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similarity

검색결과 295건 처리시간 0.029초

감성지향적 범주화를 통한 장류제품의 디자인.마케팅 전략 (The Design.Marketing Strategies for Korean Traditional Sauces by emotion-oriented Categorization)

  • 이유리;양종열;박상준
    • 감성과학
    • /
    • 제10권3호
    • /
    • pp.491-502
    • /
    • 2007
  • 범주화는 제품디자인에 있어서 매우 중요하다. 범주화의 유형에 따라 소비자의 감성이 다르고 감성의 차이에 따라 디자인 컨셉이 다르며 이에 따라 디자인요소가 다르게 배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요즘처럼 제품라인이 확대되어 제품의 차별화가 모호한 경우에는 범주화과정이 필요하다. 즉 감성의 유사성 정도를 바탕으로 정확한 범주를 정하고 컨셉화하여 소비자 지향적인 디자인을 제공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특정의 제품범주(장류) 안에 유사한 하위범주(고추장, 된장, 청국장, 쌈장, 간장)를 구성하고 있는 각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감성이미지를 추출하고 그 유사성정도를 바탕으로 범주를 결정하여 디자인방향을 어떻게 결정해야 할지를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장류는 선호하는 이미지로부터 차별화되어있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장류에 대한 감성 이미지 조사에서, "웰빙의", "감칠맛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지저분한", "냄새나는"의 감성 이미지는 선호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는 장류제품을 개발할 때 "감칠맛 나는"과 같은 긍정적인 감성이미지는 부각시키고, "지저분한" 이미지와 같은 부정적인 감성이미지를 제거할 수 있는 디자인 및 마케팅 전략을 제안한다. 본 연구는 학문적 측면과 실무적 측면에서 제품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통찰력을 제공할 것이다.

  • PDF

광고 모델 관련 광고 노이즈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AD Noises Caused by AD Model Selection on Brand Awareness and Brand Attitudes)

  • 정재학;이상미
    • 마케팅과학연구
    • /
    • 제18권3호
    • /
    • pp.89-114
    • /
    • 2008
  • 광고를 제작, 집행하는 과정에서 기업은 때로 본의 아니게 소비자에게 혼동을 야기 시켜 해당 제품이 무엇인지 잘 못 인지시키거나 제품 이미지를 잘 못 이해하게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연구는 광고를 제작, 집행하는 과정에서 소비자가 특정 광고를 인지하고 이해하는 데 혼동을 일으키는 모든 제반 요소를 노이즈라고 정의하고 이 요인이 실재 존재하는 지, 또 광고 효과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가능한 여러 형태의 광고 노이즈 현상 중 특히 한 모델이 동일 시점에서 여러 제품의 광고에 중복 출연함으로 인해 특정 광고에 대한 소비자 혼란을 야기시키는 광고 중복 출연에 따른 노이즈 현상과 한 제품의 광고에서 기용한 현재 광고모델이 과거 광고 모델과 다른 이미지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해당 광고에 대한 소비자 혼란을 야기 시키는 모델 교체에 따른 광고 노이즈 현상을 연구 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산업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모델의 광고 중복 출연과 동일 제품에 대한 광고모델을 교체하는 것이 소비자 혼란을 일으킬 수 있고 소비자 혼란은 결국, 광고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와 더불어 여섯 가지 조절 변수를 찾아내어 광고 노이즈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어느 경우에 더욱 커지거나 또는 감소하는 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광고 중복 출연에 따른 노이즈가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동시에 여러 광고에 출연하는 모델을 자사 브랜드광고에 기용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를 향상하는 데 모두 부정적인 역할을 한다. 둘째, 하지만, 광고 중복도가 높은 모델을 이용해야 한다면 특히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줄이기 위해서 제품 이미지와 모델 이미지와의 적합성 정도가 높은 광고모델을 선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셋째, 광고 중복도가 높은 모델을 이용할 경우, 자사 제품 광고에서 해당 모델이 유지해야 할 이미지가 해당 모델이 중복 출연한 광고 속에서 유지하는 이미지와 달리 하는 것이 자사 제품 인지도 향상에 도움이 되나 중요한 것은 자사 제품 태도 향상에는 효과 차이가 없다는 점이다. 넷째, 자사 모델이 중복 출연한 광고의 제품과 자사 제품이 유사할수록 모델의 광고 중복도는 브랜드 인지도와 브랜드 태도에 모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 또한, 모델 교체로 인한 소비자 혼란이 광고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 분석한 결과를 해석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 제품의 광고에 여러 모델을 기용할수록 브랜드 인지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태도에는 오히려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둘째, 기존 광고 모델보다 현재 광고모델의 광고 적합성이 높으면 제품 광고의 모델 중복도가 브랜드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은 약화되지만 브랜드 태도에 모델 중복도가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지는 못했다. 셋째, 기존 모델과 현재 모델과의 이미지가 유사하면 모델 중복이 브랜드 인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브랜드 태도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기존 광고와 현재 광고의 컨셉이 유사할 수록 제품 광고의 모델 중복도가 브랜드 인지도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이었다. 특히, 본 연구에서 살펴본 두 가지 광고 노이즈 현상, 즉 동일 모델의 광고 중복출연이 모델 교체보다 광고 효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향이 있으며, 광고 노이즈 현상은 브랜드 태도보다는 브랜드 인지도 형성에 더 뚜렷한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었다.

