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fessionalism education

검색결과 686건 처리시간 0.03초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 (The Meaning and Growth of Teacher Professionalism Recognized by Christian Alternative School Teachers)

  • 이은실
    • 기독교교육논총
    • /
    • 제63권
    • /
    • pp.183-219
    • /
    • 2020
  • 본 연구는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이 인식하는 교사의 전문성은 무엇이고 그들의 전문성은 어떻게 성장하는지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문성은 일반적으로 특정 분야에 필요한 특별한 지식, 기술, 태도를 의미한다. 교사 전문성 역시 주어진 업무를 수행하는데 필요한 능력과 자질, 기술과 행동, 가치를 포함하며, 교사의 생애주기와도 밀접한 관계가 있다. 본 연구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와 성장 방식을 탐구하기 위해 설문조사와 면담을 병행한 혼합연구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270여 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가 참여한 설문조사는 교사의 관심사, 각 전문성 요소의 중요도와 보유 정도, 전문성 개발 노력과 도움 정도를 질문하였다. 심층 면담은 7명의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하였고 이들이 인식하는 교사 전문성의 의미, 교사 자질과 역량, 전문성 성장을 위한 환경을 파악하였다. 분석 결과를 보면 기독교 대안학교 교사들은 기독교적 관점으로 교과를 재구성하는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 관계, 소명의식을 전문성으로 강조하였다. 그리고 이들의 전문성 성장에는 소명에 반응하고자 하는 교사의 결단, 지속적인 자기계발, 교사공동체, 자율과 책임이 공존하는 교육환경이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에서는 교사들의 전문성 성장을 위해서 교사의 생애주기를 고려할 것과 교사 주도적인 전문성 성장의 접근을 제안하였고, 예비교사교육에서 교과 전문성뿐 아니라 소통과 관계능력 향상에 주안점을 둘 것을 강조하였다.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by MBTI Personality Types of Infant Childcare Teachers)

  • 강원미;문혜련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37-158
    • /
    • 2017
  • 본 연구는 영아반 보욕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라 전분성에 대한 인식에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경기도에 위치한 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영아반 보육교사 350명이었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과 전문성 인식 간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 중 판단형(J)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높은 전문성 인식을 보이며, 인식형(P)의 선호도가 뚜렷할수록 낮은 전문성 인식을 보였다. 둘째, 영아반 보육교사의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전문성에 대한 인식의 차이를 살펴본 결과는 외향형 교사가 내향형 교사보다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해 더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감각형과 직관형에 따른 전문성 인식에는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사고형 교사가 감정형 교사보다 '공정성'과 '전문단체'에 대한 인식이 높게 나타났으며, 판단형 교사가 인식형 교사보다 '사회 경제적 지위', '사회 봉사성', '전문적 지식과 기술'에 대한 인식이 더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교사 채용시 MBTI 성격 검사 결과를 바탕으로 유아반과 영아반 중 더 맞는 역할을 제공할 때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과 영아반 보육교사들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정서적 전문적 지원의 필요성에 대해 논의하였다.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 탐색 연구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Improvement of Perception on Teaching Professionalism through Early Childhood Teaching Practice Experience)

