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owse > Article

A Study on the Semiological Similarity between Sipseungji and the Cutting Shape of Korean $J{\check{o}}gori$  

Jung, Ok-Im (Dept. of Home Economics, Chosun University)
Publication Informa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 v.58, no.9, 2008 , pp. 38-50 More about this Journal
Abstract
In the late Joseon period, as Korea suffered from two battles such as Byeongjahoran and Imjinweran, the people wanted to find comfortable shelters, which caused Bigi to prevail. That is, as an alternative to find a shelter which is physically prosperous and mentally comfortable and to get out of turbulent days, the people desired the utopian world of Sipseungji. The Sipseungji of 'Namsako' was deeply rooted in the society, which had a great impact on it. However, it is very surprising to find that the Sipseungji is metaphored in the process to make the shapes of Korean $J{\check{o}}gori$ which are a represented product of our culture. In other words, the ideal world we desired is a clothe itself which wraps human bodies, not any mysterious place that can not be found. They wanted to deliver the assumption that the ideal world is in humans themselves through clothes. Though a shaman sign of Sip (meaning ten), the Sipseungjiseol of Namsako became rooted in the living of the common people, which caused social confusion, but the Sipseungji suggests that as humans are the very lucky place, the utopian world is in themselves. Therefore, it should not be overlooked that the shapes of Korean $J{\check{o}}gori$ have instructional values that can not be found in those of other foreign cultures.
Keywords
Korean $J{\check{o}}gori$; rutting shapes; utopian world and sipseungji; semiologic similarity;
Citations & Related Records
Times Cited By KSCI : 1  (Citation Analysis)
연도 인용수 순위
1 한명숙 (1996). 유행과 문자의상체계. 서울: 경춘사. p. 7
2 박경자 (1983). 한국복식 논고, 서울: 신구문화사. pp. 145-149
3 정혜경. 권영숙b (1998). 조선시대 저고리의 구성 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12(1). pp. 67-73
4 여동빈 저, 이윤희, 고성훈 공역 (1992). 태을 금화종지. 서울: 여강출판사. p. 197
5 허균. 이경재. 이갑철 공저 (2004). 선인들이 남겨 놓은 삶의 흔적들. 서울: 다른세상. pp. 67-69
6 정혜경, 권영숙b (1998). 조선시대 저고리의 구성 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12(1). p. 42
7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52
8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160. p214
9 고광림 (1990). 한국의 관복. 서울: 화성사. p. 53
10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224
11 정옥임b (2004). 喪服에서의 상징성 연구. 복식. 54(4). pp. 55-62
12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216
13 마루야마 도시야끼. 박희준 옮김(1989). 기란 무엇인가? 서울: 정신세계사. p. 166
14 이재일, 박춘순 (1993). 우리나라 기녀복식의 기호학적 접근. 복식. 6(22).. pp. 297-312
15 백선기 (2004). 대중문화 그 기호학적 해석의 즐거움.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p. 284
16 David Fontana 저. 최승자 역 (2001). 상징의 비밀. 서울: 문학동네. p. 8
17 신혜순 (2004). 아름다운 우리 저고리. 서울: 문화미디어 p. 6
18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113
19 정옥임b (2004). 喪服에서의 상징성 연구. 복식. 54(4). p. 61
20 Mircea Eliade, 이재실 역 (2005). 이미지와 상징. 서울: 까치글방. p. 46
21 Mircea Eliade. 이재실역 (2005). 이미지와 상징. 서울: 까치글방. p. 177
22 Mircea Eliade, 이용주 옮김(2006). 세계종교 사상사. 서울: 이학사. p. 94. pp. 134-135
23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112
24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131
25 정옥임a (2003). 남자 한복바지구성의 상징성 연구. 복식문화학회, 11(3). pp. 367-374
26 마루야마 도시야끼. 박희준 옮김 (1989). 기란 무엇인가? 서울: 정신세계사. p. 164
27 Mircea Eliade (1956) 이용주 옮김 (2006). 세계종교 사상사. 서울: 이학사. p. 95
28 남사고저. 신유승 해독 (1994). 격암유록(1), 세종출판. p. 154
29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212
30 최창조 (1990). 좋은 땅이란 어디를 두고 말함인가. 서울: 서해문집. p. 187
31 한국도교사상연구회편 (1996). 도교의 한국적 변용. 서울: 아세아문화사. p. 378
32 임영자. 문공화 (2002). 한복구조에 나타난 옷감과 옷꼴에 관한 연구. 복식, 52(3). p. 152
33 이규태 (1987). 입술의 한국학. 기린원. p. 153
34 정혜경. 권영숙a (1991). 易을 통하여 본 심의의 상징성. 복식, 4(16). pp. 75-82
35 민중서림편집국편 (2004). 국어사전. 서울: 민중서림. p. 398
36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157
37 국립민속박물관 (2003). 생활 속에 담긴 우리옷의발자취. 서울: 신유문화사. p. 93
38 기호학연대 (2003). 기호학으로 세상읽기. 서울: 소명출판. p. 144
39 남사고전수. 강덕영 역 (2006). 격암유록. 서울: 동반인. p. 72
40 한명숙 (1996). 유행과 문자의상체계, 서울: 경춘사. p. 7
41 한국도교 사상연구회편(1996). 도교의 한국적 변용. 서울: 아세아문화사. p. 419
42 김진구. 정현숙 (2004). 복식문화연구. 1(2). pp. 221-223
43 http://yahoo com. 백과사전. 비기
44 정혜경. 권영숙b (1998). 조선시대 저고리의 구성 원리에 대한 고찰. 한국의류학회지, 12(1). p. 39
45 김경용 (1995). 기호학이란무엇인가. 서울 민음사. p. 11
46 김두규 (1998). 우리땅, 우리풍수. 서울: 동학사. p. 288
47 최창조 (1990). 좋은 땅이란 어디를 두고 말함인가. 서울: 서해문집. p. 1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