  • PDF

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 나광진;양종열;홍정표;이유리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4호
    • /
    • pp.87-96
    • /
    • 2002
  • 본 연구에서는 전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목적부합속성을 충족하도록 제품이 디자인 된 정도와 외형적 디자인의 물리적 속성 유사정도가 제품 디자인의 전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를 전형성의 목적부합속성에 의한 차원과 물리적 속성의 유사정도에 의한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에서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형성 판단정도는 그 제품의 디자인이 그 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부합속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될수록 디자인의 전형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의 외형적인 디자인 공통속성이 많을수록 그 제품의 디자인이 전형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전형성 결정요인의 각 차원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목적부합속성을 많이 충족시키는 디자인일수록 소비자는 선호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외형적인 디자인이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 유사한 정도가 중간정도일 때 가장 선호되며, 아주 비슷하지 않거나 매우 비슷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빅 데이터를 활용한 애완동물 상품 추천 시스템 구현 (Implementation of a pet product recommendation system using big data)

  • 김삼택
    •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
    • 제11권11호
    • /
    • pp.19-24
    • /
    • 2020
  • 최근, 애완동물의 급격한 증가로 애완동물의 건강상태 체크와 다양하게 수집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료 추천 등 통합적인 애완동물관련 개인화 상품 추천 서비스가 요구된다. 본 논문은 빅 데이터 기술을 활용하여 애완동물관련 데이터 수집, 전처리, 분석, 관리등 다양한 개인화서비스를 할 수 있는 상품 추천시스템을 구현한다. 먼저, 애완동물이 착용하고 있는 센서 정보와 고객의 구매 패턴, SNS 정보를 수집해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통계적 분석을 활용하여 사료제작, 애완동물 건강관리 등 맞춤형 개인화 추천 서비스가 가능한 플랫폼을 구현한다. 본 플랫폼은 유사도가 분석될 상품과 상품정보에 대한 유사도 상품 정보를 출력하고 최종적으로 추천 분석한 결과를 출력하여 고객에게 정보를 제공 할 수 있다.

고객지향 세분시장 획득을 위한 데이터 마이닝 기법 적용방안 (Application of data mining techniques for finding customer-oriented product market segments)

  • 김종호
    •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385-392
    • /
    • 2012
  • 공급자 관점의 상품시장 정의는 공정, 원자재, 상품기능의 유사성 등으로 세분시장을 정의함으로써 특정상황이 배제되고 불연속성에 대한 고려가 결여되어 있어 기업의 시장 활동에 여러 가지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다분히 정적이고 일반적이어서 시장의 여러 상황과 시간의 추이에 따른 시장변화를 표현, 예측하는 것이 매우 어렵다. 반면 고객지향의 시장 세분화는 특정 혜택이 추구되는 상황에서 대체 가능한 상품과 관련 고객들의 집합을 정의함으로써 획득 가능하다. 이러한 상품시장 정의는 시장에서 부상하는 위협과 기회를 발견하고 효과적인 실적평가와 효율적인 자원배분을 가능케 한다. 그러나 고객관점의 시장정의가 실제로 구현되기 위해서는 많은 전제조건이 있다. 즉, 고객의 행위와 판단에 관련된 충분한 자료의 확보가 가능해야 하며 이들 자료의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정보처리기법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표는 고객관점 상품시장 정의가 귀납적 방법에 상당히 근거한다는 데 착안하여 데이터 마이닝 기술을 활용하여 실제적 적용에 어려움이 많은 고객관점의 시장 세분화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는 데 있다.