  • 이승은
    • 한국보육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17
    • /
    • 2019
  • 본 연구는 수업전문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으로서 교육실습 과정을 경험한 예비 유아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 및 변화를 탐색하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효율적인 교육과정을 운영을 위한 시사점 도출을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대상은 N시의 4년제 대학 유아 교육학과에서 "교육실습"을 이수한 유아교육학과 4학년 학생 41명 및 지도 교사 41명이었고 예비 교사들의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과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하였고, 변화를 탐색하기 위해서 개방형 문항을 내용 분석을 통하여 질적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수업전문성 인식 총점 및 하위요인들의 평균값의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실습 초반에는 실제 수업의 진행 및 유아와의 상호작용에 다소 어려움을 겪지만 실습기간 중, 지도교사의 안내를 받으며 다양한 유형의 실전수업을 경험하면서, 실습이 마무리 될 무렵에는 수업전문성에 대한 인식이 유의미하게 변화하여 교육실습 경험이 예비교사들의 수업전문성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업전문성 인식 변화를 탐색하기 위하여 예비교사들이 기술한 개방형 설문을 내용분석 한 결과, 예비교사들은 실습과정에서 실제 수업을 처음 수행한 후에는 자신의 부족한 점 보완해야 할 점 등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장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수업에서는 첫번째 수업에서 나타난 문제점의 발전 방안을 찾고, 적용해보는 과정을 통해 발전된 모습을 스스로 발견하면서 수업전문성 발달이 이루어지는 모습이 드러났다. 셋째 실습 지도교사가 강조한 수업전문성을 내용 분석한 결과, 지도교사들은 수업의 청사진으로서의 수업계획안 작성, 수업의 흐름을 매끄럽게 하기 위한 발문 구성, 철저한 준비를 바탕으로 한 융통성 있는 수업의 운영을 강조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치료 전문직관의 핵심가치에 대한 요인분석 (Factor Analysis of Core Values of Professionalism in Physical Therapy)

  • 박은영;김원호;이관우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5901-5908
    • /
    • 2012
  • 이 연구는 물리치료사 470명을 대상으로 미국물리치료사협회에서 개발한 물리치료 전문직관을 번안하여 이 측정도구의 구성타당도와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구성타당도를 알아보았고, 문항내적합치도를 통해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번안된 물리치료 전문직관 측정도구는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고(p<.05), 7개요인(역할유연성, 이타주의, 동정/배려, 우수성, 도덕성, 전문가적 책무, 사회적 책무)으로 확인되었다. 구성요인의 표준화계수는 도덕성(${\beta}$=.93), 전문가적 책무(${\beta}$=.92), 동정/배려(${\beta}$=.86) 순으로 높았다. 성별에 따른 전문직관의 차이는 없었으나(p>.05) 임상경력에 따라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또한 전문직관은 문항내적합치도가 매우 높았다(Cronbach ${\alpha}$=.80~.96). 번안된 물리치료 전문직관은 구성타당도와 신뢰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물리치료 전문직관을 측정하는 도구로 유용할 것으로 여겨진다.

간호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간호전문직관의 차이와 영향 요인 (Factors Influencing Professionalism in Male and Female Student Nurses)

  • 강경자;유수정;서현미;박명숙;유미;채영란;최동희
    •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491-501
    • /
    • 2014
  • Purpose: Nursing is regarded as a female-dominated profession. However, the number of Korean males entering the field of nursing is increasing. This study examines which of the following factors influence professionalism in male and female student nurses: area of nursing, gender identity, gender stereotypes, satisfaction with the field, emotional intelligence,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Method: In total, 133 male and 293 female student nurses were selected from four Korean provinces between July 2013 and February 2014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chi}^2$-tests of independence,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using SPSS/Win 20 software. Results: In males, 47.4% of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was accounted for by grades, interpersonal relationships, gender stereotypes, and satisfaction with the field. In females, 41.9% of variance in nursing professionalism was accounted for by satisfaction with the fiel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rea of nursing, age, emotional intelligence and grades. Common factors that influenced both genders included satisfaction with the fiel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and grades. Conclusion: Although males and females reveal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overall mean scores of nursing professionalism, several factors influencing nursing professionalism did differ by gender. Therefore, gender-specific nursing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may be necessary to promote professionalism among student nurses.

