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Product Review

검색결과 1,588건 처리시간 0.023초

리뷰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 개발: Amazon Kindle Store 데이터 분석사례 (Development of Hybrid Recommender System Using Review Data Mining: Kindle Store Data Analysis Case)

  • 장예화;이청용;최일영;김재경
    • 경영정보학연구
    • /
    • 제23권1호
    • /
    • pp.155-172
    • /
    • 2021
  • 최근 온라인 상품 구매의 증가로 인해 사용자의 선호에 맞는 상품을 추천해주는 시스템이 지속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들에게 개인화된 상품 추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으로 사용자가 상품에 남긴 평점을 이용한 협업 필터링(Collaborative Filtering)이 가장 널리 쓰이는 추천 방법이다. 협업 필터링에서 상품 간의 유사도 계산은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데, 특히 리뷰 데이터와 같은 빅데이터를 사용할 경우 더욱 많은 시간을 소요한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리뷰 데이터 마이닝을 이용하여 상품 간의 유사도 계산을 빠르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정확도를 높일 있도록 2단계(2-Phase) 방법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추천시스템 방식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온라인 전자책 상거래 상점인 아마존 킨들 스토어(Amazon Kindle Store)의 약 98만 개의 온라인 소비자 평점과 리뷰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실험 결과 본 연구에서 제안한 사용자의 평점과 리뷰를 단계적으로 반영한 하이브리드 추천 방식이 전통적인 추천 방식과 비교하여 추천 시간은 비슷하였으나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제안한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가 선호하는 상품을 빠르고 정확하게 추천함으로써 고객의 만족을 높여서 기업의 매출 증대에 기여할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상품 리뷰 분석을 통한 사용자 맞춤형 추천 시스템 (Customized recommendation system through product review analysis)

  • 황도연;배상중;김창수;정회경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년도 춘계학술대회
    • /
    • pp.460-461
    • /
    • 2018
  • 전통적인 방식의 추천 시스템은 사용자가 독립적으로 행동한다는 가정하에 개발된 방식이며, 단순하게 상품을 나열하거나 상품의 속성과 사용자의 기호를 연관하는 기능이 부족하여 가독성과 효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상품 리뷰 데이터를 크롤링을 한 뒤 R을 이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여 비정형의 리뷰 데이터를 사용자의 구매이력과의 연관 분석을 통해 의미 있는 정보로 가공하여 사용자 맞춤형 정보를 제공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방대한 양의 상품 리뷰 데이터를 분석할 필요 없이 자신에게 필요한 데이터만을 제공받을 수 있게 되어 사용자의 의사결정에 도움 될 것으로 사료된다.

  • PDF

상품평의 언어적 분석을 통한 상품 평가 요약 시스템 (Product Evaluation Summarization Through Linguistic Analysis of Product Reviews)

  • 이우철;이현아;이공주
    • 정보처리학회논문지B
    • /
    • 제17B권1호
    • /
    • pp.93-98
    • /
    • 2010
  • 본 논문에서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품평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언어적 분석을 통하여 상품 평가를 요약하는 시스템을 제안한다. 시스템에서는 스커트 상품 분류의 경우 '디자인'과 '재질'과 같이, 상품을 평가하는 기준이 되는 항목에 대한 상품평의 부정과 긍정의 극성 여부를 판별하여 그래프 형태로 요약하여 제시한다. 본 논문에서는 작은 시드 어휘와 문맥에 기반한 자동 확장 방법을 사용하여 평가 항목 별 평가 어휘 극성 사전을 구축하여 평가 항목에 대한 상품평의 극성을 판정한다. 제안한 방식은 여러 온라인 쇼핑몰의 실제 상품평에 대한 실험에서 극성 사전 추출에서 평균 69.8%의 정확율과 문장별 극성 식별에서 평균 81.8%의 정확율을 보였다.

제품 관여수준과 인터넷 구전메시지 유형이 소비자 커뮤니케이션에 미치는 영향 -FCB 모델에 따른 제품과 인터넷 쇼핑몰의 구매 댓글을 중심으로- (Effect That Type Gets in Consumer Communication : Product Participation Level and Internet Word-of-mouth -Laying stress on purchase review of product and Internet shopping mall by FCB Model-)