해면 추출물의 신경세포 보호 및 항염증 활성과 함유 성분의 HPLC 프로파일링 (Neuroprotective and anti-inflammatory activity of marine sponge extract and HPLC profiling of its components)

  • 김다은;김민선;안혜숙;이재욱;박진수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33-38
    • /
    • 2021
  • 해면동물은 강력한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함유성분으로 의약후보물질 탐색의 중요한 소재로 이용되고 있으나 최근 해양생태계 보전에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해면동물 확보는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경향에 대응하고 해양 천연물연구의 활성화를 위한 해양생물자원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위하여 181개 해면동물 추출물에 대한 HPLC 프로파일을 생성하고 항염증 및 신경세포보호 활성을 탐색하였다. 이를 통하여 해면동물 추출물 간의 HPLC를 통한 함유성분에 따른 클러스터링이 가능하였고 또한 각각 17개, 14개 시료에서 항염증 활성과 신경세포보호활성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는 해면동물을 포함한 해양생물자원에서의 효과적인 생리활성 탐색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한다.

저고리 마름질 꼴과 십승지의 기호학적 유사성 연구 (A Study on the Semiological Similarity between Sipseungji and the Cutting Shape of Korean $J{\check{o}}gori$)

  • 정옥임
    • 복식
    • /
    • 제58권9호
    • /
    • pp.38-50
    • /
    • 2008
  •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Korea suffered from two battles such as Byeongjahoran and Imjinweran, the people wanted to find comfortable shelters, which caused Bigi to prevail. That is, as an alternative to find a shelter which is physically prosperous and mentally comfortable and to get out of turbulent days, the people desired the utopian world of Sipseungji. The Sipseungji of 'Namsako' was deeply rooted in the society, which had a great impact on it. However, it is very surprising to find that the Sipseungji is metaphored in the process to make the shapes of Korean $J{\check{o}}gori$ which are a represented product of our culture. In other words, the ideal world we desired is a clothe itself which wraps human bodies, not any mysterious place that can not be found. They wanted to deliver the assumption that the ideal world is in humans themselves through clothes. Though a shaman sign of Sip (meaning ten), the Sipseungjiseol of Namsako became rooted in the living of the common people, which caused social confusion, but the Sipseungji suggests that as humans are the very lucky place, the utopian world is in themselves. Therefor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hapes of Korean $J{\check{o}}gori$ have instructional values that can not be found in those of other foreign cultures.

Structure and Diversity of Arsenic-Resistant Bacteria in an Old Tin Mine Area of Thailand

  • Jareonmit, Pechrada;Sajjaphan, Kannika;Sadowsky, Michael J.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0권1호
    • /
    • pp.169-178
    • /
    • 2010
  • The microbial community structure in Thailand soils contaminated with low and high levels of arsenic was determined by denaturing gradient gel electrophoresis. Band pattern analysis indicated that the bacterial commun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the two soils. Phylogenetic analysis obtained by excising and sequencing six bands indicated that the soils were dominated by Arthrobacter koreensis and $\beta$-Proteobacteria. Two hundred and sixty-two bacterial isolates were obtained from arsenic-contaminated soils. The majority of the As-resistant isolates were Gramnegative bacteria. MIC studies indicated that all of the tested bacteria had greater resistance to arsenate than arsenite. Some strains were capable of growing in medium containing up to 1,500 mg/l arsenite and arsenate. Correlations analysis of resistance patterns of arsenite resistance indicated that the isolated bacteria could be categorized into 13 groups, with a maximum similarity value of 100%. All strains were also evaluated for resistance to eight antibiotics. The antibiotic resistance patterns divided the strains into 100 unique groups, indicating that the strains were very diverse. Isolates from each antibiotic resistance group were characterized in more detail by using the repetitive extragenic palindromic-PCR (rep-PCR) DNA fingerprinting technique with ERIC primers. The PCR products were analyzed by agarose gel electrophoresis. The genetic relatedness of 100 bacterial fingerprints, determined by using the Pearson product-moment similarity coefficient, showed that the isolates could be divided into four clusters, with similarity values ranging from 5-99%. Although many isolates were genetically diverse, others were clonal in nature. Additionally, the arsenic-resistant isolates were examined for the presence of arsenic resistance (ars) genes by using PCR, and 30% of the isolates were found to carry an arsenate reductase encoded by the arsC gene.