간호학과 신입생의 간호사이미지, 직업가치관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Nursing Image, Job Value on Nursing Professionalism of First Year Nursing Students)

  • 장영미
    • 산업융합연구
    • /
    • 제17권3호
    • /
    • pp.31-38
    • /
    • 2019
  • 본 연구는 간호학과 신입생들의 간호사 이미지, 직업가치관이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함이다. 대상자는 D시에 소재하고 있는 대학교의 간호학과 신입생 306명이며, 2018년 5월 7일부터 5월 14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의 간호사 이미지 정도는 4.12점, 직업가치관은 3.12점, 간호전문직관은 3.98점이었다. 간호전문직관은 직업가치관, 간호사 이미지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전문직관을 설명하는 유의한 변수는 간호사 이미지, 직업가치관이었고, 전체 설명력은 69%이었다. 따라서 간호학과 신입생의 간호전문직관을 높이기 위해서는 간호사 이미지를 높이는 제도적인 교육과 전략이 필요하며 간호사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높일 수 있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장애아 보육교사의 전문성 인식과 직무스트레스의 관계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in Child-Care Teacher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이경화
    • 아동학회지
    • /
    • 제28권3호
    • /
    • pp.61-75
    • /
    • 2007
  • This study defined awareness of professionalism and job stress in 353 child-care teachers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analyzed the relative contribution of professional awareness to job stress. Teachers showed high awareness of 'ethics' and 'enthusiasm enhancing professionalism', and this awareness correlated highly with professionalism in th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sub-factors. Teachers showed high levels of stress in the 'general duty' and the 'guidanc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categories, and this correlated highly with stress caused by 'child-care center management.' The results of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indicated that of professionalism sub-factors only the awareness of 'social services' contributed positively to job stress.

  • PDF

간호대학생의 간호전문직관에 미치는 영향 요인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Perceived by Nursing Students)

  • 안태성;송영아
    • 동서간호학연구지
    • /
    • 제21권1호
    • /
    • pp.10-17
    • /
    • 2015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nursing professionalism and affecting factors of nursing professionalism in freshman nursing students. Methods: Pre and post-test study design was used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sutdy variables at the completion of a fundamental nursing course. A convenience sample of 164 were recruited. The date were collected from September 1st to December 1st in 2012. Results: The mean scores of the nursing professionalis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3.73) to post-test (3.93). The mean scores of the self-esteem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a pre-test (3.05) to post-test (3.13).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were factors that affect nursing professionalism. Conclusion: Attention should be given to nursing education to cultivate nursing professionalism by improving self-esteem and satisfaction with nursing in nursing students.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전문가주의와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rofessionalism of Elementary School Sport Instructors, Job Burnout and Turnover Intention)

  • 문제민;정병근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4권5호
    • /
    • pp.527-539
    • /
    • 2016
  •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스포츠강사의 전문가주의와 직무소진,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전문가주의를 독립변수로, 직무소진을 매개변수로 선정하고, 이직의도를 종속변수로 각각 구성 하였다. 자료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초등학교 스포츠강사를 대상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253부의 자료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자료처리는 IBM SPSS Ver. 20.0과 AMO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그리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하였다. 모형의 적합도를 확인한 후 개별 가설들을 검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전문가주의는 직무소진에 부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직무소진은 이직의도에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전문가주의는 이직의도에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영재관찰추천 과정에서 담임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른 영재판별의 차이 (Difference on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by Level of Perception of Teacher's Professionalism in Gifted Education)

  • 고민석;박병태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2호
    • /
    • pp.427-447
    • /
    • 2011
  • 본 연구는 서울 지역 초등학교 교사 184명을 대상으로 교사의 영재 판별 및 추천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였고, 교사의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따라 영재 판별에 대한 차이가 있는지 비교해 보았다. 연구 결과, 교사들의 영재관련 경험에 따라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영재직무연수를 이수하였거나 관찰추천을 담당하는 교사의 영재판별에 대한 인식 수준이 일반 교사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교사들은 영재판별척도로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를 가장 높은 판단 기준으로 여겼다.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학부모 추천 및 동료 추천에 대한 교사들의 영재판별척도 중요성 인식은 상대적으로 학습능력, 창의성, 리더십, 학습동기 및 태도에 비해 낮았으며 영재관찰추천과정에서 영재교육전문성 인식 수준이 높은 교사 집단이 창의성, 학습동기 및 태도 영역을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