  • 진홍근;이은주
    • 경영과정보연구
    • /
    • 제22권
    • /
    • pp.85-115
    • /
    • 2007
  • Following is discovered in this study by some. First, attribute(product/non- product) of that truth that get through experiment of this study is WOM deduced result that have statistical meaning in dependent variable which is public trust only in this study. Specially,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type received High positive response more with non-product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ttribute than the product attribute in all experiment products that is parted according to involvement. Consumer's response by involvement level of product can affect for site attitude, public trust, and intention to purchase by second. For example, consumer's site attitude has induced the most positive response, and can confirm positive response of High consumer most in that involvement sensitivity product in that participation reason type product and could confirm response that is the most positive in that involvement reason product even if there is for intention to purchase. Result of this study is grasped that have High mean value relatively in site attitude, product attitude,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effect, public trust,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etc. generally that product involvement and information by word of mouth attribute are interrelation by third. This can change fairly data processing process according to consumer's Involvement Level, behavior deterministic process, consumer's action with attitude formation process, and involvement for products. High occasion than is low incline more efforts in information retrieval and is discreet result such as study finding of produce.

  • PDF

패션브랜드의 온라인 상품기획 -자사몰 운영의 여성복 브랜드를 중심으로- (Online Product Planning in a Fashion Brand -Focused on the Brand of Women's Clothing Run by the Company's Mall-)

  • 이수진;이금희
    • 패션비즈니스
    • /
    • 제24권3호
    • /
    • pp.69-84
    • /
    • 2020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xamples of online fashion product planning of domestic fashion brands, to grasp the characteristics and step-by-step problems in product planning, and to suggest product planning methods. This study consists of a literature study and a case study. The results of th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the information analysis and product planning, product planning according to analysis and targeting of online consumers should be conducted separately from offline, and the proportion of online-only products should be expanded. Second, in the design planning and product development stages, it should be possible to secure the quantity through the pre-planning of fabrics, a to acquire the novelty of the material through the preemption of good fabrics and the pre-planning of colors to secure competitive design. Third, in the convention, a systematic review process involving company members and customer review teams should be conducted to ensure product quality and sales-ability Fourth, in the production stage, the production period must be to reduce cost. Fifth, differentiated servic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products for each brand in the promotion and sales stages. Based on this analysis, a desirable approach online product planning should first run promotion phase, increasing pre-planning for the product, and organizing specialize work and manpower issues.

신제품개발 관리에서 전략적 학습의 역할 (The Role of Strategic Learning in New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 김지대;이성석
    • 경영과학
    • /
    • 제25권1호
    • /
    • pp.149-167
    • /
    • 2008
  • One of characteristics of firms having successfully developed new products is that they are practicing strategic learning, that is, organizational learning for preparing the future. In this context, we attempts to examine the effect of strategic learning on the proficiency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ies and new product outcome, in an empirical way.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e moderating effect of new product innovativeness on the relationship among strategic learning, proficiency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ies, and new product outcome.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the strategic learning has a positive impact on both the proficiency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ies and new product outcome. And it was found that the impact of strategic learning on the proficiency of new product development activities is increasing when firms developing new products with high degree of innovativeness. However, the impact of strategic learning on new product outcome was not different according to new product innovativeness. This results shed some insight on the role of strategic learning in the new product development management.

제품관여(製品關輿)가 소비자(消費者) 과정(過程)에 미치는 영향(影響) (The Effect of Product Involvement on Consumer Purchase Process)

  • 정문영
    • 산학경영연구
    • /
    • 제11권
    • /
    • pp.101-122
    • /
    • 1998
  • 이 연구는 다차원적 관점에 따라 개발된 관여척도를 적용하여 제품관여가 소비자 구매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자료 분석결과, 제품별 분석에서 보다 소비자별 분석에서 '구매전 정보탐색'을 비롯한 구매과정의 행동성향이 관여수준에 더 강하게 의존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관여수준이 소비자선택행동의 변화를 설명해주는 구조물이며, 제품관여는 소비자가 제품에 관련되는 정도를 반영하는 변수로 인식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동시에, 관여가 소비자행동에 미치는 영향의 이해와 예언에는 관여수준과 함께 관여의 관저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는 시사를 얻었다.