정확도가 향상된 안전한 Top-k 검색 기반 서비스형 블록체인과 스마트 컨트랙트 설계 (Design Blockchain as a Service and Smart Contract with Secure Top-k Search that Improved Accuracy)

  • 장호빈;천지영;정익래;노건태
    • 인터넷정보학회논문지
    • /
    • 제24권5호
    • /
    • pp.85-96
    • /
    • 2023
  • 클라우드 컴퓨팅 기술 발전과 함께 이커머스, 금융 기업 등 다양한 영역에서 클라우스 서비스 제공자의 서비스형 블록체인을 활용하여 고객 이력 관리, 유통 이력 관리 등을 진행하고 있다. 하지만 추천 알고리즘, 검색 엔진 개발 등의 영역에서 사용자의 검색 이력, 구매 이력 등을 서비스형 블록체인에 활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의 검색 쿼리는 서비스형 블록체인을 운영하는 기업에 노출되며, 이에 대한 프라이버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Z. Guan 등의 연구는 컨소시엄 블록체인 환경에서 검색 가능 암호를 활용하여 사용자의 검색 쿼리와 검색 결과 간의 비연결성을 보장하며, 내적 유사도를 기반으로 사용자의 검색 쿼리와 관련성이 높은 Top-k 결과를 선정한다. 하지만 내적 유사도의 동점에 의해 Top-k 결과 중 일부가 선정 불가능한 문제점이 존재하며,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형 블록체인 환경은 고려되지 않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코사인 유사도를 활용하여 Z. Guan 등 연구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검색 결과의 정확도를 향상한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정확도가 향상된 안전한 Top-k 검색 기반 서비스형 블록체인 설계 및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며 사용자의 검색과 관련성이 높은 Top-k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는 스마트 컨트랙트를 설계한다.

Effects of Product Number and Brand Breadth on the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 Yeu, Minsun;Yuk, Hyeyeon;Kim, Boha;Yoo, Jung-Hyun;Cho, Seong Wan;Yeo, Junsang;Park, Chan Su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97-115
    • /
    • 2013
  • This paper was motivated by two gaps in the extant literature on brand portfolio planning. First, research has shown that, as the number of products connected to a brand increases, the extended product receives more favorable evaluations. However, this result was obtained by comparing two brands with different number of products while controlling the brands' breadths. Hence one may question if the above result would hold when the brand is narrow as well as broad. Second, the literature has investigated the effect of brand breadth on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within a relatively limited range ("narrow vs. broad") and not considered the case of a "very broad" brand. To address these gaps, we propose two hypotheses: 1) the effects of the number of products associated with a brand on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 moderately far brand extension are moderated by the brand's breadth (H1); and 2) the relationship between a brand's breadth and a moderately far extension's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looks like an inverse-U shape (H2). Study 1 was conducted to test H1. Study 1 employed a 2 × 2 within-subjects design in which the first factor was the number of products (small (2) or large (5)), and the second factor was brand breadth (narrow or broad). We measured brand breadth as the perceived similarity among products associated with a brand. Participants provided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Study 2 was conducted to test H2 as well as to replicate Study 1 in a more general setting and with different products. It employed a 2 × 3 within-subjects design, in which the first factor was the number of products (small (2) or large (5)), and the second factor was brand breadth (narrow, broad, or very broad). The results from two experiments support both hypotheses. This paper contributes to the literature on brand extensions in two ways. First, it broadens our understanding of the effects of product number and brand breadth on extended product evaluations by considering the two factors jointly. Second, we believe this study to be the first to present evidence that brand breadth can exert an inverted U-shape effect on the perceived fit and evaluations of an extended product. The results also offer implications for marketers. First, marketers should heed the finding that adding similar products to a narrow brand does not help the brand's extension launch. Second, the finding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breadth and extended product evaluations might not be linear provides practical implications. While a narrow brand should not keep launching close extensions, nor should a broad brand continue producing far extensions to broaden its breadth. A firm with a broad corporate or family brand might want to consider introducing a new brand instead of adding dissimilar products under the brand umbrella.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