전문성 향상을 위한 방안과 전략들을 제안하였다.

이공계 대학교수의 연구생산성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terminants of Research Productivity among Professors of Science and Engineering)

  • 류희숙;배종태
    • 기술경영경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기술경영경제학회 1996년도 제10회 동계학술발표회 논문집
    • /
    • pp.77-98
    • /
    • 1996
  • This study is a critical assessment of research productivity through publication among scientists and engineers. This study scrutinizes previous findings on the correlates and determinant3 of publication productivity: Provides overview and organization of that knowledge ; indicates gape and shortcomings n the research; and identifies the questions and issues which are both answered and unanswer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223 mail questionnaires collected from professors of mechanical engineering, electrical engineering, chemistry and physics, this study obtains the particular determinants of publication productivity at the science and engineering schools in Korea. Especially, early research productivity and the number of doctoral students are very important to publish good research articles. Also the qualities of professors' Ph. D. institution and employing university are critical influencing factors to publication productivity. The data are analyzed using correlation,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ll the regression model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ll the variables in this study are focused on the socialization of individual research scientists and any psychological or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are excluded, because the perspective of this article is not that of scientific sociologist but of science and technology Policy interest. This study proves that there exists an scriptive advantage according to the individual background such as his Ph. D. institution and employing university in Korea. This study also shows that all research resources and research performances are unequally distributed. This result proposes that supporting basic research at university must begins with relative assessment of researchers, departments, and institutions in consideration with their research environment and to evaluate researchers in compared with excellent research university like SNU, KAIST, POSTECH is unequal and inadequate.

  • PDF

전개 .정렬 . 절단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홍고추 형상 요인 분석 (Shape Factor Analysis of Fresh Red Pepper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Unfolding, Arranging and Cutting)

  • 나우정;이승규;송대빈;김영복;이태곤
    • Journal of Biosystems Engineering
    • /
    • 제26권6호
    • /
    • pp.563-570
    • /
    • 2001
  • To develop a stalk detaching system the effect of shape factor of red pepper affecting the performance of unfolding, arranging and cutting was analysed. The obtained results are as follows : By cutting experiment, it was found that the bending of stalk affected the cutting rate of stalk, and that the bending of body increased the amount of peppers that were expelled from the cutting guide by conveying brush. The ratios, 'bending length of a body/body length'and 'bending length of a stalk/stalk length', could be used as criteria far abnormality of body and stalk of peppers, respectively. As a result of experiment, it was concluded that mechanical treatment would be difficult for the peppers with indexes greater than 0.4 and 0.3 fur body bending and stack bending. respectively. So, these indexes were used as criteria for distinguishing abnormality from normality of peppers. In the unfolding unit, conveyance of peppers was impossible for both of normal and abnormal ones at the inclination angle of 10°, especially, at the frequency of 8.3 Hz peppers maintained stationary state. At the inclination angle of 20°, both of normal and abnormal peppers showed similar tendencies, but abnormal ones showed an accumulation trend gradually with increased feeding speed. In the arranging unit, conveyance of peppers was almost impossible for both of normal and abnormal ones at the inclination angle of 20°, showing almost no difference between the conveyances of normal and abnormal ones. In the case of the inclination angle of 30°, at the condition of the feeding speeds and frequency corresponding 0.06 m/s, 0.08 m/s and 8.3 Hz, respectively, the passing time of the abnormal peppers on the arranging plate increased rapidly.

  • PDF

대학 강의 질 개선을 위한 강의 평가 문항 분석 -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 (Analysis on Evaluation Inquiry of Lectures for the Improvement on University Lecture Quality - Focused on Liberal Art Courses of Engineering and Science Schools at SNU -)

  • 이희원;강호선;정연순;허은녕
    • 공학교육연구
    • /
    • 제8권4호
    • /
    • pp.52-63
    • /
    • 2005
  • 대학의 교육경쟁력 강화가 곧 국가경쟁력 강화와 연계된다. 서울대학교는 그간 대학교육의 경쟁력 향상을 위하여 여러 방안을 시행하여 왔으며 그 중 대표적인 한 방법이 강의 질의 개선을 위한 강의평가라고 할 수 있다. 현재 대학에서 시행되고 있는 강의평가는 학생과 교수가 평가의 주체가 되지 못할 뿐 아니라 대학의 본부나 평가 위원회에서 개설된 강좌나 담당교수에 대한 평가로 사용하고 있다. 이때 잘못된 강의평가 방식을 사용할 경우 강의평가가 원 목적인 교수와 학생과의 대화증진으로 인한 강의 개선의 역할보다는 강의 평가 점수를 이용한 강좌의 서열화 및 교수의 업적 평가의 용도만 사용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강의의 서열화나 교수의 업적 평가를 위한 강의 평가가 아닌,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는 강의 평가 방식을 연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서울대학교 교수들을 대상으로 현재 시행중인 강의평가방식에 대 한 의견을 조사하고, 국내 대학에서 활용하고 있는 강의평가 방식과 평가 문항을 분석하였다. 특히 서울대학교 이공계열 교양과목을 평가하기 위하여 활용하는 수강소감서 문항을 분석하고 현재 시행하고 있는 서울대학교 강의평가 방법에 대한 고찰과 함께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강의 평가를 위한 평가 방식의 문제점을 고찰함과 동시에 평가가 강의의 질 개선에 효과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개선점을 모색하였다.

공과대학 교수들의 공학교육 연수실태와 교육요구 분석 (Analysis of In-Service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Engineering Faculties)

  • 김진수;최유현;김수경
    • 공학교육연구
    • /
    • 제11권2호
    • /
    • pp.50-64
    • /
    • 2008
  • 이 연구의 최종 목적은 공과대학 교수들을 위한 공학교육 연수 프로그램의 개발이다. 이를 위하여 대학과 전문대학의 공과대학 교수들을 상대로 질문지를 사용한 조사 연구를 하였다. 연구 내용은 공과대학 교수들의 연수 실태를 분석하고, 교육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SPSSWIN (한글판10.0) 통계 패키지를 사용하였다. 최종적으로 자료분석에는 97매의 응답지가 사용되었다. 교육요구도는 공학교수방법, 공학평가방법, 공학기초능력의 세영역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교육요구도 계산을 위하여 보리치가 제안한 방법에 의한 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교육요구도는 공학교수방법과 공학기 초능력에서는 높게 나왔으나, 공학평가방법에 대하여는 요구가 낮게 나왔다. 이를 반영한 공학교육 연수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