  • PDF

The Role of Processing Fluency in Product Innovativeness Judgment

  • Cho, Hyejeung
    • Asia Marketing Journal
    • /
    • 제15권3호
    • /
    • pp.31-52
    • /
    • 2013
  • The metacognitive experience of the ease or difficulty with which new, external information can be processed, referred to as 'processing fluency,' has been shown to influence a wide range of human judgments including truth judgments, familiarity judgments, risk perception, evaluation, and preference (see Alter and Oppenheimer 2009 for a review). The current research explores the possibility of a consumer's product innovativeness judgment based on the difficulty of processing new information. In specific, this study examines if the inferential link between (dis)fluency-(un)familiarity can feed into the perception of innovativeness. This study also explores how a consumer's processing motivation can moderate the consumer's reliance on processing fluency in judgments and how the influence of fluency can vary depending on judgment task orders. In an experiment, participants rated a new product's innovativeness and then indicated their product attitude (or vice versa depending on the judgment task order condition) after reading a product review article that was printed in either an easy-to-read or a difficult-to-read font (for fluency manipulation). The findings show that low need for cognition individuals infer higher product innovativeness when processing product information is difficult rather than easy, consistent with the common assumption that 'new information is more difficult to process than familiar information.' The findings also suggest that once low fluency is attributed to innovativeness, it may no longer lead to a negative response to the product. High need for cognition individuals' judgments on product innovativeness are not affected by fluency. The findings also demonstrate a judgment task order effect on the use of fluency in judgments (e.g., Xu and Schwarz 2005). This study provides the first evidence that an individual's fluency experience can be used as a source of information in product innovativeness judgments especially under low processing motivation conditions. The findings can help marketers better understand the malleability of consumer judgments and perceptions of product characteristics (e.g., product innovativeness) by demonstrating an interesting interplay of processing fluency, processing motivation, and judgment task-related contextual factors.

  • PDF

전문가 제품 후기가 소비자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텍스트마이닝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Expert Reviews on Consumer Product Evaluations: A Text Mining Approach)

  • 강태영;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2권1호
    • /
    • pp.63-82
    • /
    • 2016
  • 최근 정보기술의 발달로 인해 소비자들은 온라인상에서 많은 정보를 쉽고 빠르게 획득할 수 있다. 소비자가 제품 구매시에는 소비자들이나 전문가들이 작성한 제품 후기 정보를 주로 탐색한다. 기존의 연구들이 소비자들이 창출한 제품 후기 중심으로 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전문가 제품 후기의 영향력에 대해서는 상대적으로 소수의 연구들만 존재하고 있다. 본 연구는 전문가가 생성하는 제품 후기에 초점을 맞추어, 방대한 실제 비정형데이터인 전문가의 후기를 어떻게 언어학적인 차원과 심리학적인 차원으로 나눌 수 있는지의 방법론을 제안하며, 실제 전문가 제품 후기를 사용하여 의미 있는 다섯 가지 차원의 새로운 변수들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소비자들이 전문가 후기에서 반응하고 있는 언어적 특성은 제품에 대한 깊이 있는 정보의 양이나 충분한 설명을 나타내는 변수인 Review Depth, 그리고 전문가가 기술하는 방식이 제품에 대한 확신이 없는 듯한 말투를 나타내는 변수인 Lack of Assurance는 소비자의 전반적인 제품평가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제품에 대한 칭찬이나 긍정적인 면을 서술하는 방식인 Positive Polarity가 소비자의 제품 평가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전문가가 하는 제품에 대한 비관적인 평가인 Negative Polarity는 소비자들의 평가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는 점이다. 전문가가 스토리텔링 관점에서 자주 사용하는 Social Orientation 특성은 유의한 관계를 미치지 못함이 밝혀졌다. 본 연구는 새로운 방법론을 제안하고 이를 실제로 활용한 결과를 보여준다는 차원에서 이론적이고 실무적인 공헌을 가진다.

Effect of information direction and order of product review posts on consumer responses: The case of cosmetics power bloggers

  • Ji, Hye-Ri;Yoh, Eunah
    •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 /
    • 제16권1호
    • /
    • pp.19-35
    • /
    • 2018
  • This study explores the effect of information direction and order of cosmetics power bloggers on consumer responses. A total of 488 undergraduate students participated in experiments with mock-up stimuli of sunscreen product reviews by power bloggers. The study was conducted with four stimuli of product review posts (i.e., positive reviews only, positive-negative reviews in order, negative-positive reviews in order, negative reviews only) of the power bloggers. The result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onsumer responses according to information direction and order of product reviews of the power bloggers. Specifically, negative reviews were considered more objective and more useful than positive reviews were. However, positivity of reviews is crucial in generating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products, greater purchase intention, and greater word-of-mouth intention. In regard to information order, the negative-positive reviews generated more positive attitudes toward the product and greater purchase intention than did the positive-negative review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ending product reviews with positive information so as to create positive responses. Referring to the findings, power bloggers and marketers using bloggers as a promotional tool would benefit by carefully designing information content in consideration of an appropriate direction and order of information to better fit their purpose.