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형성 결정요인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 연구

A Study on the Typicality and Preference according to Determinants of Typicality

  • 나광진 (전북대학교 디자인가치혁신센터) ;
  • 양종열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홍정표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 이유리 (전북대학교 산업디자인과)
  • 발행 : 2002.11.01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전형성에 대한 기존의 연구를 이용하여 목적부합속성을 충족하도록 제품이 디자인 된 정도와 외형적 디자인의 물리적 속성 유사정도가 제품 디자인의 전형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검증하고, 기존의 연구에서 다른 견해를 보이고 있는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를 전형성의 목적부합속성에 의한 차원과 물리적 속성의 유사정도에 의한 차원으로 나누어 각 차원에서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기존의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소비자의 제품 디자인에 대한 전형성 판단정도는 그 제품의 디자인이 그 제품을 이용하고자 하는 목적부합속성을 충족시킬 수 있도록 디자인 될수록 디자인의 전형성이 높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의 외형적인 디자인 공통속성이 많을수록 그 제품의 디자인이 전형적이라고 판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본 연구에서 전형성 결정요인의 각 차원에 따른 전형성과 선호도간의 관계에 대한 검증결과, 목적부합속성을 많이 충족시키는 디자인일수록 소비자는 선호하게 된다고 할 수 있으나, 그 외형적인 디자인이 제품범주 내 다른 구성원들과 유사한 정도가 중간정도일 때 가장 선호되며, 아주 비슷하지 않거나 매우 비슷한 경우에는 소비자의 선호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fluence of ideals(goal-directed design attributes) and physical common features on typicality of product design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that suggested different result in prior research. So for these objectives we explored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with two dimensions composed of goal-directed attribute typicality and physical common features typicality. The result showed that consumers' judgment of typicality on product design was increased as the product design has ideals. This was a same result as the prior research. In addition, Increasing the physical common feature with other members in product category, consumers judged that the product design is typical. Otherwise, in result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ypicality and preference were showed that the design of ideals(goal-directed design attributes) influenced on preference positively, but the design of physical common features had an inverted U-shaped.

키워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